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보고서

hanyang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이 보고서는 경복궁 안에 있는 흥복전 주변 지역 조사 및 발굴된 정보를 모아놓은 것이다. 흥복전은 명종 8년(1553), 임진왜란 시기(1592)에 소실되었으나 고종 2년(1865) 대대적인 경복궁 재건 작업으로 복원 되었다. 하지만 일제의 침략으로 상당부분 소실 되었으나 1990년대 부터 경복궁 복원 정비 계획이 수립 되었고 이때 흥복전 은 대대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에 포함된 지역은 흥복전 주변지역 및 영훈당, 전기등소 등이 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Record 보고서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보고서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보고서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제목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보고서
발행일 2017년
발행기관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ISBN 9788929911652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흥복전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복행각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동행각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서행각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협인문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유동문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화계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담장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배수로 ekc:mentions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북궐도형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경복궁배치도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조선고적도보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시정5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장평면도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조선총독부경복궁부지평면도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경복궁_연도별_조사_현황도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경복궁_흥복전_행각지_3D폴리곤_도면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경복궁_흥복전_북행각ㆍ동행각_평ㆍ입단면도ㆍ토층토 dcterms:hasPart
경복궁_흥복전_주변지역_발굴조사보고서 경복궁_흥복전_서행각_평ㆍ입단면도 dcterms:hasPart

Notes

  1. 황인호 외 5인, 『경복궁 흥복전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강화문환재연구소, 2017, pp16~19.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