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의 예복-연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궁중연향]]에 대비·왕대비·대왕대비는 수식(首飾)·적의(翟衣) 차림으로 참여하였다. 적의는 왕비를 포함하여 왕실의 적통을 잇는 비빈들이 착용하는 대례복이다.<ref>"[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65 적의(翟衣)]",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속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민속박물관.</ref> 왕비의 적의는 대홍색, 세자빈의 적의는 아청색, 대비의 적의는 자적색이다.<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209쪽</ref> [[궁중연향]]에 왕비는 수식(首飾)·적의(翟衣) 차림으로 참여하였다. 적의는 왕비를 포함하여 왕실의 적통을 잇는 비빈들이 착용하는 대례복이다.<ref>"[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165 적의(翟衣)]",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속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민속박물관.</ref> 왕비의 적의는 대홍색, 세자빈의 적의는 아청색, 대비의 적의는 자적색이다.<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209쪽</ref> 적의는 여러 가지의 구성물로 일습을 이루는데, 존숭(尊崇)·진연(進宴) 복장에는 면사(面紗)가 포함되어 있다.<ref>『尙方定例』 進宴時·尊崇時</ref> 다만 연향때에 면사를 사용하였다면 궁에서 이동할 때에 사용했을 것으로 짐작된다.<ref>이은주·이경희, 「1829년 자경전 진찬에 참여한 왕실 구성원과 내외빈(內外賓)의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20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17, 75쪽.</ref> 수식은 영친왕비의 대수(大首)와 같은 형태의 머리이며, 대수형의 수식은 규모와 무게가 작지 않아 연향에 참여하는 내내 머리에 얹은 채 있기 어려웠을 것이므로 좀 더 간편한 머리모양인 첩지머리나 족두리를 올린 머리모양을 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ref>이은주·이경희, 「1829년 자경전 진찬에 참여한 왕실 구성원과 내외빈(內外賓)의 복식 연구」, 『한복문화』, 제20권 2호, 한복문화학회, 2017, 73쪽.</ref>
+
[[궁중연향]]에 대비·왕대비·대왕대비는 수식(首飾)·적의(翟衣) 차림으로 참여하였다. 머리에는 [[사권화|사권화(絲圈花)]]를 꽂았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1년 5월 5일 (수) 11:08 판

Definition

궁중연향에 대비·왕대비·대왕대비는 수식(首飾)·적의(翟衣) 차림으로 참여하였다. 머리에는 사권화(絲圈花)를 꽂았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대비의_예복-연향 Clothing 복장 대비 대비의 예복-연향(禮服-宴享) 대비의 예복-연향 禮服-宴享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대비의_예복-연향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대비의_예복-연향
대표명칭 대비의 예복-연향
한자표기 大妃의 禮服-宴享
이칭/별칭
분류 예복
착용신분 대비
착용성별 여성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대비의_예복-연향 대수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사권화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예복_적의-대비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자적별의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전행웃치마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대대-왕실여성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후수-왕실여성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폐슬-왕실여성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하피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적말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적석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저고리-여성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스란치마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대란치마 hasPart
대비의_예복-연향 여성_예복_속옷일습 hasPart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