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표준영정에 묘사된 장보고의 모습)
(표준영정에 묘사된 장보고의 모습)
40번째 줄: 40번째 줄:
 
===표준영정에 묘사된 장보고의 모습===
 
===표준영정에 묘사된 장보고의 모습===
 
장보고 영정은 상반신만 그린 반신상으로, 하단 처리가 근대 사진처럼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6쪽.</ref>  
 
장보고 영정은 상반신만 그린 반신상으로, 하단 처리가 근대 사진처럼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다.<ref>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6쪽.</ref>  
 +
 +
 +
신라의 비늘갑옷을 입고 있다.
  
  

2017년 8월 17일 (목) 17:01 판

형태 : 초상화_인물명_유형명_하위구분명(지정 or 제작연도, 소장처, 작가 등).jpg 예1 : 초상화_강감찬_표준영정_1974.jpg 예2 : 초상화_고종_어진_국립중앙박물관.jpg 예3 : 초상화_지눌_진영_송광사.jpg 사진 크기 : 세로 기준 최소 500픽셀 이상 @ 표준영정 지정년도 1977년.


장보고 표준영정
한자명칭 標準影幀
작가 이종상
제작시기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유형 표준영정


정의

신라의 명장 장보고(張保皐, 미상-846년)의 모습을 그린 국가표준영정.

내용

장보고 표준영정 제작

장보고 표준영정은 1979년 일랑 이종상 화백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가로 116.5㎝, 세로 91㎝의 규모이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김유신 표준영정은 월전미술관에 초본이 남아 있어 제작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초본은 작은 종이에 얼굴을 그린 후 다시 큰 종이에 옮겨 붙여 몸을 완성했으며, 얼굴과 갑옷 등 전체적인 모습을 연필로 그린후 얼굴을 제외한 갑주부분은 먹을 사용하여 다시 그렸다. 초본에는 흉부에 방울이 세 개 달려있으나, 실제 표준영정에는 없어 영정심의과정에서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1]
장우성진천 길상사 외에 1976년에 경주 통일전에 김유신 영정을 제작했는데, 경주 통일전 김유신 영정은 은 제관과 은제띠를 착용하고 홍포를 입은 전신 좌상으로, 진천 길상사의 영정과 달리, 문관복장을 하고 있다.[2]



http://www.w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492

표준영정에 묘사된 장보고의 모습

장보고 영정은 상반신만 그린 반신상으로, 하단 처리가 근대 사진처럼 그라데이션 처리되어 있다.[3]


신라의 비늘갑옷을 입고 있다.


갑주와 투구를 착용하고 왼손에 칼을 잡고 서 있다. 갑주의 하반신은 허리 양 옆에 댄 상상갑의 모양과 대퇴부에 댄 네모난 하상갑 그리고 좌우 하상갑 사이 앞쪽에 위치한 전상갑 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반신은 양쪽으로 뿔이 달린 투구와 갑주의 비늘 등의 모습이 김경승의 <김유신 동상>과 비슷하다.
김유신의 얼굴은 반백의 수염에 이마와 볼에 주름살이 그려져 있으며, 약간 아래로 내려온 눈에 꾹 다문 입술을 하고 있어 용맹스럽다기 보다는 온화하며 노년의 평온함을 가진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은 삼국통일이라는 성업을 완수한 직후인 60대의 모습으로 그리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4]
장우성 화백이 김유신 영정을 그릴 때 김해 김씨 남성 50명의 얼굴을 합성하여 제작하였다고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감찬 표준영정(1974) 표준영정 A는 B에 해당한다
강감찬 표준영정(1974) 강감찬 A는 B를 묘사하였다
강감찬 표준영정(1974) 낙성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장보고 표준영정 이종상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1979년
강감찬 표준영정(1974) 금광복 A는 B에 의해 모작되었다
강감찬 표준영정(1974) 강감찬 표준영정 도난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4년 강감찬 표준영정(1974)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
  2.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8쪽.
  3.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6쪽.
  4.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7쪽.
  5.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6.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7. "석도의 적산에서-최종금", 『유피트레킹여행사』online, (주)유피트레킹.
  8.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9. 배한철, "배한철의 한국초상화 톺아보기 : 日사찰에 모셔진 신라명신상은 해상왕 장보고일까, 『조갑제닷컴』, 2006년 11월 07일.
  10. "석도의 적산에서-최종금", 『유피트레킹여행사』online, (주)유피트레킹.

참고문헌

  1. 기사
  2. 논문
    • 이영미, 「한국표준영정연구 -제도의 제정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년.
  3.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3.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
  • 논문
    • 조인수, 「월전 장우성의 초상화」, 『제2회 월전학술포럼』발표자료집, 월전학술포럼, 2014, 1-12쪽.


임금 어진의 경우, 기사 제목에 어진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고승 진영의 경우, 기사 제목에 진영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공신 초상의 경우, 기사 제목에 도상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현대에 제작된 표준영정의 경우, 기사 제목에 표준영정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반영 기타 사항의 경우, 기사 제목에 초상이라는 명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