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복식구성)
14번째 줄: 14번째 줄:
 
==내용==
 
==내용==
 
===복식구성===
 
===복식구성===
[[양관|양관(梁冠)]], [[의(문무백관)|의(衣)]], [[상(문무백관)|상(裳)]], [[중단(문무백관)|중단(中單]], [[폐슬(문무백관)|폐슬(蔽膝)]], [[대대(문무백관)|대대(大帶)]], [[품대| 품대(品帶)]], [[패옥(문무백관) | 패옥(佩玉)]], [[후수(문무백관)|후수(後綬)]], [[리|리(履)]], [[버선|말(襪)]], [[홀|홀(笏)]]
+
[[양관|양관(梁冠)]], [[의(문무백관)|의(衣)]], [[상(문무백관)|상(裳)]], [[중단(문무백관)|중단(中單)]], [[폐슬(문무백관)|폐슬(蔽膝)]], [[대대(문무백관)|대대(大帶)]], [[품대| 품대(品帶)]], [[패옥(문무백관) | 패옥(佩玉)]], [[후수(문무백관)|후수(後綬)]], [[리|리(履)]], [[버선|말(襪)]], [[홀|홀(笏)]]
  
 
===기타===
 
===기타===

2017년 5월 11일 (목) 10:26 판



()
[[file:|360px|thumb|center|]]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왕자와 대원군, 문관, 무관 등이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에 에게 하례(賀禮)를 드리는 의례에 참석할 때 입는 옷이다.[1]

내용

복식구성

양관(梁冠), 의(衣), 상(裳), 중단(中單), 폐슬(蔽膝), 대대(大帶), 품대(品帶), 패옥(佩玉), 후수(後綬), 리(履), 말(襪), 홀(笏)

기타

왕자의 경우 관례를 올릴 때 조복을 착용한다.[2]
양관(梁冠)에 달린 양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문관 백관의 조복 A는 B를 착용한다
무관 백관의 조복 A는 B를 착용한다
국조오례의 백관의 조복 A는 B를 기록한다
양관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중단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폐슬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후수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패옥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대대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백관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시각자료

사진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9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9쪽.
  3. "이하응 초상 일괄 (금관조복본)", 『국립중앙박물관』online.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국립고궁박물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