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고금상정례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고금상정예(古今詳定禮)』로 불리는 동국고금상정례는 고려 인종 때 학자이자 문신인 최윤의(崔允儀, 1102~1162) 등 17명이 왕명을 받아 고금의 예문을 편찬한 책으로 일명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이라고 한다. 현재 전하지 않고, 이규보(李奎報)가 쓴 서문만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전한다. 1234년에 금속활자로 찍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활자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1]
조선시대 『국조오례의』를 편찬할 때 『홍무예제』, 『두씨통전(杜氏通典)』과 함께 참고한 책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동국고금상정례 Record 문헌 예서 동국고금상정례 (東國古今詳定禮) 동국고금상정례 東國古今詳定禮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동국고금상정례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동국고금상정례
한자표기 東國古今詳定禮
이칭/별칭 『고금상정예(古今詳定禮)』,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
유형 문헌
저자 최윤의
저술시기 고려
간행시기 고려_고종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세종실록오례 동국고금상정례 references
동국고금상정례 고려_고종 publisher

Spatial Data

Spa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lunarDate solarDate indexDate description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역주조선왕조실록 상정고금예문(祥定古今禮文)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70000320
해설 실록사전 상정고금예문(祥定古今禮文)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상정고금예문(祥定古今禮文)
해설 민족문화대백과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284
해설 국어국문학자료사전 고금상정예(古今詳定禮)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90504&cid=60533&categoryId=60533&anchorTarget=TABLE_OF_CONTENT1#TABLE_OF_CONTENT1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김창현, 「『고려사』 예지의 구조와 성격」, 『한국사학보』 제44호, 고려사학회, 2011.
김철웅, 「<詳定古今禮>의 편찬 시기와 내용」, 『동양학』 제33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3.
백미나, 『高麗時代 墓誌銘과 列傳의 比較 硏究』,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최종석, 「『고려사』 세가 편목 설정의 문화사적 함의 탐색」, 『한국사연구』 제159집, 한국사연구회, 2012.

Notes

  1.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최윤의[崔允儀]", 『국어국문학자료사전』online, 한국사전연구사.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