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화당 주련 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big>(2) 雲裏帝城雙鳳闕(운리제성쌍봉궐) 구름 속 도성에는 한 쌍의 봉궐(鳳闕)이요,</big>
+
  (5) 偶坐南池注水經(우좌남지주수경) 우연히 남지에 앉아 『수경(水經)』에 주석을 하네. </big>
 
도성 안의 구름 속에 우뚝 솟아 있는 궁궐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당나라 시인 왕유(王維, 701~761 또는 699~759년) 5)의 「봉화성제 종봉래향흥경각도중 유춘우중 춘망지작 응제(奉和聖製 從蓬萊向興慶閣道中 留春雨中 春望之作 應制;임금께서 지으신 「봉래궁에서 흥경궁을 가는 행각에서 봄비에 취해」 작품에 화답하여 짓다)」에서 따온 구절인데 짝이 되는 뒤의 구절은 현재 분실되었다. 분실된 뒤 구절은 다음과 같다. 창덕궁의 연경당(演慶堂)과 한정당(閒靜堂)에도 같은 문구의 주련이 짝이 갖추어져 걸려 있다.
 
  
雨中春樹萬人家(우중춘수만인가) 빗속의 봄 숲에는 수많은 인가로다.
+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은자를 그렸다. 동쪽 누각에서 한가로이 화사, 곧 화초에 대한 책을 다듬어 보고, 남쪽 연못에서 『수경』에 주석을 다는 은자의 모습을 표현했다. 창덕궁 낙선재에도 같은 구절의 주련이 걸려 있다.
  
 
+
‘남지(南池)’는 중국의 호남성(湖南省) 영릉현(零陵縣)에 있는 지명으로 당나라의 시인 유종원(柳宗元, 773~819년)이 여기서 잔치를 한 적이 있다. 이와 관련해 유종원이 지은 「배최사군유연남지서(陪崔使君遊宴南池序)」라는 글이 있다.
  
 +
제작 정보 : 왼쪽에 필사자를 나타내는 ‘鐵保(철보)’라는 글이 적혀 있고, 아래에는 ‘又字鐵卿(우자철향)’이라는 낙관이 새겨져 있다.
 +
철보(1752~1824년)는 호가 매암(梅庵), 자가 야정(冶亭)으로 만주 출신의 청나라 서예가이며 당대의 명가인 유용(劉墉, 1719~1804?년), 옹방강(翁方綱, 1733~1818년)  등과 명성이 나란하였다. 조선의 북학파 학자인 박제가(朴齊家, 1750~1805년)와 교유하여 자주 서신을 왕래하였으며, 박제가는 연작 「회인시(懷人詩)」에서 세 차례나 그에 대해 읊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4번째 줄: 24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함화당_주련_2]]|| Object||물품||주련||함화당 주련 2(咸和堂 柱聯 2)||함화당 주련 2||咸和堂 柱聯 2||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함화당_주련_2||
+
|[[함화당_주련_5]]|| Object||물품||주련||함화당 주련 5(咸和堂 柱聯 5)||함화당 주련 5||咸和堂 柱聯 5||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함화당_주련_5||
 
|}
 
|}
  
88번째 줄: 88번째 줄: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_18]] || hasPart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_18]] || hasPart ||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함화당||서울특별시_종로구||함화당||咸和堂||37.5787304  || 126.974032  ||46.32 m (151.96 ft)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lunarDate || solarDat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empor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
 
|}
 
 
 
==Online Referen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위키 실록사전 ||함화당(咸和堂)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함화당(咸和堂)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복궁함화당(景福宮咸和堂)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6898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 태조 4년 9월 29일 || ||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409029_006
 
|-
 
| 참고 || 조선왕조실록사전 || 함화당(咸和堂) ||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4706
 
|-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Notes==
 
 
<references/>
 
 
==Semantic Network Graph==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건조물]] [[분류:김은숙]]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함화당_주련]]|| Object||물품||주련||함화당 주련(咸和堂 柱聯)||함화당 주련||咸和堂 柱聯||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함화당_주련||
 
|}
 
 
 
===Additional Attributes===
 
 
* [[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propertyName || value
 
|-
 
| id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 || isPartOf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2]]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3]]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4]]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5]]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6]]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7]]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8]]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9]]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0]]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1]]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2]]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3]]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4]]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5]]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6]]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7]] || hasPart ||
 
|-
 
| [[함화당_주련]] || [[함화당_주련18]] || hasPart ||
 
 
|}
 
|}
  

2020년 10월 5일 (월) 04:2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집경당과 내부에서 서로 왕래할 수 있도록 복도 삼간으로 이어져 있는 함화당의 기둥에는 18개의 주련이 붙어 있다. [1] [2]


(5) 偶坐南池注水經(우좌남지주수경) 우연히 남지에 앉아 『수경(水經)』에 주석을 하네.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은자를 그렸다. 동쪽 누각에서 한가로이 화사, 곧 화초에 대한 책을 다듬어 보고, 남쪽 연못에서 『수경』에 주석을 다는 은자의 모습을 표현했다. 창덕궁 낙선재에도 같은 구절의 주련이 걸려 있다.

‘남지(南池)’는 중국의 호남성(湖南省) 영릉현(零陵縣)에 있는 지명으로 당나라의 시인 유종원(柳宗元, 773~819년)이 여기서 잔치를 한 적이 있다. 이와 관련해 유종원이 지은 「배최사군유연남지서(陪崔使君遊宴南池序)」라는 글이 있다.

제작 정보 : 왼쪽에 필사자를 나타내는 ‘鐵保(철보)’라는 글이 적혀 있고, 아래에는 ‘又字鐵卿(우자철향)’이라는 낙관이 새겨져 있다. 철보(1752~1824년)는 호가 매암(梅庵), 자가 야정(冶亭)으로 만주 출신의 청나라 서예가이며 당대의 명가인 유용(劉墉, 1719~1804?년), 옹방강(翁方綱, 1733~1818년) 등과 명성이 나란하였다. 조선의 북학파 학자인 박제가(朴齊家, 1750~1805년)와 교유하여 자주 서신을 왕래하였으며, 박제가는 연작 「회인시(懷人詩)」에서 세 차례나 그에 대해 읊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함화당_주련_5 Object 물품 주련 함화당 주련 5(咸和堂 柱聯 5) 함화당 주련 5 咸和堂 柱聯 5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함화당_주련_5

Additional Attributes

  • [[틀: ]]
propertyName value
id [[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함화당_주련 함화당 isPartOf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2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3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4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5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6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7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8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9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0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1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2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3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4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5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6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7 hasPart
함화당_주련 함화당_주련_18 hasPart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함화당 서울특별시_종로구 함화당 咸和堂 37.5787304 126.974032 46.32 m (151.96 ft)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참고 위키 실록사전 함화당(咸和堂)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함화당(咸和堂)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복궁함화당(景福宮咸和堂)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6898
참고 조선왕조실록 태조 4년 9월 29일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409029_006
참고 조선왕조실록사전 함화당(咸和堂)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4706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1.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1』, 문화재청, 2007, 182쪽.
  2.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흥복전 권역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