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책조성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관서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보책조성소 |한자표기= 寶冊造成所 |이칭별칭= |설치폐지= 1897년 9월-미상 |주요업무= 『고종대...)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관서정보
+
{{단체정보
|사진=  
+
|사진=
|사진출처=  
+
|사진출처=
 
|대표명칭= 보책조성소
 
|대표명칭= 보책조성소
 
|한자표기= 寶冊造成所
 
|한자표기= 寶冊造成所
|이칭별칭=  
+
|영문명칭=
|설치폐지= 1897년 9월-미상
+
|이칭=
 +
|유형=
 +
|창립자=
 +
|창립시대= 대한제국
 +
|창립일= 1897년 9월
 +
|변경일=
 +
|해체일= 미상
 
|주요업무= 『[[고종대례의궤|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편찬 및 간행
 
|주요업무= 『[[고종대례의궤|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편찬 및 간행
|주관의례= [[길례]]
+
|담당업무= [[길례]]
|참가의례= [[황제등극의례]]
+
|관련기관= [[예조]]  
|소속관서= [[예조]]
+
|관련단체=
 +
|소재지=
 +
|웹사이트=
 
}}
 
}}
  
17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업무===
 
===업무===
1897년(고종 34) [[고종]]이 [[황제등극례]]에 사용할 [[책문]]과 [[금보]]를 제작하기 위하여 10월 4일 [[보책조성소]]가 설치되었다.<ref>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3쪽.</ref> 10월 12일 [[고종]]이 [[환구단|환구단(圜丘壇)]]에서 [[황제]] 즉위식을 하고 [[황후]]와 [[황태자]]를 책봉했다.<ref>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7-228쪽.</ref> [[황제]] 즉위식을 한 뒤에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종묘|종묘(宗廟)]]ㆍ[[영희전|영희전(永禧殿)]]ㆍ[[경기전|경기전(慶基殿)]]ㆍ[[선원전|선원전(璿源殿)]]ㆍ[[화령전|화령전(華寧殿)]] 등의 그릇과 의식을 [[황제]]의 예에 맞게 고쳤다.<ref>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9-233쪽.</ref> [[보책조성소]]에서는 이상의 행사를 모두 『[[고종대례의궤]]』로 작성하여 보관하였다. 『[[고종대례의궤]]』는 9책을 제작하여 네 곳의 사고(史庫)와 [[규장각|규장각(奎章閣)]]ㆍ[[시강원|시강원(侍講院)]]ㆍ[[비서원|비서원(秘書院)]]ㆍ[[장례원|장례원(掌禮院)]]ㆍ[[환구단]]에 전달하였는데 지금 9책이 모두 남아 있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735쪽.</ref>
+
1897년(고종 34) [[고종]]이 [[황제등극례]]에 사용할 [[책문]]과 [[금보]]를 제작하기 위하여 10월 4일 [[보책조성소]]가 설치되었다.<ref>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3쪽.</ref> 10월 12일 [[고종]]이 [[환구단|환구단(圜丘壇)]]에서 [[황제]] 즉위식을 하고 [[황후]]와 [[황태자]]를 책봉했다.<ref>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7-228쪽.</ref> [[황제]] 즉위식을 한 뒤에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종묘|종묘(宗廟)]]ㆍ[[영희전|영희전(永禧殿)]]ㆍ[[경기전|경기전(慶基殿)]]ㆍ[[선원전|선원전(璿源殿)]]ㆍ[[화령전|화령전(華寧殿)]] 등의 그릇과 의식을 [[황제]]의 예에 맞게 바꾸었다.<ref>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9-233쪽.</ref> [[보책조성소]]에서는 이상의 행사를 모두 『[[고종대례의궤]]』로 작성하여 보관하였다. 『[[고종대례의궤]]』는 9책을 제작하여 네 곳의 사고(史庫)와 [[규장각|규장각(奎章閣)]]ㆍ[[시강원|시강원(侍講院)]]ㆍ[[비서원|비서원(秘書院)]]ㆍ[[장례원|장례원(掌禮院)]]ㆍ[[환구단]]에 전달하였는데 지금 9책이 모두 남아 있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735쪽.</ref>
 
 
  
 
===구성===
 
===구성===
인원은 [[도제조]] 1인, [[제조]] 3인, [[낭청]] 3인, 별감동 8인, 서제 3인, 사환 6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ref>『高宗大禮儀軌』, 「座目」</ref>
+
인원은 [[도제조]] 1인, [[제조]] 3인, [[낭청]] 3인, 별감동 8인, 서제 3인, 사환 6인으로 구성되었다.<ref>『高宗大禮儀軌』「座目」</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7번째 줄: 34번째 줄: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고종대례의궤]] || '''{{PAGENAME}}'''  || A는 B에서 담당하였다 ||  
+
| 보책조성소 || [[등극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 [[황제등극례]] || '''{{PAGENAME}}'''  || A는 B에서 담당하였다 ||
+
| 보책조성소 || [[고종대례의궤]] || A는 B를 편찬하였다 || A dcterms:publisher B
 
|}
 
|}
  
37번째 줄: 44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1897년 9월 || [[보책조성소]]는 [[황제등극의례]]를 담당하였다
+
| 1897년 9월 || [[보책조성소]]는 [[등극례]]를 담당하였다
 
|-
 
|-
 
| 1898년 || [[보책조성소]]는 [[고종대례의궤]]를 편찬하였다
 
| 1898년 || [[보책조성소]]는 [[고종대례의궤]]를 편찬하였다
 
|}
 
|}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gallery>
 
===영상===
 
  
 
=='''주석'''==
 
=='''주석'''==
59번째 줄: 58번째 줄: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기관]]
+
[[분류:단체]]

2017년 11월 4일 (토) 10:33 기준 최신판

보책조성소(寶冊造成所)
대표명칭 보책조성소
한자표기 寶冊造成所
창립시대 대한제국
창립일 1897년 9월
해체일 미상
주요업무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편찬 및 간행
담당업무 길례
관련기관 예조



정의

고종황제 즉위와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선포 때 사용했던 책문(冊文)금보(金寶)를 제작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기구이다.

내용

업무

1897년(고종 34) 고종황제등극례에 사용할 책문금보를 제작하기 위하여 10월 4일 보책조성소가 설치되었다.[1] 10월 12일 고종환구단(圜丘壇)에서 황제 즉위식을 하고 황후황태자를 책봉했다.[2] 황제 즉위식을 한 뒤에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종묘(宗廟)영희전(永禧殿)경기전(慶基殿)선원전(璿源殿)화령전(華寧殿) 등의 그릇과 의식을 황제의 예에 맞게 바꾸었다.[3] 보책조성소에서는 이상의 행사를 모두 『고종대례의궤』로 작성하여 보관하였다. 『고종대례의궤』는 9책을 제작하여 네 곳의 사고(史庫)와 규장각(奎章閣)시강원(侍講院)비서원(秘書院)장례원(掌禮院)환구단에 전달하였는데 지금 9책이 모두 남아 있다.[4]

구성

인원은 도제조 1인, 제조 3인, 낭청 3인, 별감동 8인, 서제 3인, 사환 6인으로 구성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보책조성소 등극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보책조성소 고종대례의궤 A는 B를 편찬하였다 A dcterms:publisher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97년 9월 보책조성소등극례를 담당하였다
1898년 보책조성소고종대례의궤를 편찬하였다

주석

  1.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3쪽.
  2.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7-228쪽.
  3.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229-233쪽.
  4.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 735쪽.
  5. 『高宗大禮儀軌』「座目」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高宗大禮儀軌』
  • 한영우, 「大韓帝國 성립과정과 『大禮儀軌』」, 『韓國史論』 45,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1.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