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
대표명칭 |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
유형 | 행사 |
날짜 | 음력 1월 15일 |
관련장소 | 장도 당집 |
목차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에 전승되는 마을 공동제의이다.
내용
제당
장좌리는 통일신라시대 청해진(淸海鎭)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장좌리에는 두 곳에 당이 있다. 하나는 마을 안 사장(射場)의 당나무인 귀목나무이고, 다른 하나는 마을 앞 200∼300m 거리의 조그만 섬 장도에 있는 장도 당집이다. 사장거리는 크게 중시되지는 않고 당집에서의 제향이 끝나면 간단히 사장굿을 칠 뿐이다. 당제와 당굿은 정월 보름날 이루어진다.[1]
당제의 대상
장도 당집 중앙에는 주신(主神)인 송징장군(宋徵將軍), 우측은 정년장군(鄭年將軍), 좌측은 혜일대사(慧日大師)를 모시고 있었다. 그런데 1982년부터 완도 장좌리 당제가 남도문화제에 출연하면서 당시 이곳과 관련이 있는 장보고(張保皐)를 추가로 모시게 되었는데, 그 후 계속해서 장보고까지 4위의 당신을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2]
당제 절차
장좌리 당제의 전체적인 절차는 '제관 선출-당집 제례-샘굿-당수 제례-음복-갯제'의 순서로 진행된다.[3]
매년 이장을 중심으로 정월 초사흗날 마을회의 격인 대동공회(大同公會)를 열어 제관·제비·당굿을 칠 사람들을 선정한다. 제관으로는 당주와 집사를 선정하는데, 당주는 제물을 비롯한 일체의 준비물을 맡고 집사는 독축과 집례를 관장한다. 당주의 선정 기준은 무척 까다롭고 엄격하다. 친가는 물론 처가까지도 따져 아직 상복을 벗지 않은 사람의 경우는 제외되며, 집안에 산고가 든 사람도 뺀다. 또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어린애가 있는 집에서도 역시 당주를 맡을 수 없다.[4] 당주는 보름 일주일 전부터 엄격한 금기를 지키며, 당샘 청소, 제수 장만, 당집 청소 등의 준비를 한다.[5]
보름날 새벽 마을회관에서 풍물패가 굿을 알리면 당굿이 시작되는데, 제관이 앞장서고 풍물패가 길굿을 치면서 당집에 오른다. 당집에서의 제사는 유교식 제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당집 제례가 끝나고 아침식사를 마치면 풍물패가 당 주위를 왼쪽으로 세 바퀴를 달음질쳐 돌고 나서 옆 보리밭에서 날당산굿을 친다. 갈 之(지)자로 열을 지어 하산하여 바닷가에 내려와서는 배를 타고 흥겹게 뱃굿을 치며 마을로 돌아온다. 이어 마을 앞 바닷가에 접해 있는 공동 우물에서 샘굿을 치고 부근의 귀목나무에서 사장굿을 친다. 이렇게 한 다음 그동안 출입이 금지되었던 당주 집으로 가서 음복을 하며 흥겹게 논다.[6]
특징
전남 지방의 당제는 당산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를 모시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곳에서는 특정한 역사적 인물을 당신으로 모시고 있다. 그리고 송징을 비롯한 인물 신을 모시는 장도 당집을 하나의 제당으로 모시고, 마을에 있는 당나무를 또 다른 신으로 모시고 있다는 점에서 제당의 편성이 복합적이다. 또한 들당산굿·날당산굿·뱃굿·샘굿·사장굿·마당밟기 등에서 풍물굿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연행되는 특징을 보여준다.[7] 전라남도 무형문화제 제28호로 지정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장도 당집 | A는 B에서 거행된다 | A ekc:isPerformedAt B |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장보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정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송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완도 장좌리 당제 및 당굿 | 혜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이미지
영상
- [완도군청홍보팀]정월 대보름, 완도에서 장보고대사를 기리는 당제(게시일: 2015년 3월 6일)
주석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2010. 온라인 참조: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편』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2010. 온라인 참조: "완도장좌리당제 및 당굿", 한국민속대백과사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완도장좌리당제와당굿",
유용한 정보
-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당제",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