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Encyves Wiki
AKS장동룡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5일 (토) 18:56 판 (지식 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대성과 석굴암
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종교
분류 한국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 경덕왕 대에 김대성(金大城 700~774)이 조영한 불국사 석불사의 창건 설화를 묘사한 이종상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

『삼국유사』권5 효선(孝善)편에 "대성이 현생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佛國寺)를 창건하고 전세의 부모를 위해 석불사(石佛寺 : 석굴암)를 조영하여 신림(神琳) 표훈(表訓) 두 스님을 청해 각각 머물게 했다"고 적혀 있다.[1]

작품 구도

석굴암(石窟庵)은 네모난 공간의 전실(前室)과 본존불(本尊佛)을 모신 원형 공간의 ⑤주실(主室), 그리고 전실과 주실로 통하는 ④비도(扉道)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림은 주실에 본존불을 안치하고 본존불 주위로 10대 제자 입상을 설치하는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화면 왼편 하단에는 석재 위에 ⑧기하학적 구도가 그려진 석굴암 설계도면과 그림쇠(컴파스), 곱자(직각자)가 보이고 ④⑦김대성으로 보이는 인물이 두 승려(신림과 표훈)와 이야기하고 있다. 그 옆으로 본존불의 뒤편 감실에 안치할 보살상을 조각하고 있는 ⑥⑧⑨석공들이 보인다.
오른쪽 끝에는 연꽃대좌 위에 오른쪽 무릎을 꾾고 앉아 왼손으로 턱을 괴고 사색에 잠겨 있는 자유로운 ⑨유희좌(遊戱坐)를 한 미륵보살(彌勒菩薩)의 뒷부분 마무리를 석공이 하고 있다. 미륵보살상 뒤에는 석공 두 사람이 나무 지지대에 석재를 세워 놓고 본존불의 ⑥후면 광배를 조각하고 있으며, 본존불 앞에 ⑤가림막을 드리우고 ②③이동식 도르래를 이용하여 완성된 제자상을 세우고 있다.
이 장면은 시대를 훌쩍 건너서 조선 후기 화성 건설에 사용되었던 거중기를 연상케 한다.

그림 읽기

경주 석굴암 본존불김대성이종상 「김대성과 석굴암」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이종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대한민국예술원 이종상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경주 석굴암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김대성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경주 석굴암 본존불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경주 석굴암 토함산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신라오악 토함산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세계문화유산 경주 석굴암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주 석굴암 김대성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삼국유사 경주 석굴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삼국유사 일연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불국사고금창기 경주 석굴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교남명승첩 경주 석굴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교남명승첩 정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경주 석굴암 본존불 아미타불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미타불 정토신앙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이종상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을 제작하였다
1998년-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을 소장하고 있다
751년 김대성경주 석굴암을 창건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을 소장하고 있다
35.795303 129.349698 경주 석굴암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의 배경이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孝善第九 大城孝二世父母 神文代" , 삼국유사, 『한국사데이타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더 읽을 거리

  1. 단행본
    • 성낙주, 『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 개마고원, 1999.
    • 자현, 『사찰의 상징세계 하』, 불광출판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