스란치마

hanyang
김아람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29일 (목) 23:51 판 (새 문서: ==Definition== 무릎 근처에 가로로 선(線) 장식을 댄 치마로, 조선시대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 등이 국가 행사에 참석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무릎 근처에 가로로 선(線) 장식을 댄 치마로, 조선시대 왕비, 왕세자빈, 내명부, 외명부 등이 국가 행사에 참석할 때 착용하였다. 선 장식이 하나이면 스란치마라 하고, 두 단이면 대란치마라 한다. 폭을 붙이고 주름을 잡아 허리에 매어 입는 방식이었다.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치마를 점점 가슴까지 올려 착용하게 되어 길이가 길어졌다. 치마의 선 장식은 별도의 단(緞) 직물을 직조하거나 금박을 찍어서 붙이는 경우도 있으며, 직접 치마에 금실로 직조하는 직금(織金) 혹은 금박을 입혀 장식한다. 스란치마의 무늬로 신분을 구분하기도 하였는데, 황후스란치마에는 용(龍), 왕비는 봉황(鳳凰), 공주옹주 등은 화문(花紋), 외명부 및 반가의 부인은 수복화문(壽福花紋)이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순조의 차녀인 복온공주스란치마에 봉황무늬가 사용된 것으로 보아 신분별 치마의 무늬가 반드시 지켜진 것은 아니었던 듯하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치마 Clothing 복식 치마(赤亇) 치마 赤亇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치마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치마
한자표기 赤亇
이칭별칭 상(裳), 군(裙)
구분
착용신분 왕실, 궁중, 평민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황후 치마 wears
황태자비 치마 wears
왕후 치마 wears
세자빈 치마 wears
후궁 치마 wears
왕녀 치마 wears
부대부인 치마 wears
부인 치마 wears
황후의_대례복 치마 hasPart
황후의_소례복-당의 치마 hasPart
황후의_소례복-원삼 치마 hasPart
황후의_편복 치마 hasPart
황태자비의_대례복 치마 hasPart
황태자비의_소례복-당의 치마 hasPart
황태자비의_소례복-원삼 치마 hasPart
황태자비의_편복 치마 hasPart
왕후의_대례복 치마 hasPart
왕후의_소례복-당의 치마 hasPart
왕후의_소례복-원삼 치마 hasPart
왕후의_편복 치마 hasPart
왕세자빈의_대례복 치마 hasPart
왕세자빈의_소례복-당의 치마 hasPart
왕세자빈의_소례복-원삼 치마 hasPart
왕세자빈의_편복 치마 hasPart

재현물 제작 정보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AKS Encyves 치마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치마
해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치마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212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치마(赤亇)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2820
해설 위키 실록사전 칠보족두리(七寶簇頭里)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칠보족두리(七寶簇頭里)
해설 조선왕조실록사전 칠보족두리(七寶簇頭里)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115
도해 AKS Encyves 족두리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9/9e/궁중기록화_복식_족두리04_고궁박물관.jpg
도해 AKS Encyves 족두리 세부명칭 http://dh.aks.ac.kr/Encyves/wiki/images/a/af/궁중기록화_복식_세부명칭_족두리%28단대%29.jpg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고미연, 「한국여성의 두식에 관한 연구-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김문식, 「18세기 서울 여성의 머리장식」, 『문헌과 해석』 42, 문헌과 해석사, 2006.
金知娟, 「朝鮮時代 女性 禮冠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金知娟, 「족두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朴珪壽, 『居家雜服攷』, 「內服」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人事篇, 服食類」
이연화, 「족두리(簇頭里)의 형태 및 제작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정영숙, 「조선시대 부인용 머리장신구 문양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Notes

  1. 황의숙ㆍ윤양노ㆍ조선희ㆍ이민주,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164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