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효세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영문명칭=
 
|영문명칭=
 
|본관= 전주(全州)
 
|본관= 전주(全州)
|이칭=  
+
|이칭= 휘 순(㬀)
 
|시호= 문효(文孝)
 
|시호= 문효(文孝)
 
|호=  
 
|호=  
30번째 줄: 30번째 줄:
 
}}
 
}}
  
 +
=='''정의'''==
 +
[[정조]]의 장자로, [[순조]]의 이복형이다.
  
==정의==
+
=='''내용'''==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정조(正祖)]]의 장남이자 왕세자.
+
===생애===
 +
1782년(정조 6) 태어났으며, 1784년(정조 8) [[왕세자]]로 책봉되었다.<ref>『正祖實錄』 8년(1784) 7월 乙卯: 「冊元子爲王世子」</ref> 1786년(정조 10) 병으로 죽었다.<ref>『正祖實錄』 8년(1784) 8월 乙酉: 「王世子薨」</ref>
  
 +
===사후===
 +
묘를 효창(孝昌)이라고 하였다. 효창묘는 현재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삼릉길 233-126 효창원(孝昌園)이다. 효창원은 본래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공원 자리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옮겨져 다른 왕자ㆍ공주묘와 같은 자리에 있다. 현재는 고양 서삼릉에 부속되어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000000,31 고양 서삼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내용'''==
+
===거행 의례===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
 +
 
 +
==지식 관계망==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정조]] || 문효세자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문효세자 || [[왕세자]]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문효세자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1784년 7월 2일 ||  [[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세자 문효세자 서삼릉01 문화재청.jpg|문효세자의 묘가 속해 있는 고양 서삼릉의 왕자공주묘.<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2000000,31&imgfname=1625603.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C%99%95%EC%9E%90%EB%AC%98,%20%EA%B3%B5%EC%A3%BC%EB%AC%98&photoid=1625603#pr2 고양 서삼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gallery>
 
===영상===
 
===영상===
  
51번째 줄: 7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어제의빈묘지명(御製宜嬪墓誌銘)』
+
* 『정조실록』
===더 읽을거리===
+
* 김지영, 「18세기 후반 정조대 ‘元子’의 탄생과 胎室의 조성」, 『장서각』 3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7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효창원]
+
* 민길홍, 「文孝世子 輔養廳契屛 : 1784년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 행사」, 『미술자료』 80, 국립중앙박물관, 2011.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3300000,11&flag=Y 문화재청: 효창공원]
+
* 유재빈, 「정조의 세자 위상 강화와 〈 문효세자책례계병 〉(1784)」, 『미술사와 시각문화』 17,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696 국립중앙박물관: 문효세자보양청계병]
+
* 이현진, 「정조대 文孝世子의 喪葬 의례와 그 특징」, 『규장각』 4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2.
* [https://ko.wikipedia.org/wiki/%EB%AC%B8%ED%9A%A8%EC%84%B8%EC%9E%90 위키백과: 문효세자]
+
* 지두환, 『정조대왕과 친인척』 1, 역사문화, 2009.
* [https://namu.wiki/w/%EB%AC%B8%ED%9A%A8%EC%84%B8%EC%9E%90 나무위키: 문효세자]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왕세자]]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왕세자]]

2017년 9월 27일 (수) 20:36 판

문효세자(文孝世子)
대표명칭 문효세자
한자표기 文孝世子
생몰년 1782년 9월 7일-1786년 5월 11일(음)
본관 전주(全州)
이칭 휘 순(㬀)
시호 문효(文孝)
시대 조선
대표직함 왕세자
능묘 서삼릉 효창원(西三陵 懿寧園) 37.66369, 126.8659629
성격 인물
유형 왕세자



정의

정조의 장자로, 순조의 이복형이다.

내용

생애

1782년(정조 6) 태어났으며, 1784년(정조 8) 왕세자로 책봉되었다.[1] 1786년(정조 10) 병으로 죽었다.[2]

사후

묘를 효창(孝昌)이라고 하였다. 효창묘는 현재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삼릉길 233-126 효창원(孝昌園)이다. 효창원은 본래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공원 자리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옮겨져 다른 왕자ㆍ공주묘와 같은 자리에 있다. 현재는 고양 서삼릉에 부속되어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3]

거행 의례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

지식 관계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조 문효세자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문효세자 왕세자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문효세자 책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84년 7월 2일 문효세자왕세자 책례를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시간 내용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正祖實錄』 8년(1784) 7월 乙卯: 「冊元子爲王世子」
  2. 『正祖實錄』 8년(1784) 8월 乙酉: 「王世子薨」
  3. "고양 서삼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4. 고양 서삼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정조실록』
  • 김지영, 「18세기 후반 정조대 ‘元子’의 탄생과 胎室의 조성」, 『장서각』 3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민길홍, 「文孝世子 輔養廳契屛 : 1784년 문효세자와 보양관의 상견례 행사」, 『미술자료』 80, 국립중앙박물관, 2011.
  • 유재빈, 「정조의 세자 위상 강화와 〈 문효세자책례계병 〉(1784)」, 『미술사와 시각문화』 17,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 이현진, 「정조대 文孝世子의 喪葬 의례와 그 특징」, 『규장각』 4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2.
  • 지두환, 『정조대왕과 친인척』 1, 역사문화, 2009.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