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구례 연곡사 동 승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53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3m이다.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의 승탑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92 연곡사 동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53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3m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92 연곡사 동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승탑으로 파손이나 결실된 부분이 없이 완벽하게 남아 있다.<ref>신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4 구례 연곡사 동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연곡사 동쪽의 세워져 있으며, 네모난 바닥돌 위에 팔각원당형을 기본형으로 삼았다. 하대석은 2단으로 하단에는 구름무늬를, 상단에는 사자를 조각했다. 중대석에는 둥근 통 모양의 안상(眼像) 속에 팔부신중(八部神衆)을 두었다. 상대석 역시 2단으로 나누어 연화무늬와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둥근 테를 두르고 그 안에 [[가릉빈가|가릉빈가(伽陵頻迦)]]를 새겼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92 연곡사 동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도선|도선국사(道詵國師)]]의 승탑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92 연곡사 동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구례 연곡사|연곡사(鷰谷寺)]]의 동쪽에 세워져 있으며, 네모난 바닥돌 위에 팔각원당형을 기본형으로 삼았다. 하대석은 2단으로, 하단에는 구름무늬를, 상단에는 사자를 조각했다. 중대석에는 둥근 통 모양의 안상(眼像) 속에 팔부신중(八部神衆)을 두었다. 상대석 역시 2단으로 나누어 연화무늬와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둥근 테를 두르고 그 안에 [[가릉빈가|가릉빈가(伽陵頻迦)]]를 새겼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92 연곡사 동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탑 몸통의 각 면에는 중간에 둥근 마디가 있는 기둥모양을 세우고, 문살·보여(寶輿)·[[사천왕|사천왕상(四天王像)]]을 얕게 양각했다. 윗부분에는 봉황과 연화무늬를 새긴 석재가 얹혀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92 연곡사 동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탑 몸통의 각 면에는 중간에 둥근 마디가 있는 기둥모양을 세우고, 문살·보여(寶輿)·[[사천왕|사천왕상(四天王像)]]을 얕게 양각했다. 윗부분에는 봉황과 연화무늬를 새긴 석재가 얹혀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792 연곡사 동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국보 제53호. 연곡사 동쪽 기슭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의 승탑이다. 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전형적인 팔각당 승탑으로 파손이나 결실된 부분이 없이 완벽하게 남아 있다.<ref>신용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84 구례 연곡사 동 승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곳에는 이 승탑 외에도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구례 연곡사 서 승탑]](보물 제1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 등 2기가 더 있다. 동 승탑은 그 중 형태가 가장 아름답고 우아한 작품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530000,36 구례 연곡사 동 승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곳에는 이 승탑 외에도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제1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 등 2기가 더 있다. 동 승탑은 그 중 형태가 가장 아름답고 우아한 작품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530000,36 구례 연곡사 동 승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9월 12일 (화) 15:07 판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鷰谷寺 東 僧塔)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영문명칭 East Stupa of Yeongoksa Temple, Gurye
한자 求禮 鷰谷寺 東 僧塔
주소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제53호
문화재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유자 구례 연곡사
관리자 구례 연곡사
크기 높이 3m
건립시대 통일신라



정의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있는 승탑.

내용

개요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53호로 지정되었으며, 높이는 3m이다.[1] 화강암을 이용해 만든 승탑으로 파손이나 결실된 부분이 없이 완벽하게 남아 있다.[2]

도선국사(道詵國師)의 승탑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3]

연곡사(鷰谷寺)의 동쪽에 세워져 있으며, 네모난 바닥돌 위에 팔각원당형을 기본형으로 삼았다. 하대석은 2단으로, 하단에는 구름무늬를, 상단에는 사자를 조각했다. 중대석에는 둥근 통 모양의 안상(眼像) 속에 팔부신중(八部神衆)을 두었다. 상대석 역시 2단으로 나누어 연화무늬와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둥근 테를 두르고 그 안에 가릉빈가(伽陵頻迦)를 새겼다.[4]

탑 몸통의 각 면에는 중간에 둥근 마디가 있는 기둥모양을 세우고, 문살·보여(寶輿)·사천왕상(四天王像)을 얕게 양각했다. 윗부분에는 봉황과 연화무늬를 새긴 석재가 얹혀 있다.[5]

이곳에는 이 승탑 외에도 구례 연곡사 서 승탑(보물 제1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 등 2기가 더 있다. 동 승탑은 그 중 형태가 가장 아름답고 우아한 작품이다.[6]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구례 연곡사 A는 B에 있다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구례 연곡사 북 승탑 A는 B와 관련이 있다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구례 연곡사 서 승탑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연곡사 동승탑", 『두산백과』online.
  2. 신용철, "구례 연곡사 동 승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연곡사 동승탑", 『두산백과』online.
  4. "연곡사 동승탑", 『두산백과』online.
  5. "연곡사 동승탑", 『두산백과』online.
  6. "구례 연곡사 동 승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