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서도제조

hanyang
박수정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11일 (일) 10:30 판 (새 문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경국대전』에는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974#self

『경국대전』에는 도제조(都提調:시원임대신이 겸임) 1인, 제조(정2품 관원이 겸임) 1인, 영 1인, 참봉(參奉, 종9품) 2인을 두도록 규정되어 있다.


다시 윤동도(尹東度)를 좌의정에 제배하였다. 윤동도는 전번에 사직서(社稷署) 제조(提調)로서 죄로 인하여 파직되었었다. 영조실록 103권, 영조 40년 5월 25일 丙子 2번째기사 1764년 청 건륭(乾隆) 29년다시 윤동도를 좌의정에 제배하다 http://sillok.history.go.kr/id/wua_14005025_002


<승정원일기>

1. 인조 18년 8월 5일 갑인 1640년 / 鄭廣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申得淵爲司譯院提調, 南老星爲吏曹佐郞, 鄭麟卿爲注書, 崔煜爲禮曹佐郞, 김류(金瑬)爲社稷都提調, 洪鎬爲同副承旨, 鄭知和爲吏曹佐郞, 李省身爲禮曹參議, 柳淰爲吏曹正郞, 趙廷虎爲左副承旨, 尹順之爲右副承旨, 趙贇爲寶城郡守, 李敏 白爲平市令, 金寅爲典籍, 黃渙爲監察。兵批, 以朴潢爲上護軍, 李天基爲司果, 尹彬爲副司正, 張應一爲副司果, 金鋿·柳淰爲司直, 林墰爲僉知。


2. 인조 26년 12월 12일 임인 1648년 / 신병을 이유로 社稷都提調 등의 직임을 遞差해 주기를 청하는 김상헌(金尙憲)의 상소 精神怳惚, 奄奄將盡, 數字缺褒貶亦不得進參, 方切惶悶, 不意五六字缺國家崇奉之重, 莫先於社稷, 遇事則有奉審之禮, 居常則檢飭屬官之事, 不可以無事, 殆同閑局, 如臣 老病, 委頓朝夕就木之人, 何敢數字缺以廢公事乎? 伏乞聖慈, 察臣至情, 亟命遞臣所帶及新兼社稷都提調之任, 公私不勝幸甚, 臣無任激切屛營之至, 謹昧死以聞。答曰, 省疏具悉。卿其體予至意, 勿爲控辭。


3. 효종 즉위년 7월 7일 갑자 1649년 / 社稷都提調의 遞差를 청하는 김상헌(金尙憲)의 상소 ○ 領府事金尙憲上疏。大槪, 不能檢下, 請遞社稷都提調之任事。入啓。答曰, 省疏具悉。卿其有何失, 引咎至此耶? 勿爲惶恐, 安心勿辭。


4. 효종 3년 8월 19일 무오 1652년 / 金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金廷望爲金井察訪, 尹鏶爲校理, 洪處尹爲應敎, 尹順之爲歸厚提調, 鄭太和爲司譯提調, 尹思 晟爲南海縣令, 洪處尹爲兼輔德, 沈儒行爲兵曹正郞, 尹就殷爲監察, 李曼勝爲泰陵參奉, 黃泳爲司僕僉正, 洪振文爲潭陽府使, 韓希卨爲戶曹佐郞, 朴由東爲監察, 南重召爲孝陵參奉, 曺寅久爲監察, 김육(金堉)爲社稷都提調, 金 爲西部參奉, 田乃績爲氷庫別檢, 李翊漢爲定州牧使。


5. 숙종 6년 4월 13일 임신 1680년 / 李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南垕爲中和府使, 朴泰遜爲修撰, 柳長昌爲漆原縣監, 具鎰爲漢城右尹, 尹趾完爲副校理, 沈若浚爲竹山府使, 崔後尙爲濟用監正, 盧世挺爲昆陽郡守, 김수항(金壽恒)爲軍器都提調·社稷都提調, 呂聖齊爲繕工提調, 李秀彦爲正言, 李正英爲司宰監提調, 崔錫鼎爲應敎, 南九萬爲司䆃寺提調, 李端錫爲全羅監司, 安縝爲 承旨, 韓柱相爲禁府都事, 柳璍爲禁府都事。


6. 숙종 15년 2월 11일 기유 1689년 / 權大運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鄭東卨爲鎭安縣監, 睦林一兼校書校理, 李震翼爲長陵參奉, 韓如益爲靑山縣監, 鄭載嵩爲奉常都提調, 沈瑞肩爲司僕僉正, 尹星駿爲典籍, 閔鼎重爲領敦寧府事, 權瑍爲副應敎, 沈檀·李允修爲副校理, 張希載爲軍資主簿, 李后沆爲獻納, 朴紳爲掌令, 金盛最爲典簿, 宋光漢爲內贍主簿, 목래선(睦來善)爲社稷都提調, 金德遠爲宗廟都提調, 權大運爲司譯都提調, 羅學川·趙湜兼春秋。


7. 숙종 15년 5월 19일 갑인 1689년 / 柳宜河의 改差를 청하는 吏批의 계 判書沈梓進, 參判權愈, 參議李玄逸受由, 都承旨睦昌明進。兵批, 判書閔黯病, 參判李鏶病, 參議朴鎭圭進, 參知李后定未肅拜, 左副承旨李瑞雨進。吏批啓曰, 軍資監判官柳宜河, 身病甚重, 不得行公, 改差, 何如? 傳曰, 允。以安如石爲承旨, 李周徵爲戶曹佐郞, 睦林一爲吏曹佐郞, 蔡獻徵爲兵曹佐郞, 成任爲兵曹佐郞, 권대운(權大運)爲社稷都提調, 李聃命爲副提學, 睦林儒爲副司直 。


8. 숙종 24년 1월 25일 신축 1698년 / 姜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爲宗簿正, 趙益彬爲敦寧判官, 趙廷淹爲繕工監役, 남구만(南九萬)爲社稷都提調, 尹趾善爲御營都提調, 閔鎭長爲尙衣提調, 崔邦彦爲慶安察訪, 金器夏爲厚陵參奉, 李世松爲長陵參奉, 李翛爲穆陵參奉, 李基漢爲貞陵參奉, 朴□□爲齊陵參奉, 呂必重爲金泉察訪, 洪泳爲獻陵參奉, 韓墪爲徽陵參奉, 柳星徵爲厚陵參奉, 蔡宇柱 〈爲〉 孝陵參奉, 任歚爲崇陵參奉, 李鼎和爲顯陵參奉, 李...


9. 숙종 27년 11월 11일 갑오 1701년 / 崔東濟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徐文重爲奉常都提調, 신완(申琓)爲社稷都提調, 徐文重爲宗廟都提調, 柳百乘爲舒川郡守, 金萬㘽爲珍山郡守, 沈枰爲禮曹參議, 金鎭圭爲戶曹參議, 李昌肇爲會寧府使, 兪彦明爲正言, 李衡祥爲濟州牧使, 成璹爲兵曹佐郞, 崔鎭漢爲長湍府使, 李聖肇爲 兵曹正郞, 柳搏爲泰陵參奉, 李任漢爲繕工假監役, 沈徵爲潭陽府使, 金昌協爲副提學, 李徵夏爲天安郡守, 李泰道爲孝陵參奉。 燼餘 闕


10. 숙종 32년 8월 10일 을미 1706년 / 柳尙運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批, 以柳尙運爲司僕寺提調, 以이유(李濡)爲社稷都提調, 以徐宗泰爲御營都提調, 以崔錫鼎爲訓鍊都提調, 以崔錫鼎司譯院都提調, 以李秉淵爲司圃奉事, 以李海朝爲兼校書校理, 以金夢翼爲監察, 以趙之重爲直講, 以洪泳爲平安都事, 以鄭寅賓爲長興主簿, 以李世雲爲獻陵奉事, 以閔鎭東爲兵曹正郞, 以趙泰老爲承旨, 以元翊爲寧陵直長, 以李師亮爲英陵...


11. 숙종 36년 5월 26일 경인 1710년 / 社壇의 階砌를 始役한 뒤 看審할 인원이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鄭來祥의 계 ○ 又啓曰, 卽者社稷都提調行判中樞府事李濡, 送言于院中以爲, 本署郞廳來言, 今日社壇告由祭後, 階砌尤甚動擾處, 欲爲修改, 試毁一處, 則砌石隨毁隨碎, 勢難仍舊修補, 功役自爾浩大, 而卽當與禮曹堂上更爲同往, 看審稟處, 而本曹堂上, 無行公之員, 奉審亦且緊急, 今日本院, 稟旨變通云。卽今判書姜鋧, 引入已久, 今又違牌, 參判尹德駿受由下鄕, 參議金萬埰呈辭受由, ...


12. 경종 1년 10월 16일 계유 1721년 / 尹陽來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宋寅明爲說書, 金濟謙爲禮曹參議, 尹鳳輝爲工曹佐郞, 趙斗壽爲工曹佐郞, 朴師益爲工曹參議, 李萬赫爲監察, 閔鎭紘爲義禁府都事, 兪拓基爲司僕正, 盧三邦爲典籍, 李聖天爲長寧殿別檢, 金昌集爲司僕提調, 李頤命爲軍器都提調, 金宇杭爲社稷都提調, 李頤命爲宗廟都提調, 魚有龜爲司饔提調, 兪拓基爲兼執義, 金昌翕爲進善, 李匡輔爲承 文博士, 尹憲柱爲判尹。 吏曹謄錄


13. 경종 3년 5월 7일 을유 1723년 / 李眞望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淵爲贊儀, 趙泰耉爲軍器都提調·軍資都提調·訓鍊都監都提調·社稷都提調, 崔錫恒爲宗廟都提調, 吳命峻爲繕工監提調, 李世最爲京畿監司, 尹惠敎爲忠淸監司, 金宗衍爲綾州牧使, 李德壽爲南陽府使, 李檉爲豐川府使, 李東益爲任實縣監, 姜德彦爲慶安察訪。軍器直長 單李枝燦, 奉事單柳益良, 副奉事單林廷萬, 參奉單金壽益。嘉善韓奎星, 今加嘉義, 會盟...


14. 경종 3년 10월 4일 경술 1723년 / 宋眞明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崔奎瑞爲社稷都提調, 訓鍊都提調禁衛都提調李光佐爲軍器都提調, 趙泰億爲司僕提調, 李明彦爲典牲提調, 李肇爲軍器提調, 尹游爲副校理 , 徐命九爲兵曹正郞, 郭鎭基爲明陵參奉, 吳光運單付承文著作, 宋國緯單付承文副正字。兵批, 以李東道·金必祐·崔黽慶·許信·崔泰齡·玄悌綱·白興銓單付副護軍, 金演·權益寬·趙最壽單付副司直, 金尙奎單付副司果, 權冏單付副司正。


15. 영조 즉위년 10월 3일 계유 1724년 / 李挺膺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趙泰億爲社稷都提調, 柳鳳輝爲宗廟都提調, 柳鳳輝爲御營都提調, 李馨登爲 典籍, 嚴慶遇爲廣興守, 李眞儉爲兼知經筵事, 李光佐爲軍資都提調, 沈壽賢爲兵曹判書, 沈壽賢爲兼判義禁, 李鳳祥爲右尹, 朴泰恒爲工曹判書, 裵泰期爲吉州牧使。兼判義禁沈壽賢資憲, 今超崇政。訓鍊都監提調沈壽賢, 御營提調沈壽賢, 兼知春秋沈壽賢, 兼知經筵沈壽賢, 兼同經筵李眞儉。


16. 영조 1년 5월 17일 갑인 1725년 / 金鎭商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李觀命爲司譯都提調, 李觀命爲禁衛都提調, 閔鎭遠爲司僕都提調, 閔鎭遠爲宗廟都提調, 鄭澔爲社稷都提調, 鄭澔爲訓鍊都提調, 閔鎭遠爲御營都提調, 朴弼賢爲說 書, 吳命羲爲右通禮, 安瑞羽爲蔚山府使, 金峻行爲內侍敎官, 李衡鎭爲寧陵參奉, 安命龜爲假引儀, 海陵君爟, 封君事承傳, 黃一夏·黃應洙爲單付副護軍, 徐宗一爲副司果, 任轍·李鳳鳴, 爲單付副司正。


17. 영조 3년 7월 13일 정묘 1727년 / 李台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調, 趙泰億爲軍器都提調, 洪致中爲軍資監都提調, 李光佐爲社稷都提調, 李光佐爲宗廟都提調, 李光佐爲訓鍊都監都提調, 趙泰億爲禁衛都提調, 趙泰億爲奉常都提調, 李光佐爲內醫院都提調, 李光佐爲司譯都提調, 李㙫爲弘文提學, 柳壽垣爲兵 曹佐郞, 尹尙衡爲尙衣別提, 南鶴聲爲禮賓直長, 黃旻爲典牲奉事, 李蓍亨爲廣興倉副奉事, 趙泰耆爲社稷令, 金始㷜爲黃海監司, 李...


18. 영조 9년 2월 8일 경신 1733년 / 吏批의 관원현황 權𥛚爲吏曹參議, 朴弼健爲兼同義禁, 金啓煥爲判決事, 沈壽賢爲訓院都監都提調, 金興慶爲司譯院都提調, 徐命均爲司僕提調, 李宜顯爲司饔都提調, 沈壽賢 爲社稷都提調, 金濰爲安東府使, 沈元益爲定州牧使, 金泳爲甲山府使, 洪胤源爲彦陽縣監, 閔孝百爲軍器僉正, 洪景輔爲全羅監司, 光州牧使李明坤, 今加通政, 善治善賑加資事承傳, 李瑜爲江華留守, 鄭來周爲東萊府使。


19. 영조 13년 2월 13일 신미 1737년 / 吏批의 관원현황 賓客, 金在魯爲訓鍊都提調, 宋寅明爲奉常都提調, 金興慶爲社稷都提調, 曺允成爲刑曹正郞, 兪彦協爲兵曹佐郞, 尹尙遠爲司䆃主簿, 李衡擧爲奉常主簿, 申𢢝爲兵曹佐郞, 徐海朝爲自如察訪, 李廷濟爲知事, 趙斗壽·趙應星爲僉知, 崔命柱爲宣傳官, 韓啓朝·鄭東熙爲五衛將, 具聖弼爲曹司衛將, 朴纘新爲訓鍊都正, 趙之鎛爲都摠經歷, 柳世復爲洪州營將, 金仁權爲...


20. 영조 17년 9월 3일 을축 1741년 / 鄭羽良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趙顯命爲社稷都提調, 金興慶爲司饔都提調, 金興慶爲御營都提調, 閔應洙爲掌樂提調, 李箕鎭爲觀象監提調, 尹陽來爲典牲提調, 金始炯爲繕工提調, 鄭錫五爲司圃提調, 朴文秀爲司宰提調, 李益炡爲同春秋, 閔百行 爲兼東學敎授, 金瑞龜爲司藝, 呂光世爲校檢, 李道顯爲司宰僉正, 李復齡爲英陵參奉, 李瀞爲靖陵參奉, 呂冕周爲禁府都事, 宋翼輔爲寧遠府使, 書題單申翼周。


21. 영조 28년 7월 18일 병신[병자] 1752년 爲刑曹參判, 洪舜元爲同敦寧, 洪樂性爲兵曹參議, 兪拓基爲社稷都提調, 李天輔爲禁衛都提調, 趙載浩爲知經筵, 洪啓禧爲知春秋, 金尙魯爲左賓客, 李昌誼·李日躋爲同義禁, 趙載浩爲司圃提調, 徐宗伋爲司譯提調, 金尙星爲典牲提調, 尹汲爲 濟用提調, 金尙魯爲氷庫提調, 金尙魯爲軍器提調, 海興君橿爲冬至兼謝恩正使, 李昌誼爲副使, 鄭基安爲書狀, 李昌元·任遾爲刑曹...


22. 영조 29년 8월 13일 을미 1753년 / 趙榮國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閔百祥爲同副承旨, 金在魯爲社稷都提調, 兪拓基爲御營都提調, 趙載浩爲刑曹判書, 尹汲爲藝文提學, 徐志修爲禮曹參議, 黃景源爲兵曹參知, 兪漢蕭爲弼善, 尹東涵爲永川郡守, 崔鎭海爲朔州府使, 金宗洙爲開城敎授。豐恩君趙載浩, 陵雲君具聖弼, 敦寧都正李亨宗, 花溪君檔, 鶴林副守焴, 凝善副守爔, 廣州經歷李敏坤, 泰安郡守蔡光鼎仍任事承傳。校書著作李養吾單付。


23. 영조 31년 9월 20일 신묘 1755년 / 趙雲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以領議政李天輔爲訓鍊都提調, 以判府事李宗城爲軍資都提調, 以領府事金在魯爲司饔都提調, 以左議政金尙魯爲社稷都提調, 以右議政趙載浩爲軍器都提調, 以領府事金在魯爲司僕都提調, 以趙明履爲藝文提學, 以鄭光漢爲吏曹佐郞, 以金相箕爲西部都事, 以南公弼爲繕 工監役, 以李商輅爲禁府都事, 以閔百昌爲三陟府使, 以申璆爲瑞山郡守, 以朴成源爲禮山縣監。


24. 영조 32년 3월 6일 갑술 1756년 / 吏批의 관원현황과 前府使 徐赫修의 加資 등에 대해 여쭙는 이비의 계 金漢喆爲大司諫, 兪彦述爲執義, 李天輔爲訓鍊都提調, 李天輔爲司譯都提調, 兪拓基爲社稷都提調·禁衛都提調, 趙觀彬爲長興庫 提調, 徐宗伋·李昌誼爲尙衣提調, 徐命彬爲司譯提調, 申晦爲掌樂提調, 趙明鼎爲兵曹參知, 洪良漢爲吏曹正郞, 趙載世爲忠勳都事, 宋翼彦爲監察。永春縣監徐有祐, 司評金斗秋, 以上仍任事承傳。右副承旨兪漢蕭, 兵曹參議趙明鼎, 參知金陽澤。


25. 영조 35년 6월 1일 경술 1759년 / 兵批의 관원현황 弼善, 金應淳爲兼文學, 李商芝爲兼司書, 前領府事兪拓基爲社稷都提調 , 領議政金尙魯爲司僕都提調, 右議政李 爲禁衛都提調, 領府事李天輔爲軍資都提調, 前領敦寧趙載浩爲司饔都提調, 領議政金尙魯爲司譯都提調, 左議政申晩爲宗廟都提調, 前領敦寧趙載浩爲軍器都提調, 領議政金尙魯爲謝恩奏請兼冬至正使, 趙明鼎爲副使, 李福源爲書狀, 李世演爲吏曹正郞, 李弘稷...


26. 영조 36년 2월 9일 갑신 1760년 / 李裕身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李裕身, 爲左副承旨, 韓光肇爲右副承旨, 申大脩爲掌令, 尹冕東爲正言, 洪益彬爲司僕僉正, 朴贇爲宗簿典簿, 李思國爲顯陵令, 趙德行爲掌苑別提, 李元祥爲東部都事, 金聖休爲尙州牧使, 韓光協爲梁山郡守, 鄭雲濟爲固城縣令, 申 爲玄風縣監, 金載祿爲安峽縣監, 閔塾爲通禮, 李天輔爲社稷都提調


27. 영조 37년 4월 8일 정축 1761년 / 洪鳳漢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政事, 以洪鳳漢爲軍資都提調, 以金相魯爲社稷都提調, 以趙載浩爲御營都提調, 以洪鳳漢爲訓鍊都監都提調, 以金尙魯爲司譯都提調, 以洪鳳漢爲宗廟都提調, 又爲司僕提調, 以李益輔爲右參贊, 以元景淳爲刑曹參判, 以徐命彬爲左賓客, 以尹伋 [尹汲] 爲右賓客, 以洪啓禧爲藝文提學, 以李昌壽爲同成均, 以金相福爲尙衣提調, 以李憲默爲宗簿正, 以朴海潤爲司成, 以李喜謙...


28. 영조 38년 6월 11일 임인 1762년 參知有闕代, 前承旨李溵除授, 牌招入直。出傳敎 上曰 , 社稷都提調·提調皆未差云, 此時開政酬應爲難, 右相爲都提擧, 提調右參贊金致仁除授, 郞廳有闕代, 卽爲口傳擧行。出傳敎 上曰, 注書出去, 持入祭報府。賤臣承命持入。上命承旨, 書社稷親祭祭文, 獜漢 [麟漢] 編次訖。汲·獜漢 [麟漢] 先退。上曰, 注書出去, 房單子依例書入事, 分付政院。上曰, 房單子斯速...


29. 영조 38년 9월 20일 기묘 1762년 / 관원현황 鄭壎爲軍資直長, 李瀷爲軍資奉事。領議政申晩, 左議政洪鳳漢, 右議政尹東度, 復拜相事, 傳敎, 承文都提調三, 申晩· 洪鳳漢·尹東度。以申晩爲禁衛都提調·奉常都提調·宗廟都提調, 洪鳳漢爲御營都提調·軍器都提調·司僕提調, 尹東度爲社稷都提調·內醫都提調·司饔都提調, 依前仍兼事, 傳敎。童蒙敎官李渭, 繕工假監役林象九相換, 世孫師申晩, 世孫傅洪鳳漢。


30. 영조 39년 6월 17일 계묘 1763년 / 吏批의 관원현황 元景淳爲刑曹參判, 韓光會爲左尹, 李宜祿爲判決事, 鄭亨復爲判敦寧, 尹汲爲知經筵, 尹東暹爲同義禁, 鄭煥猷爲兵曹正郞, 朴相德爲全羅監司, 李得培爲通信從事官。右議政尹 東度拜相事傳敎。以左議政洪鳳漢爲兼世孫傅, 以尹東度爲承文都提調, 以尹東度爲司饔都提調, 以尹東度爲社稷都提調, 以尹東度爲訓鍊都監都提調, 徐命膺爲大司成, 尹汲爲左參贊, 李益輔爲右參贊。


31. 영조 41년 9월 12일 을유 1765년 / 관원현황 司諫, 邊得讓爲執義, 申思運爲獻納, 尹東度爲司饔都提調·社稷都提調·訓鍊都監都提調, 金善行爲戶曹參判, 徐命膺爲右尹, 鄭尙淳爲戶曹參議, 李宜老爲刑曹參議, 宋志淵爲兵曹佐郞, 閔弘烈爲中學敎授, 金魯鎭爲南學敎授, 李德鳳爲陽智縣監, 趙瑗爲弘陵參奉, 沈錡爲礪山府使, 李𥛚爲南陽府使。兵批啓曰, 景福宮衛將姜尙台, 昌德宮衛將宋奎徵, 病難供職, 兼司僕...


32. 영조 42년 4월 26일 을축 1766년 / 通禮院相禮 池應龍의 改差를 청하는 吏批의 啓 柳春馪爲司饔主簿, 李渭爲同福縣監, 李箕漢爲內資直長, 領議政洪鳳漢, 左議政金相福, 承文都提調領議政洪鳳漢, 左議政金相福, 奉常都提調洪鳳漢, 軍資都提調洪鳳漢, 軍器都提調洪鳳漢, 御營都提調洪鳳漢, 司僕提調洪鳳漢, 司饔都提調 尹東度, 社稷都提調尹東度, 訓鍊都提調尹東度, 禁衛都提調金相福, 司譯都提調金致仁, 宗廟都提調金致仁, 掌樂提調金致仁。


33. 영조 42년 9월 18일 을유 1766년 / 鄭存謙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李得一爲兼文學, 徐浩修爲兼司書, 徐命膺爲工曹參判, 鄭弘淳爲知經筵, 李最中爲同春秋, 領府事洪鳳漢爲社稷都提調, 判府事尹東度爲司饔都提調, 左議政金致仁爲訓鍊都提調, 判府事金相福爲禁衛都提調, 尹遠東爲刑曹正郞, 金挺藎爲軍器判官, 張旭爲直講, 李謙彬爲典籍, 閔百權爲明陵參奉, 金鍾正爲京畿監司, 柳成模爲吏曹正 郞, 南柱老爲長寧殿參奉, 李亨逵爲兼執義。


34. 영조 42년 12월 6일 임인 1766년 / 吏批의 관원현황 躋爲正言, 徐命臣爲刑曹參判, 洪樂仁爲兵曹參知, 尹東度爲社稷都提調·御營都提調, 金致仁爲軍資 都提調·軍器都提調, 徐志修爲奉常都提調, 尹汲爲司僕提調, 柳宅夏爲兵曹佐郞, 鄭東顒·鄭麟煥爲監察, 李寬鎭爲典簿, 李養和爲珍山郡守, 金頤柱爲鎭安縣監, 李益培爲兔山縣監, 趙㻐爲永柔縣令, 李仁霖爲安奇察訪, 安大濟爲栗峯察訪, 成大中爲蔚珍縣令, 尹東度爲領議政, 金...


35. 영조 43년 1월 4일 기사 1767년 / 吏批의 관원현황 爲副修撰, 鄭存 謙爲右尹, 尹東度爲宗廟都提調, 徐志修爲社稷都提調, 金陽澤爲司僕都提調, 徐志修爲司譯都提調, 金致仁爲訓鍊都監都提調, 韓翼謩爲御營都提調, 金陽澤爲軍資都提調, 金相喆爲司饔都提調, 金陽澤爲軍器都提調, 鶴城君楡爲司饔提調, 李昌誼爲掌樂提調, 李景祜爲掌苑提調, 柳雲翼爲吏曹佐郞, 林榟爲典牲主簿, 李光台爲寶城郡守, 許㵓爲孝章墓守衛官。


36. 영조 43년 3월 19일 계미 1767년 / 吏批의 관원현황 領議政金致仁爲社稷都提調, 領議政金致仁爲司譯都提調, 右議政金尙喆爲禁衛都提調。兵批, 判書李昌誼侍衛進, 參判洪名漢病, 參議金龜柱入直進, 參知沈勗之病, 右副承旨洪樂純進。領府事單尹東度, 判府事金陽澤·李益炡, 副護軍尹勉憲·李聖檍·任瑎·洪檍, 副司直鄭宲·洪名漢·金龜柱·洪應輔·尹承烈·兪彦鎬·金魯淳·盧廷元·李東遇·李益普, 副司正韓德厚·尹弼秉。單付


37. 영조 45년 4월 5일 정사 1769년 / - 一體擧行, 祭文當製下, 望祭兼告由擧行。又命書之曰, 今聞社稷都提調所奏, 社壇不可不及時修補, 祭文製下, 令儀曹擇日擧行。又命書之曰, 社壇·太廟修補處, 三曹判書董役事, 分付。司諫李顯祚啓曰, 罪人天大之窮凶情節, 昭載於乙亥鞫案, 至今專保首領, 終是失刑之大 者。旣拿旋配, 雖出於聖上好生之德, 此等凶徒, 決不容一向涵貸。請還寢鍾城府爲奴罪人天大酌處之命,...


38. 영조 45년 4월 10일 임인[임술] 1769년 / - 金季良, 草芝僉使徐命緯, 其令今日回官。出傳敎 鳳漢曰, 社稷都提調與禮·戶判奉審後, 使臣亦爲更稟, 故敢達矣。月臺 則當爲補築, 而灰墻亦爲間間補頹矣, 更爲詳察, 則不得不改築, 故戶曹郞廳, 方爲來待矣。上曰, 誰也? 鳳漢曰, 故參議李德重之子, 臣之甥姪也。上曰, 戶曹郞廳入侍。出榻敎 戶曹郞廳進伏, 上曰, 着實看審, 可也。灰之堅固, 當在於善搗矣。戶...


39. 영조 46년 1월 10일 무자 1770년 / 吏批의 관원현황 漢, 司僕 都提調領府事洪鳳漢, 軍器都提調判府事金相福, 社稷都提調領議政金致仁, 司譯都提調領議政金致仁, 軍資都提調領議政金致仁, 訓鍊都提調領議政金致仁仍任事, 承傳。世孫傅左議政韓翼謩, 右議政金尙喆, 以鄭象仁爲副應敎, 金魯淳爲校理, 李得臣爲副校理, 金履禧爲副修撰, 申景濬爲掌樂正, 徐命敏爲義城縣令, 李邦緯爲仁同府使, 李鎭翼爲義興縣...


40. 영조 46년 10월 5일 정축 1770년 / 吏批의 관원현황 領府事金相福爲軍資都提調, 領議政金 致仁爲同僕都提調, 左議政韓翼謩爲訓鍊都提調, 領議政金致仁爲司譯都提調, 領議政金致仁爲社稷都提調, 韓後樂爲康津縣監, 任聖周爲司導 [司䆃] 主簿, 任希曾爲正言, 金龍見爲崇寧殿參奉, 金時默爲兼知經筵, 李溵爲同經筵, 金履權爲學諭, 李致中爲兼執義, 兼持平金載祿減下, 副護軍李泰祥嘉義, 今加資憲, 五子登科, 依法典賞加。


41. 영조 47년 4월 28일 무술 1771년 / 吏批의 관원현황 參判李潭未肅拜, 參議洪樂純進, 行都承旨嚴璘進, 奉常都提調金陽澤, 司饔都提調單金尙喆, 司僕都提調單金致仁, 軍器都提調單金相福, 軍資都提調單金相福, 司譯都提調單金致仁, 宗廟都提調單韓翼謩, 社稷都提調單金致仁, 訓鍊都監都提調單金相福, 御營都提調單韓翼謩, 禁衛都提調單金尙喆, 世孫傅單韓翼謩, 承文都提調二單金致仁·韓翼謩, 領議政金致仁, 左議政韓翼 謩。


42. 영조 48년 9월 4일 병신 1772년 / 吏批의 관원현황 宋持敬爲內侍敎官, 金鼎濟爲康陵參奉, 蔡弘履爲黃海都事, 韓光近爲慶尙都事, 領議政金相福爲訓鍊都提調, 領府事金陽澤爲司譯軍資都提調, 判府事韓翼謩爲禁衛都提調, 左議政金尙喆爲司饔御營都提調, 判府事李昌誼爲社稷都提調, 判府事申晦爲宗廟都提調, 判府事李思觀爲軍器都提調, 右議政元仁孫爲奉常都提調, 曺允光爲司饔奉事, 李昌伋·安大 濟爲吏曹正郞。


43. 영조 49년 1월 10일 경자 1773년 / 吏批의 관원현황 金翊休爲佐郞, 趙翼鉉爲刑曹正郞, 金相福爲社稷都提調, 李邦五爲社稷令, 鄭養善爲顯陵令, 洪志漢爲恭陵令, 金常行爲監察, 崔粹冕爲司宰奉事, 黃仁煦爲萬寧殿參奉, 洪大宇爲懿陵參奉, 任希聞爲思陵參奉, 鄭宇淳爲慶尙都事, 任觀周爲忠淸都事, 金復休爲江原都事, 徐有臣爲慶尙左道京試官, 金夏材爲忠淸左道京試官, 蔡弘履爲全羅左道京試官, 尹得毅爲平安南道京試官。


44. 영조 49년 4월 9일 정유 1773년 / 吏批의 관원현황 ○ 吏批, 再政, 判書李潭進, 參判鄭尙淳進, 參議洪良漢式暇, 都承旨具㢞進。以鄭尙淳爲吏曹參判, 申晦爲社稷都提調, 金陽澤爲宗廟都提調, 金相福爲奉常都提調, 金尙喆爲軍資都提調, 韓翼謩爲訓鍊都提調, 李溵爲禁衛都提調, 李敬玉爲兵曹參知, 徐退修爲工曹佐郞, 申熤爲刑曹佐郞, 金晉鐸爲社稷令, 卞相璧爲谷城縣監, 洪紹海爲扶餘縣監, 姜潤爲江界府使。


45. 영조 51년 4월 22일 기해 1775년 /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吏批, 判書趙重晦式暇, 參判尹得養進, 參議金致讓進, 右副承旨李命彬進。領議政申晦, 復授前任事, 傳敎。奉常都提調領府事金相福, 軍器都提調領府事金相福, 社稷都提調領議政申晦, 都監都提調領府事金相福, 御營都提調領議政申晦, 司僕都提調領府事金相福, 以上仍前事, 傳敎。以李世奭爲司諫, 鄭日謙爲副修撰。禮曹佐郞朱重純, 今加通政。


46. 영조 51년 8월 8일 계미 1775년 / 政事가 있음. 관원현황 仍爲之。又啓曰, 全羅監司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乏少, 本曹堂上及承旨, 竝擬, 何如? 傳曰, 允。以金致信爲注書, 鄭一祥爲修撰, 金憙爲說書, 黃昇源爲兼文學, 黃樟爲吏曹佐郞, 兪漢吉爲司饔主簿, 尹行儼爲奉事, 宋日休爲典設別檢, 金陽澤爲社稷都提調, 申晦爲御營都提調, 安兼濟爲全羅監司, 朴晉壽爲恩津縣監, 李重祜爲冬至正使。漢學敎授單洪樂任, 學正單李迪喆。


47. 정조 즉위년 9월 10일 무인 1776년 /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吏批, 判書李重進, 參判徐浩修受由在外, 參議未差, 同副承旨尹弘烈進。徐有防爲承旨, 領府事金致仁爲御營都提調, 金致仁爲軍器都提調, 金致仁爲社稷都提調, 洪樂性爲典設提調, 金普淳爲兵曹參議, 成鼎鎭爲佐郞, 嚴思晩爲務安縣監, 洪進浩爲永平縣令, 成德雨爲靈山縣監, 李鎭衡爲副應敎。


48. 정조 1년 3월 9일 을해 1777년 /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吏批, 判書徐命善式暇, 參判沈履之進, 參議未差, 同副承旨李獻慶進。啓曰, 判書徐命善式暇, 參議未差, 小臣獨政未安, 何以爲之? 敢稟。傳曰, 仍爲之。以張志恒爲判尹, 崔烜爲兵曹佐郞, 洪樂顯爲監察, 尹得養爲分內局提調, 領敦寧單金陽澤, 前領敦寧金陽澤爲社稷都提調, 金陽澤爲宗廟都提調, 李溵爲御營都提調, 知義禁單張志恒。


49. 정조 1년 10월 17일 기유 1777년 / 吏批의 관원현황 李采爲刑曹佐郞, 洪樂命爲弘文提學, 鄭志儉爲南學敎授, 金尙喆爲宗廟都提調, 徐命善爲社稷都提調, 鄭存謙爲軍資都提調, 丁志元 爲典籍, 鄭珒爲全羅都事, 卜台鎭爲結城縣監, 李秉模爲禮曹參議, 學錄姜鳳瑞, 學諭金文瑞單付。兵批, 判書鄭弘淳病, 參判嚴璹入直進, 參議未差, 參知李敬養病, 右副承旨吳載紹進, 副司直鄭光漢·徐有防, 副司果尹尙東, 南漢留營別將鄭洛單付。


50. 정조 2년 12월 2일 무오 1778년 出仁和門, 至乘輿所。左通禮, 跪請降輿乘輦。國榮曰, 俄者社稷都提調送言, 以社署守僕輩, 專昧祭禮, 莫重享祀, 有難擧行。自前太廟守僕, 有推 移以用之例, 今亦依此爲之則似好云, 故敢達矣。上曰, 太廟守僕之不得借用, 旣有先朝受敎, 以太常事知守僕推移, 好矣。左通禮啓請大駕進發。大駕出敦化門。上曰, 禮房承旨, 馳詣宗廟永禧殿·景慕宮, 奉審以來。駕前下敎 大駕入...

51. 정조 3년 9월 29일 경진[경술] 1779년 / 吏批의 관원현황 何以爲之? 敢稟。傳曰, 仍爲之。又啓曰, 領議政金尙喆許副事, 命下矣。當爲置處, 而領敦寧一窠, 他大臣今方見帶, 本曹無相當窠, 依例送西之意, 敢啓。傳曰, 知道。以李秉模爲工曹參議, 徐命善爲宗廟都提調, 鄭弘淳爲社稷都提調, 徐命善爲訓鍊都監都提 調, 洪樂純爲司僕提調, 洪樂彬爲慶尙監司, 領議政徐命善, 左議政洪樂純, 承文正字宋相殷單付, 兼持平沈樂洙減下。


52. 정조 8년 3월 15일 경자 1784년 / 權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再政。以權噵爲知經筵, 鄭昌淳·宋文載爲同經筵。三政。以洪樂命爲左參贊, 朴祐源爲同敦寧, 吳載純爲同經筵, 徐浩修爲知經筵, 鄭存謙爲社稷都提調, 李𡊠爲軍器提調, 趙武範爲奉常正, 邊聖遇爲禮曹佐郞, 金遇國爲典籍, 趙弘鎭爲中學敎授, 洪樂性爲內局都提調。


53. 정조 10년 7월 25일 병인 1786년 /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吏批, 判書兪彦鎬進, 參判趙時偉牌不進, 參議李集斗牌不進, 行都承旨沈豐之進。以鄭存中爲刑曹參議, 金尙喆爲軍器都提調, 鄭存謙爲社稷都提調, 徐浩修爲軍器提調, 李亨權爲北部都事, 鄭允中爲典籍, 金尙集爲刑曹判書, 訓鍊都監提調單徐浩修, 禁衛提調單徐浩修, 御營提調單徐浩修。


54. 정조 15년 1월 11일 병술 1791년 /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吏批, 判書洪良浩進, 參判閔鍾顯式暇, 參議曺允大進, 行都承旨柳戇進。以鄭昌順爲禮曹判書, 金思穆爲工曹判書, 洪樂性爲社稷都提調, 徐命善爲軍器都提調, 沈象奎爲義盈直長, 李秉模爲禮賓提調, 監察李福休, 禮曹佐郞崔履亨相換, 監察李世胤, 禁府都事權襈相換, 監察姜善鎭, 禁府都事沈能寬相換。


55. 정조 23년 2월 23일 신해 1799년 / 吏批의 관원현황 金載瓚爲知敦寧, 金翊休爲刑曹判書, 沈煥之爲社稷都提調, 金憙爲奉常都提調, 沈煥之爲軍資都提調, 金憙爲御營都提調, 李致中爲分內醫提調, 金文淳爲軍器提調, 養賢主簿單李勉昇, 以韓啓重爲濟用 判官, 東學訓導單韓喆濟, 典籍許栮, 監察孫鎭翼相換, 監察崔崑, 掌樂主簿尹光垂相換, 監察韓德增, 都摠都事柳豐逵相換, 監察安思默, 都摠都事黃勉基相換。


56. 정조 23년 3월 21일 기묘 1799년 / 尹序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李秉鼎爲刑曹判書, 鄭民始爲工曹判書, 李勉兢爲戶曹參判, 南公轍爲禮曹參判, 鄭大容爲兵曹參判, 李秉模爲奉常都提調, 沈煥之爲御營都提調, 金晦彬爲奉常正, 李永老爲義禁府都事, 李宇炯爲監察, 愼宜學爲元陵別提, 趙元傅爲兼引儀, 社稷都提調單沈煥之, 景慕宮都提調單沈煥之, 軍資都提調單沈煥之, 壯勇都提調單沈煥之, 典 醫都提調單沈煥之, 以上仍任事承傳。


57. 순조 2년 12월 8일 을사 1802년 / 吏批의 관원현황 以吳泰賢爲大司諫, 尹久東爲副修撰, 徐美修爲兵曹參判, 宋銓爲左尹, 朴命燮爲工曹參議, 李時秀爲社稷都提調, 李時秀爲御營都提調, 李時秀爲軍資都提調, 趙鎭寬爲典醫提調, 金弘澤爲典設別提, 金洛龍爲昭寧園守奉 官, 金基厚爲平壤庶尹, 黃明漢爲寧陵令, 矢人朴春蕃今加通政加資事, 承傳, 前縣令洪勉謙通訓今加通政, 貴主疹候時醫官加資事, 承傳, 以金魯忠爲楊州牧使。


58. 순조 4년 8월 1일 정사 1804년 ○ 以社稷都提調望筒, 傳于嚴耆曰, 仍任。


59. 순조 4년 8월 1일 정사 1804년 / 吏批의 관원현황 參議尹光顔牌招不進, 左承旨嚴耆進。 以李晩秀爲司譯提調, 洪義謨爲內贍提調, 愼性眞爲宗簿正, 鄭進明爲典籍, 社稷都提調李時秀, 景慕宮都提調李時秀, 軍器都提調李時秀, 軍資都提調李時秀, 禁衛都提調李時秀, 以上仍任事傳敎。 進士洪梡年七十, 今超通政, 侍從臣前持平洪百儀父加資事, 承傳, 前郡守尹益儉, 前府使柳相穆, 已上今加通政加資事 , 兵曹覆啓判下。


60. 순조 4년 12월 6일 신유 1804년 / 吏批의 관원현황 韓興裕爲執義, 金相休爲校理, 金蓍根·李勉求爲修撰, 李尙愚·李渭達爲副修撰, 金箕象爲刑曹參議, 李敬一爲宗廟都提調, 李敬一爲社稷都提調, 徐邁修爲景慕宮都提調, 徐邁修爲奉常寺都提調, 李敬一爲軍 資監都提調, 徐邁修爲司譯院都提調, 趙尙鎭爲司饔提調, 徐瀅修爲司宰提調, 徐美修爲瓦署提調, 李錫祐爲吏曹正郞, 權行彦爲吏曹佐郞, 閔養世爲兵曹佐郞, 權伋爲慶基殿令。


61. 순조 8년 2월 13일 기묘 1808년 / 吏批의 관원현황 參判朴崙壽式暇, 參議閔命爀進, 右副承旨朴宗薰進, 啓曰, 判書李始源受由在外, 參判朴崙壽式暇, 小臣獨政未安, 何以爲之? 敢稟。傳曰, 只出緊任。以李勉求爲執義, 安廷善爲司諫, 尹在陽爲獻納, 金履度爲知義禁, 鄭進明爲吏曹正郞, 李羲甲爲黃海監司, 李在翼爲掌樂主簿, 李時秀爲宗廟都提調, 李時秀爲社稷都提調, 李時秀爲訓鍊都監都提調, 李時秀爲 軍資都提調。


62. 순조 21년 11월 18일 을축 1821년 / 吏批의 관원현황 提調, 金思穆爲軍器都提調, 金載瓚爲司譯都提調, 金載瓚爲社稷都提調, 金思穆爲訓鍊都監都提調, 韓用龜爲御營都提調, 尹師 殷爲禮曹正郞, 曺錫龜爲工曹佐郞, 李馨秀爲掌樂正, 林處鎭爲司成, 洪秉翼爲司僕僉正, 李復鉉爲司䆃僉正, 李晦淵爲濟用判官, 文慶愛爲光陵令, 張鉉忠爲章陵令, 鄭德和爲注書, 丁義準爲宗簿直長, 黃基協爲軍資奉事, 宋直圭爲假監役...


63. 순조 27년 6월 27일 신축 1827년 / 吏批의 관원현황 小臣獨政未安, 何以爲之? 敢稟。 傳曰, 仍爲之。 以趙貞喆爲大司憲, 李元八爲大司諫, 林翰鎭爲執義, 鄭顯璞爲持平, 李廷郁爲昭顯墓守衛官, 黃履健爲懿昭墓守衛官, 韓用龜爲社稷都提調, 南公轍爲司譯都提調, 南公轍爲禁衛都提調, 金敎根爲司僕提調, 內資直長李玹, 司饔直長洪範猷相換, 綾州牧使金宅善, 西原縣監李德秀相換, 兼養賢直長單朴偀, 兼春秋單宋應龍。


64. 순조 28년 6월 24일 임진 1828년 洪範猷·洪益謨爲氷庫別提, 金耆升爲兵曹佐郞, 李海慶爲莊陵令, 南公轍爲宗廟都提調, 李相璜爲社稷都提調, 南公轍爲奉常都提調, 金思穆爲軍資都提調, 李相璜爲御營都提調, 洪鍾浩爲活人別提, 洪淳謨爲司圃直長, 李象祖爲內資直長, 蔡文永爲龍川府使, 尹永培爲龜城府使, 韓弘敎爲掌令, 金鍏爲宗簿正, 李在鶴爲咸平縣監, 柳幼獜爲海南縣監, 李賢默爲庇仁縣監。


65. 헌종 8년 3월 8일 정사 1842년 /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 吏批, 判書金左根進, 參判洪在喆在外未肅拜, 參議洪鍾應病, 右副承旨李明迪進。 以金弘根爲社稷都提調, 鄭元容爲景慕宮都提調, 趙寅永爲奉常都提調, 金弘根爲軍器都提調, 趙寅永爲軍資都提調, 鄭元容爲御營都提調, 金載斗爲監察, 文治協爲安陵參奉, 張敎根爲江原監司, 張周翼爲忠淸都事, 金致坤爲咸鏡都事。


66. 헌종 9년 1월 9일 임자 1843년 / 權敦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批, 再政。 以權敦仁爲社稷都提調, 權敦仁爲軍器都提調, 權敦仁爲都監都提調, 金道喜爲惠民提調, 南獻敎爲大司成, 金大默爲典籍, 成均博士單金夏鎭, 承文著作單金政源。


67. 철종 2년 6월 26일 신사 1851년 / 吏批의 관원현황 添書爲司僕都提調, 金興根添書爲司譯都提調, 朴永 元添書爲社稷都提調, 鄭元容爲訓鍊都監都提調, 李珽爲獻納, 鄭獻敎·李翔峻爲正言, 金有淵爲應敎, 柳進翰爲副應敎, 姜冕奎·洪在重爲校理, 鄭駿容·權永秀爲副校理, 尹堉·南鍾三爲修撰, 朴文鉉·李承益爲副修撰, 洪遠燮爲大司成, 李參鉉爲承旨, 鄭愚容爲長城府使, 金獻淳爲長興府使, 金泳根爲黃州牧使, 任五常爲襄...


68. 철종 6년 2월 28일 신유 1855년 / 申錫愚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再政。 以申錫愚爲同敦寧, 趙秉學爲工曹參議, 領議政金左根爲軍資都提調·社稷都提調, 洪在喆爲軍器提調, 羅時鏞爲奉常僉正, 趙縉鎬爲軍資奉事, 趙秉球爲健陵參奉, 李雲承爲顯隆園參奉。 訓鍊都監提調單洪在喆, 禁衛提調單洪在喆, 御營提調單洪在喆。


69. 철종 9년 6월 22일 병인 1858년 ○ 傳曰, 宗廟都提調許副, 領府事爲之, 社稷都提調許副, 金判府事爲之, 御營都提調之代, 金判府事爲之, 奉常都提調之代, 領議政爲之, 景慕宮都提調之代, 左議政爲之。


70. 철종 12년 2월 19일 정축 1861년 吏批, 行判書金學性進, 參判李宜翼牌招不進, 參議沈舜澤進。 以鄭基會·趙秉式爲正言, 朴蘭壽爲副應敎, 李承五·李鍾律爲副校理, 申錫禧爲禮曹判書, 金炳淵爲大司成, 鄭元容爲社稷都提調, 鄭元容爲奉常都提調, 金有淵爲知春秋, 洪淳穆爲同經筵, 洪大薰爲軍器正, 李晩耆爲典籍, 前承旨金有淵今加嘉善, 訓鍊正鄭海崙今加通政, 前監察金顯文今加通政加資事承傳, 安昌君單權 。


71. 철종 12년 5월 10일 정유 1861년 ○ 傳于柳芝榮曰, 社稷都提調左議政爲之, 永禧殿都提調金判府事爲之。


72. 철종 12년 8월 16일 임신 1861년 ○ 吏批, 再政。 以朴蘭壽爲應敎, 趙秉式爲副校理, 閔達鏞爲副修撰, 金炳弼爲戶曹參判, 宋台霖爲敦寧都正, 徐臣輔爲大司成, 鄭元容爲社稷都提調, 鄭元容爲軍資都提調, 趙璟淳爲掌樂正, 鄭基䄵爲忠勳都事, 李敬愚爲海美縣監。


73. 철종 12년 9월 2일 정해 1861년 ○ 傳于黃鍾顯曰, 社稷都提調有闕之代, 前望單子入之。


74. 철종 12년 9월 2일 정해 1861년 ○ 社稷都提調前望單子入之, 領府事金興根落點。


75. 철종 12년 12월 9일 임술 1861년 ○ 傳于金完植曰, 社稷都提調, 南殿都提調有闕之代, 左議政爲之。


76. 철종 13년 4월 1일 계축 1862년 ○ 傳曰, 社稷都提調有闕之代, 領府事爲之, 景慕宮都提調有闕之代, 領議政爲之。


77. 철종 13년 12월 24일 신축 1862년 觸冒風寒, 積亘痰注, 咳嗽暈眩, 委席不省, 日次起居, 亦未自力, 隳義虧分, 悚懼不寧。 臣之見叨是任, 閱月之久, 而僅爲一番趨參, 每每闕進, 實由於力不從心而然也。 伏乞亟解藥院之任, 且臣所帶社稷都提調之銜, 以其重任之難於久縻, 前已辭遞, 今玆重拜, 亦已多月, 伏願竝賜遞解焉。 答曰, 省疏具悉卿懇。 愼節奉慮, 卿其勿辭, 安 心調理。 仍傳曰, 此批答, 遣史官傳諭。


78. 철종 14년 1월 28일 을해 1863년 ○ 領議政鄭元容箚曰, 伏以藥院職分, 在於日次起居, 而緣臣癃病, 間多闕參。 且自日來, 咳嗽苦劇, 眠食俱損, 流痰牽引, 動作末由, 經歲虛縻, 悚懼滋大。 伏乞俯賜鑑諒, 亟解院任社稷都提調之銜, 前箚已陳請遞之意, 伏願竝賜恩諒焉。 答曰, 省箚具悉卿懇。 愼節奉慮, 所辭藥院之任, 今姑勉副, 卿其安心調理。 仍傳曰, 此批答, 遣史官傳諭。


79. 고종 1년 8월 12일 갑진[경진] 1864년 ○ 社稷都提調之代, 右議政爲之。


80. 고종 2년 4월 24일 무자 1865년 ○ 傳曰, 社稷都提調有闕之代, 左議政爲之。


81. 고종 2년 5월 14일 무신 1865년 牌不進, 罷職傳旨, 傳于徐臣輔曰, 只推。傳于尹秉鼎曰, 社稷都提調·奉常都提調有闕之代, 判府事爲之。傳于尹秉鼎曰, 明日孝文殿晝茶禮, 當自內親行矣, 該房知悉。 傳于申轍求曰, 召對爲之。傳于尹秉鼎曰, 發遣吏郞, 諸執事淸齋與否, 摘奸以來。傳于徐臣輔曰, 擧行駭妄之中官白樂胤, 令該府拿囚, 嚴刑一次, 遠惡地定配。尹秉鼎啓曰, 吏曹判書洪鍾序, ...


82. 고종 3년 2월 1일 신묘 1866년 尹堉曰, 景福宮役所工匠, 令營建都監乾犒饋。傳于尹堉曰, 社稷都提調有闕之代, 右議政爲之。傳于尹堉曰, 都承旨疏批已下, 卽爲牌招。傳于尹堉曰, 原仕副提學 金炳弼, 檢校差下。尹堉啓曰, 弘文提學趙然昌疏批已下, 卽爲牌招, 何如? 傳曰, 允。傳于尹堉曰, 吏曹參判有闕之代, 前望單子入之。吏曹參判前望單子入之, 崔遇亨落點。兵曹口傳政事, 護軍單...


83. 고종 9년 3월 11일 을미 1872년 ○ 社稷都提調前望入之, 領議政金炳學落點。


84. 고종 9년 11월 7일 무자 1872년 都正, 洪淳穆爲司譯都提調, 洪淳穆爲宗廟都提調, 洪淳穆爲社稷都提調, 洪淳穆爲永禧殿都提調, 權益洙爲右通禮, 鄭在憲爲假監役, 曺裕承爲英陵參奉, 許 爲彦陽縣監, 冬至兼謝恩正使單金壽鉉, 副使單南廷益, 書狀官單閔泳穆, 兼掌令單閔泳穆, 金海府使鄭顯奭, 限一瓜仍任事承傳, 校書著作單白璿行, 正字單李東相, 副正字單崔德明。 故持平金錫泰贈戶參例兼, 故持...


85. 고종 10년 11월 13일 무오 1873년 ○ 吏批啓曰, 行判書金炳㴤未肅拜, 參議張錫龍式暇, 小臣獨政未安, 何以爲之? 敢稟。 傳曰, 仍爲之。 以徐衡淳爲知經筵, 黃普淵爲左通禮。 領議政單李裕元, 宗廟都提調單李裕元, 社稷都提調單李裕元, 永禧殿都提調單李裕元, 景慕宮都提調單李裕元, 司饔都提調單李裕元, 軍器都提調單李裕元, 軍資都提調單李裕元。


86. 고종 11년 12월 28일 정유 1874년 ○ 傳曰, 社稷都提調·永禧殿都提調·軍器寺都提調·司譯都提調·訓鍊都監都提調有闕之代, 前領議政爲之。


87. 고종 12년 7월 20일 갑인 1875년 ○ 有政。 吏批, 判書金在顯進, 參判南廷益進, 參議趙秉友在外, 承旨缺。 以金炳學爲社稷都提調, 宋熙斗爲監役, 金在珩爲昌陵參奉, 李敏中爲仁川府使。 再政。 以徐恒輔爲假監役。


88. 고종 16년 10월 10일 경술 1879년 參議, 李根秀爲刑曹參議, 尹成鎭爲大司成, 領府事李裕元爲社稷都提調, 金炳翊爲同經筵, 金昌熙爲同義禁, 尹榮信爲同春秋, 徐夔淳爲司僕正, 韓兢烈爲奉常正, 朴孝憲爲漢城庶尹, 南秉文爲吏曹佐郞, 韓用肯爲奉常主簿, 李中彦爲典籍, 趙性喜爲義盈直長, 李重哲爲東部都事, 宋道淳爲南學敎授, 洪膺周爲密陽府使, 金胤鉉爲洪州牧使, 尹 爲長興府使, 李喆南 爲延...


89. 고종 17년 10월 17일 병자[임자] 1880년 ○ 吏批, 再政。 以金晳根爲同春秋, 朴斗陽爲中學敎授, 閔丙奭爲西學敎授, 洪在光爲假監役, 領敦寧洪淳穆爲社稷都提調, 領敦寧洪淳穆爲軍器都提調。 領敦寧洪淳穆禁衛都提調, 義禁府都事李喬宰, 司饔奉事金禎均, 已上相換事, 承傳。 李羲冕爲徽慶園守奉官。


90. 고종 20년 10월 8일 을묘 1883년 ○ 傳曰, 社稷都提調·軍資都提調有闕之代, 右議政爲之。


91. 고종 21년 2월 11일 정사 1884년 ○ 傳于李萬稙曰, 宗廟都提調有闕之代, 領府事爲之, 社稷都提調有闕之代, 左議政爲之。


92. 고종 21년 10월 16일 정해 1884년 ○ 傳于曺寅承曰, 社稷都提調有闕之代, 右議政爲之。


93. 고종 23년 11월 15일 갑진 1886년 ○ 傳于黃耆淵曰, 社稷都提調有闕之之代, 金判府事爲之。


94. 고종 23년 12월 10일 무진 1886년 ○ 傳于金永悳曰, 社稷都提調有闕之代, 領議政爲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