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총인기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천총은 임진왜란 후 5군영이 생기면서 설치되었으며, 각 군영 대장의 중군 밑에 속하여 있던 고급지휘관으로 1영(營) 밑의 군사조직인 부(部)를 지휘, 통할하였다. 이들은 대개 내외장(內外將)을 거친 자로 임명되고, 임기는 1년이었으며, 내금위장(內禁衛將) 등의 금군장(禁軍將)이 옮겨오는 경우가 많았다. 법전상으로 천총이 있던 군영을 보면,『속대전』에 훈련도감 2인, 금위영 4인, 어영청 5인, 수어청 2인, 총융청 2인이 있었고,『대전통편(大典通編)』에 관리청(管理廳) 3인, 진무영(鎭撫營) 4인이 있었다. [1] 천총인기는 현재의 연대장 정도의 직급에 해당하는 지휘관인 각 영의 천총 휘하의 부대를 상징하는 깃발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천총인기 Object 물품 형명 천총인기(千摠認旗) 천총인기 千摠認旗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천총인기

천총인기-속병장도설.png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대표명칭 천총인기
한자표기 千摠認旗
영문명칭
이칭
유형 물품
시대 고려, 조선
용도 노부, 형명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장소 궁궐, 종묘, 사직, 선농단, 금위영, 어영청, 훈련도감, 총융청, 수어청
관련물품 노부, 형명
관련유물유적 창덕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백호기 hasPart
노부 백호기 hasPart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속병장도설 천총인기 documents
  • 바탕의 빛깔은 본 방위에 따르고, 언저리는 해당 영의 빛깔을 따르며, 띠는 누른 빛깔이고, 불꽃이 있다. 기는 4방이 4척이며, 깃대의 높이는 1장 8척이다. 영두(纓頭)ㆍ주락(珠絡)이 있다.
  • 깃발 가로 세로 각각 120cm, 장대 325cm
  • 깃대의 상부 부분은 구름모양의 판을 올림
  • 깃발을 깃대에 매는 부분은 홍색 무명줄. (색=홍색)
  • 깃(깃발 부분과 깃대를 연결하는 부분)은 백색
  • 자루는 홍색
  • 기 바탕색은 청색, 백색, 적색, 흑색, 황색의 5색이다.
  • 깃발 위 띠는 기 바탕색에 따른다.
  • 테두리는 황색이다.
  • 무늬 없는 비단으로 만든다.
천총인기-속병장도설.png
천총인기 [2]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백영자, 『황제를 수호하는 자들-궁중의장기의 부활』, 경춘사, 2010.
김지영, 「조선 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백영자,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7.
김정진, 백영자,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한국의류학회지』14-2, 1990.
백영자, 「조선왕조 鹵簿(어가행렬) 儀禮에 관한 硏究 : 형식구조의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13-2, 1989.
백영자, 「朝鮮王朝 儀仗旗에 관한 硏究(Ⅰ)」, 『한국의류학회지』5-1, 198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의장』, 국립고궁박물관, 2018.
조관빈(趙觀彬)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속병장도설』, 규장각, 1749. http://jsg.aks.ac.kr/dir/view?dataId=JSG_K3-288
서영보(徐榮輔) 등 봉교편집(奉敎編輯), 『만기요람』권11, 서울대학교 도서관, 1808. 집옥재본(集玉齋本)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70_050_0010_2002_002_XML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Notes

  1. 천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속병장도설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