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도 당집
Encyves Wiki
장도 당집(長島 堂-) | |
대표명칭 | 장도 당집 |
---|---|
한자표기 | 長島 堂- |
유형 | 당집 |
주소 |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734번지 |
관련인물 | 장보고, 송징, 정년, 혜일 |
관련유물유적 | 청해진 |
|
목차
정의
내용
당집의 위치
장도 당집은 장도 정상에 후박나무와 동백나무가 숲을 이룬 곳에 위치해 있다. 당집은 동향으로 앉아 마을을 등지고 바다를 향해 있다. 본래는 초가였으나 1940년에 기와로 지붕을 바꾸고 크게 수리하였다.[1] 당시 상량문이 황기(皇紀) 2600년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02년에 이를 철거하고 같은 장소에 새로 당집을 지었다.[2]
좌정된 신격
당집 안에는 판자로 짠 상이 세 개 놓여 있는데, 중앙에는 주신(主神)인 송징장군(宋徵將軍), 우측은 정년장군(鄭年將軍), 좌측은 혜일대사(慧日大師)를 모시고 있다. 그런데 1982년부터 완도 장좌리 당제 남도문화제에 출연하면서 당시 이곳과 관련이 있는 장보고(張保皐)를 추배(趨拜:허리를 굽히고 나아가 절을 함)하게 되었는데, 그후 계속해서 장보고까지 4위의 당신을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3] 현재 당집 안 전면 벽에 장보고의 초상이 걸려 있다.[4]
매년 정월 보름날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이 행해진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청해진 | 장보고 | A는 B가 설치하였다 | A ekc:founder B |
장도 당집 | 청해진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장보고 | 장도 당집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정년 | 장도 당집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정년 | 장보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송징 | 장도 당집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송징 | 삼별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혜일 | 장도 당집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장도 당집 | A는 B에서 거행된다 | A ekc:isPerformedAt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이미지
주석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2010. 온라인 참조: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2010. 온라인 참조: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2010. 온라인 참조: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유용한 정보
-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당제",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