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PAGENAME}}의 판본)
(구급의서의 계통)
31번째 줄: 31번째 줄:
 
==내용==
 
==내용==
 
===구급의서의 계통===
 
===구급의서의 계통===
고려시대에 몽고의 침입을 피하여 강화로 천도하였을 때,정부에 의해 『[[향약구급방|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이라는 구급전문 의서가 출간되었다.비록 『[[향약구급방]]』은 강화도에 들어갈 수 있었던 왕실과 귀족들을 위한 구급의서였지만, 전문의서의 형식인 구급의서로는 최초로 간행되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구급의서 출간의 전통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구급방(救急方)』,『[[구급간이방|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구급양방(救急良方)』 ,『[[언해구급방|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 ,『광제비급(廣濟秘笈)』 등이 편찬되었다.이 중에서 『구급방』은 2권 2책의 조선전기 최초의 구급의서로,간행년도와 저자는 미상이나 세조 12년(1466)에 배포했다는 실록의 기록이 있다. 『[[언해구급방]]』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직후인 선조40년(1607)에 [[허준]]이 편찬한 2권 2책의 구급의서이다.  
+
고려시대에 몽고의 침입을 피하여 강화로 천도하였을 때,정부에 의해 『[[향약구급방|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이라는 구급전문 의서가 출간되었다.비록 『[[향약구급방]]』은 강화도에 들어갈 수 있었던 왕실과 귀족들을 위한 구급의서였지만, 전문의서의 형식인 구급의서로는 최초로 간행되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구급의서 출간의 전통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구급방(救急方)』,『[[구급간이방|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구급양방(救急良方)』 ,『[[언해구급방|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 ,『광제비급(廣濟秘笈)』 등이 편찬되었다.이 중에서 『구급방』은 2권 2책의 조선전기 최초의 구급의서로, 간행년도와 저자는 미상이나 세조 12년(1466)에 배포했다는 실록의 기록이 있다. 『[[언해구급방]]』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직후인 선조40년(1607)에 [[허준]]이 편찬한 2권 2책의 구급의서이다.  
 
<ref>최미화, 「조선시대 《구급방》과 《언해구급방》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쪽.</ref>
 
<ref>최미화, 「조선시대 《구급방》과 《언해구급방》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쪽.</ref>
  

2017년 7월 30일 (일) 17:55 판

구급방(救急方)
이숭녕, "구급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구급방
한자표기 救急方
이칭 구급방언해
유형 고서
간행시기 1466
시대 조선


정의

1466년 간행된 구급에 관한 의서이다.

내용

구급의서의 계통

고려시대에 몽고의 침입을 피하여 강화로 천도하였을 때,정부에 의해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이라는 구급전문 의서가 출간되었다.비록 『향약구급방』은 강화도에 들어갈 수 있었던 왕실과 귀족들을 위한 구급의서였지만, 전문의서의 형식인 구급의서로는 최초로 간행되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구급의서 출간의 전통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구급방(救急方)』,『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구급양방(救急良方)』 ,『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 ,『광제비급(廣濟秘笈)』 등이 편찬되었다.이 중에서 『구급방』은 2권 2책의 조선전기 최초의 구급의서로, 간행년도와 저자는 미상이나 세조 12년(1466)에 배포했다는 실록의 기록이 있다. 『언해구급방』은 임진왜란정유재란 직후인 선조40년(1607)에 허준이 편찬한 2권 2책의 구급의서이다. [1]

구급방의 판본

『구급방』은 조선 세조대에 간행된 2권 2책의 국한문혼용 구급의서로 초간본은 전하지 않는다.국내에는 완질이 없고 상권 1책만이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상․하권 완질은 일본 나고야 봉좌문고에 소장되어 있다.일본 봉좌문고에 있는 『구급방』 상․하 2책은 을해자)본의 복각본으로 복각 시기는 16세기 중반으로 추정된다. 상권이 92장(목차 3장,본문 89장),하권이 96장이다. 규장각에 있는 낙장본 『구급방』 상권은 위의 봉좌문고 본과 동일 계통의 것으로,책의 모양은 완전히 같다. [2]

구급방의 구성과 내용

내용은 총 36가지의 구급 상황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권은 중풍(中風), 중한(中寒), 중서(中暑), 중기(中氣), 중오중악귀기(中忤中惡鬼氣), 귀염귀타(鬼魘鬼打), 졸사(卒死), 졸심통(卒心痛), 곽난토사(霍亂吐瀉), 시궐(尸厥), 전후풍후폐(纏喉風喉閉), 골경(骨鯁), 탈양음축(脫陽陰縮), 토혈하혈(吐血下血), 대소변부통(大小便不通), 익수(溺水), 자액(自縊),失欠頷車蹉候(실흠함거차후), 금창(金瘡) 등 총 19문으로 오늘날의 외과,내과,이비인후과 영역에 해당한다.하권은 전족금인입육급골부출(箭鏃金刃入肉及骨不出), 탕화상(湯火傷), 마교마답마한마골마척(馬咬馬踏馬汗馬骨馬蜴), 타박상손(打撲傷損), 거마추상(車馬墜傷), 미목(眯目), 제충입이(諸蟲入耳), 채독(菜毒), 균독(菌毒), 중비상독(中砒礵毒), 어육독(魚肉毒), 호교(虎咬), 제견교(猘犬咬), 제충상(諸蟲傷), 잉부역생난산(孕婦逆生難産), 태의부(胎衣不),하악혈주심(下惡血湊心), 혈훈(血暈) 등 총 17문으로 외과,내과,안과,산부인과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방의 전체적인 구조는 병명을 붙인 후 복잡한 의론은 생략하고 증상과 여러 종류의 치료방법을 나열하였으며, 약의 제조방법이나 중량 등을 적어놓아 실용에 편리하게 되어 있다. 처방을 쓸 때는 반드시 맨 앞에 출처를 밝히고 있는데,모든 내용이 각종 중국 의서를 인용한 것이기 때문에 문헌 특유의 일관성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가장 큰 특징은 모든 처방에 한글로 언해를 붙여 놓고 있다는 점이다. [3]

구급방의 편찬배경

고려 때 간행된 『향약구급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조가 『구급방』을 편찬한 이유는 우선,전문 의학 교과서의 필요에 의해서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향약구급방』과 달리 의원 지망자들의 의과 시험을 위한 구급의학 전문 교과서를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이는 『구급방』 의 모든 처방 맨 앞에 인용서명과 산제․탕제명이 나오는 것에서부터 알 수 있다. 그리고 성종 대에는 『경국대전』 에서 의과시험 강서로 규정하고 있다. 또 다른 편찬 배경은 의학에 대한 세조의 지극한 관심이다. 전쟁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질병이 만연할 때조차, 약석과 침구의 혜택도 받지 못하는 것이 조선 백성의 현실이었다. 세조대의 기록을 보면 8도에 구급방을 각각 2부씩 내려 보냈으며, 성종대에는 새로 편찬한 『구급간이방』을 백성들도 모두 인출한 것을 얻도록 하라는 배려가 있었다. 중앙에서 찍어 민간에 널리 배포하려던 이 계획은 각 도에서 찍어 민간에 배포하는 것으로 수정되었지만, 이를 통해 국가차원에서 구급방을 얼마나 중시했는지 알 수있다. [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급방 언해두창집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임원준 구급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세종 연간
허준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저술하였다 1608년
의방유취 구급방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예손 구급방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임원준 구급방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구급방 구급방 편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세종~세조 연간
이우성 구급방 A 는 B를 영인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세종 연간 임원준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세조 연간 이예손 구급방을 교정하였다
1608년 허준이 『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주석

  1. 최미화, 「조선시대 《구급방》과 《언해구급방》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쪽.
  2. 최미화, 「조선시대 《구급방》과 《언해구급방》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쪽.
  3. 최미화, 「조선시대 《구급방》과 《언해구급방》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9쪽.
  4. 최미화, 「조선시대 《구급방》과 《언해구급방》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1-12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이우성, 『창진집』, 아세아문화사, 1997.
    • 안상우, 『역대 한국의학문헌의 복원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2008.
  • 웹자원
    • 육창수, "창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