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왕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인물정보
{{궁중인물정보
+
|사진=
|대표명칭 =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金氏)
+
|사진출처=
|이미지 =  
+
|대표명칭= 정순왕후
|작위명 = 왕비, 왕대비, 대왕대비
+
|한자표기= 貞純王后
|이칭별칭 =  
+
|영문명칭=
|재위기간 = 왕비 1759년-1776년<br />
+
|본관= 경주 김씨(慶州 金氏)
왕대비 1776년-1800년<br />
+
|이칭= 예순왕대비, 예순대왕대비
대왕대비 1800년-1805년
+
|시호=
|출생사망 = 1745년 11월 10일-1805년 1월 12일()
+
|호=  
|능묘 = 원릉(元陵) [https://www.google.com/maps/place/37%C2%B037'14.8%22N+127%C2%B007'48.2%22E/@37.620781,127.129345,198m/data=!3m2!1e3!4b1!4m5!3m4!1s0x0:0x0!8m2!3d37.620781!4d127.130061 37.620781, 127.129345]
+
|=  
|배우자 =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영조(英祖)]]
+
|생년= 1745년
|자녀 =  
+
|몰년= 1805년 1월 12일(음)<br /> '''재위''' 왕비 1759년-1776년, 왕대비 1776년-1800년, 대왕대비 1800년-1805년
|부친 = 김한구(金漢耉)
+
|출생지 = 여주(驪州) 사저
|모친 = 원주 원씨 원명직(元命稷)
+
|사망지 = [[경복궁 교태전|경복궁 교태전(景福宮 交泰殿)]]
|전임자 = [[정성왕후|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
|시대 = 조선
|후임자 = [[효의왕후|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
|국적=
 +
|대표저서=
 +
|대표직함= [[왕비]], [[왕대비]], [[대왕대비]]
 +
|배우자=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영조(英祖)]]
 +
|부= 오흥부원군(鼇興府院君) [[김한구|김한구(金漢耈)]]
 +
|모= 원풍부부인(原豊府夫人) 원주 원씨(原州 元氏)
 +
|자녀=
 +
|전임자= [[정성왕후|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
|후임자= [[효의왕후|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
|상훈=
 +
|능묘=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원릉(元陵)[https://www.google.com/maps/place/37%C2%B037'14.8%22N+127%C2%B007'48.2%22E/@37.620781,127.129345,198m/data=!3m2!1e3!4b1!4m5!3m4!1s0x0:0x0!8m2!3d37.620781!4d127.130061 37.620781, 127.129345]
 +
|성격= 인물
 +
|유형= [[왕비]]
 
}}
 
}}
  
 +
=='''정의'''==
 +
조선 제21대 왕 [[조선 영조|영조]]의 계비(繼妃)이다.
  
==정의==
+
=='''내용'''==
*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계비.
+
===생애===
 +
경주김씨 [[김한구|김한구(金漢耈)]]의 딸로 1745년 태어났다. 1759년(영조 35) [[창경궁 명정전]]에서 [[왕비]]로 책봉되었다.<ref>『英祖實錄』 35년(1759) 6월 己巳: 「上具遠遊冠絳紗袍親臨明政殿」</ref> [[정조|정조(正祖)]]가 즉위하고 [[대비]]가 되었으며,<ref>『正祖實錄』 즉위년(1776) 3월 辛巳: 「尊王妃爲王大妃惠嬪爲惠慶宮冊嬪宮爲王妃」</ref> [[순조]]가 즉위하고 [[대왕대비]]가 되었다.<ref>『純祖實錄』 즉위년(1800) 7월 甲申: 「王卽位于昌德宮之仁政門」</ref> [[순조]]가 나이가 11세로 어려서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ref>『純祖實錄』 즉위년(1800) 7월 甲申: 「垂簾頒敎文」</ref>
 +
[[정순왕후]]는 노론(老論) 벽파(僻派)를 지지하였는데, [[순조]] 초기의 주요 사건으로는 공노비 혁파가 있었다. 노비혁파는 [[조광조|조광조(趙光祖)]]ㆍ[[이이|이이(李珥)]] 이래로 주장되어 온 내용이었는데, 이때에 양인이 된 노비는 내노비(內奴婢) 36,947명과 시노비(寺奴婢) 29,093명이었다<ref>『純祖實錄』 1년(1801) 1월 乙巳: 「敎曰」</ref> 같은 해에 대규모의 천주교 박해가 일어났으며, 이를 [[신유박해|신유박해(辛酉迫害]])라 한다. [[신유박해]]는 사학(邪學)을 엄금하라는 [[정순왕후]]의 하교로 시작되어 많은 순교자가 발생되었다.<ref>『純祖實錄』 1년(1801) 1월 丁亥: 「大王大妃敎曰」</ref> 이 과정 중에 [[황사영|황사영(黃嗣永)]]이 서양에 군대를 동원하여 조선을 침략해달라 쓴 백서(帛書)가 발견되면서 사건이 커졌다.<ref>『純祖實錄』 1년(1801) 10월 戊申: 「左捕將任嵂右捕將申應周持邪學罪人黃嗣永凶書來詣閣外」</ref> [[신유박해]]로 인하여 희생된 천주교인은 수백명에 이르며 남인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ref>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3, 역사문화, 2013, 249—251쪽.</ref> 1802년(순조 2) [[창덕궁 인정전]]에서 [[김조순|김조순(金祖淳)]]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였는데,<ref>『純祖實錄』 2년(1802) 10월 辛亥: 「御仁政殿行冊妃禮」</ref> 이는 곧 안동김씨(安東金氏) 세도정치의 시작이 되었다. [[순조]]가 혼인한 다음해에 [[정순왕후]]는 수렴청정을 거두었다.<ref>『純祖實錄』 3년(1803) 12월 己丑: 「次對大王大妃撤簾還政」</ref> 1805(순조 5) [[창덕궁 경복전]]에서 승하하였다.<ref>『純祖實錄』 5년(1805) 1월 丁酉: 「次對大王大妃撤簾還政」</ref>
 +
 
 +
===사후===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영조]]와 [[정순왕후]]의 능인 원릉(元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건원릉(健元陵), 현릉(顯陵), 목릉(穆陵), 숭릉(崇陵), 혜릉(惠陵), 휘릉(徽陵), 경릉(景陵), 수릉(綏陵)과 함께 동구릉(東九陵)으로 사적 제 204호에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930000,31 구리시 동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정순왕후]]가 죽자 노론 벽파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어 [[심환지|심환지(沈煥之)]]관작이 추탈되고 [[김관주|김관주(金觀柱)]]가 삭직되는 등 벽파가 조정에서 축출되었다.<ref>『純祖實錄』 6년(1806) 4월 庚辰: 「三司合辭三次」</ref>
  
==기본 정보==
 
 
===거행 의례===
 
===거행 의례===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영조정성왕후정순왕후장헌세자혜빈존호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10&hl=content@%E5%AE%9A%E9%A0%86%E7%8E%8B%E5%90%8E%5E%E8%B2%9E%E7%B4%94%E7%8E%8B%E5%90%8E%5E%EC%A0%95%EC%88%9C%EC%99%95%ED%9B%84$title@%E5%AE%9A%E9%A0%86%E7%8E%8B%E5%90%8E$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2_content@%E5%AE%9A%E9%A0%86%E7%8E%8B%E5%90%8E$kname@%E5%AE%9A%E9%A0%86%E7%8E%8B%E5%90%8E%5E%E8%B2%9E%E7%B4%94%E7%8E%8B%E5%90%8E%5E%EC%A0%95%EC%88%9C%EC%99%95%ED%9B%84 영조정성왕후정순왕후장헌세자혜빈존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정순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18&hl=content@%E5%AE%9A%E9%A0%86%E7%8E%8B%E5%90%8E%5E%E8%B2%9E%E7%B4%94%E7%8E%8B%E5%90%8E%5E%EC%A0%95%EC%88%9C%EC%99%95%ED%9B%84$title@%E5%AE%9A%E9%A0%86%E7%8E%8B%E5%90%8E$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2_content@%E5%AE%9A%E9%A0%86%E7%8E%8B%E5%90%8E$kname@%E5%AE%9A%E9%A0%86%E7%8E%8B%E5%90%8E%5E%E8%B2%9E%E7%B4%94%E7%8E%8B%E5%90%8E%5E%EC%A0%95%EC%88%9C%EC%99%95%ED%9B%84 정순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복식 관련 기여도(임시 제목)===
+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A065/A065.htm 혜경궁 읍혈록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A117/A117.htm 소훈이씨제문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영조]] || 정순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정순왕후 || [[왕비]]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정순왕후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관련항목==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1759년 6월 20일 || [[정순왕후]]의 [[왕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
 
|-
|노드 ||관계||노드
+
| 1776년 3월 10일 || [[정순왕후]]의 [[대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
 
|-
|노드 ||관계||노드
+
| 1800년 7월 4일 || [[정순왕후]]의 [[대왕대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노드 ||관계||노드
+
| 37.580898 || 126.994425 || [[창경궁 명정전]]에서 정순왕후의 [[왕비]] [[책봉례]]를 거행하였다 
 
|-
 
|-
|노드 ||관계||노드
+
| 37.578814 || 126.991084 || [[창덕궁 인정문]]에서 정순왕후의 [[대비]] [[책봉례]]를 거행하였다 
 
|-
 
|-
|노드 ||관계||노드
+
| 37.578814 || 126.991084 || [[창덕궁 인정문]]에서 정순왕후의 [[대왕대비]] [[책봉례]]를 거행하였다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 영조 원릉01 문화재청.jpg|영조와 정순왕후의 능인 원릉<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1930000,31&imgfname=1625529.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B%90%EB%A6%89%EC%A0%84%EA%B2%BD&photoid=1625529#pr2 원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문헌'''
+
===인용 및 참조===
 
* 『영조실록』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정조실록』
 
* 『순조실록』
 
* 『순조실록』
* 『승정원일기』
+
* 김종수, 「왕대비 가상존호의(加上尊號儀)의 의례와 음악 -정조대(1776∼1800) 『尊號都監儀軌』를 중심으로-」, 『韓國音樂史學報』 47, 한국음악사학회, 2011.
* 『일성록』
+
*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열성왕비세보』
+
* 박주, 「조선 후기 순조대의 왕실여성과 천주교」, 『여성과 역사』 8, 한국여성사학회, 2008.
* 『춘관통고』
+
* 박주, 「조선후기 정순왕후 김씨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 『여성과 역사』 15, 한국여성사학회, 2011.
* 『열성지장통기』
 
* 『정순왕후윤발』
 
* 김귀주, 『가암유고』
 
* 혜경궁 홍씨, 『한중록』
 
 
 
'''논문'''
 
* 임혜련(2000), 「순조 초반 정순왕후의 수렴청정과 정국변화」, 『조선시대사학보』15.
 
* 임혜련(2008), 『19세기 수렴청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임혜련(2011), 「조선 영조대 친잠례 시행과 의의」, 『장서각』25.
 
* 최성환(2009), 「정조대 정국동향과 벽파」, 『조선시대사학보』51.
 
 
 
'''단행본'''
 
 
* 변원림, 『조선의 왕후』, 일지사, 2006.
 
* 변원림, 『조선의 왕후』, 일지사, 2006.
*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 임혜련, 「순조 초반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垂廉聽政)과 정국변화」, 『朝鮮時代史學報』 15, 조선시대사학회, 2000.
 
+
* 임혜련, 「純祖初期 貞純王后 垂簾聽政期의 官人 임용양상과 권력관계」, 『한국학논총』 41,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사이트'''
+
* 임혜련, 「조선시대 수렴청정(垂簾聽政)의 정비과정」, 『朝鮮時代史學報』 27, 조선시대사학회, 2003.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48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순왕후]
+
* 임혜련, 『정순왕후, 수렴청정으로 영조의 뜻을 잇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833 디지털서산문화대전: 정순왕후]
+
* 지두환, 『영조대왕과 친인척』2, 역사문화, 2009.
* [http://seo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san&dataType=01&contents_id=GC04100833 디지털서산문화대전: 정순왕후 생가]
+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3, 역사문화, 2013.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88%9C%EC%99%95%ED%9B%84_(%EC%A1%B0%EC%84%A0_%EC%98%81%EC%A1%B0) 위키백과: 정순왕후]
+
* 최성환, 「정조대 정국동향과 벽파」, 『조선시대사학보』 51, 조선시대사학회, 2009.
  
==주석==
+
===더 읽을거리===
<references/>
+
* 이희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정순왕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4월 18일.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2017년 11월 14일 (화) 16:03 기준 최신판

정순왕후(貞純王后)
대표명칭 정순왕후
한자표기 貞純王后
생몰년 1745년-1805년 1월 12일(음)
재위 왕비 1759년-1776년, 왕대비 1776년-1800년, 대왕대비 1800년-1805년
본관 경주 김씨(慶州 金氏)
이칭 예순왕대비, 예순대왕대비
출생지 여주(驪州) 사저
사망지 경복궁 교태전(景福宮 交泰殿)
시대 조선
대표직함 왕비, 왕대비, 대왕대비
배우자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英祖)
오흥부원군(鼇興府院君) 김한구(金漢耈)
원풍부부인(原豊府夫人) 원주 원씨(原州 元氏)
전임자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후임자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능묘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원릉(元陵)37.620781, 127.129345
성격 인물
유형 왕비



정의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계비(繼妃)이다.

내용

생애

경주김씨 김한구(金漢耈)의 딸로 1745년 태어났다. 1759년(영조 35) 창경궁 명정전에서 왕비로 책봉되었다.[1] 정조(正祖)가 즉위하고 대비가 되었으며,[2] 순조가 즉위하고 대왕대비가 되었다.[3] 순조가 나이가 11세로 어려서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4] 정순왕후는 노론(老論) 벽파(僻派)를 지지하였는데, 순조 초기의 주요 사건으로는 공노비 혁파가 있었다. 노비혁파는 조광조(趙光祖)이이(李珥) 이래로 주장되어 온 내용이었는데, 이때에 양인이 된 노비는 내노비(內奴婢) 36,947명과 시노비(寺奴婢) 29,093명이었다[5] 같은 해에 대규모의 천주교 박해가 일어났으며, 이를 신유박해(辛酉迫害)라 한다. 신유박해는 사학(邪學)을 엄금하라는 정순왕후의 하교로 시작되어 많은 순교자가 발생되었다.[6] 이 과정 중에 황사영(黃嗣永)이 서양에 군대를 동원하여 조선을 침략해달라 쓴 백서(帛書)가 발견되면서 사건이 커졌다.[7] 신유박해로 인하여 희생된 천주교인은 수백명에 이르며 남인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8] 1802년(순조 2) 창덕궁 인정전에서 김조순(金祖淳)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였는데,[9] 이는 곧 안동김씨(安東金氏) 세도정치의 시작이 되었다. 순조가 혼인한 다음해에 정순왕후는 수렴청정을 거두었다.[10] 1805(순조 5) 창덕궁 경복전에서 승하하였다.[11]

사후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영조정순왕후의 능인 원릉(元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건원릉(健元陵), 현릉(顯陵), 목릉(穆陵), 숭릉(崇陵), 혜릉(惠陵), 휘릉(徽陵), 경릉(景陵), 수릉(綏陵)과 함께 동구릉(東九陵)으로 사적 제 204호에 지정되었다.[12] 정순왕후가 죽자 노론 벽파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어 심환지(沈煥之)의 관작이 추탈되고 김관주(金觀柱)가 삭직되는 등 벽파가 조정에서 축출되었다.[13]

거행 의례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영조정성왕후정순왕후장헌세자혜빈존호도감의궤[14], 정순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1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조 정순왕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정순왕후 왕비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정순왕후 책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59년 6월 20일 정순왕후왕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1776년 3월 10일 정순왕후대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1800년 7월 4일 정순왕후대왕대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898 126.994425 창경궁 명정전에서 정순왕후의 왕비 책봉례를 거행하였다
37.578814 126.991084 창덕궁 인정문에서 정순왕후의 대비 책봉례를 거행하였다
37.578814 126.991084 창덕궁 인정문에서 정순왕후의 대왕대비 책봉례를 거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英祖實錄』 35년(1759) 6월 己巳: 「上具遠遊冠絳紗袍親臨明政殿」
  2. 『正祖實錄』 즉위년(1776) 3월 辛巳: 「尊王妃爲王大妃惠嬪爲惠慶宮冊嬪宮爲王妃」
  3. 『純祖實錄』 즉위년(1800) 7월 甲申: 「王卽位于昌德宮之仁政門」
  4. 『純祖實錄』 즉위년(1800) 7월 甲申: 「垂簾頒敎文」
  5. 『純祖實錄』 1년(1801) 1월 乙巳: 「敎曰」
  6. 『純祖實錄』 1년(1801) 1월 丁亥: 「大王大妃敎曰」
  7. 『純祖實錄』 1년(1801) 10월 戊申: 「左捕將任嵂右捕將申應周持邪學罪人黃嗣永凶書來詣閣外」
  8.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3, 역사문화, 2013, 249—251쪽.
  9. 『純祖實錄』 2년(1802) 10월 辛亥: 「御仁政殿行冊妃禮」
  10. 『純祖實錄』 3년(1803) 12월 己丑: 「次對大王大妃撤簾還政」
  11. 『純祖實錄』 5년(1805) 1월 丁酉: 「次對大王大妃撤簾還政」
  12. "구리시 동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13. 『純祖實錄』 6년(1806) 4월 庚辰: 「三司合辭三次」
  14. "영조정성왕후정순왕후장헌세자혜빈존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5. "정순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6. "원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순조실록』
  • 김종수, 「왕대비 가상존호의(加上尊號儀)의 의례와 음악 -정조대(1776∼1800) 『尊號都監儀軌』를 중심으로-」, 『韓國音樂史學報』 47, 한국음악사학회, 2011.
  •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박주, 「조선 후기 순조대의 왕실여성과 천주교」, 『여성과 역사』 8, 한국여성사학회, 2008.
  • 박주, 「조선후기 정순왕후 김씨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 『여성과 역사』 15, 한국여성사학회, 2011.
  • 변원림, 『조선의 왕후』, 일지사, 2006.
  • 임혜련, 「순조 초반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垂廉聽政)과 정국변화」, 『朝鮮時代史學報』 15, 조선시대사학회, 2000.
  • 임혜련, 「純祖初期 貞純王后 垂簾聽政期의 官人 임용양상과 권력관계」, 『한국학논총』 41,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임혜련, 「조선시대 수렴청정(垂簾聽政)의 정비과정」, 『朝鮮時代史學報』 27, 조선시대사학회, 2003.
  • 임혜련, 『정순왕후, 수렴청정으로 영조의 뜻을 잇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지두환, 『영조대왕과 친인척』2, 역사문화, 2009.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3, 역사문화, 2013.
  • 최성환, 「정조대 정국동향과 벽파」, 『조선시대사학보』 51, 조선시대사학회, 2009.

더 읽을거리

  • 이희권, "정순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4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