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6일 (목) 22:52 판 (관련항목)

이동: 둘러보기, 검색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Nanggong from Taejasa Temple, Bonghwa
한자 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이칭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太子寺 朗空大師 白月栖雲塔碑)
주소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877호
문화재 지정일 2015년 4월 22일
찬자 본문: 최인연(崔仁渷), 음기: 석순백(釋純白)
각자 숭태(嵩太), 수규(秀規), 청직(淸直), 혜초(惠超)
서체 행서(行書)
승려 행적(行寂)
건립연대 954년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하남면 태자사(太子寺) 터에서 발견된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낭공대사 행적(朗空大師 行寂, 832-916)탑비.

내용

개요

비신(碑身)[1] 높이 2m, 너비 0.96m. 원래 경상북도 봉화군 하남면 태자리 태자사(太子寺)에 있었으나 폐사된 후 조선 중종 때 영천시 영천면 휴천리로 옮겨졌고, 다시 1918년 경복궁 근정전(景福宮 勤政殿) 회랑으로 비신만이 옮겨졌다. 현재는 2005년 용산구로 이전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비신 중간부가 절단된 이외에 상태는 좋다.[2]

비문의 앞면은 경명왕의 명으로 최인연(崔仁渷)이 짓고, 뒷면은 낭공대사(朗空大師)의 문하법손(門下法孫)인 석순백(釋純白)이 지었다. 비문은 낭공대사가 입적한 이듬해에 지었으나, 38년 만인 954년(고려 광종 5)에야 건립되었다.[3] 당시 남북국시대 말기의 상황이 너무도 어지러워 대사의 탑과 비석을 세울 수 없었던 까닭이다. 이 같은 사연은 순백이 기록한 비석 뒷면의 후기에 담겼다.[4]

특히 이 비석은 우리나라 서예 신품사현(神品四賢)으로 일컬어지는 김생(金生, 711-791?)의 글씨를 집자(集字)[5]해 만든 것으로, 김생의 글씨가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 서예사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6]

2015년 보물 제1877호로 지정되었다.[7]

비문

비문 내용은 낭공대사(朗空大師)의 생애를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낭공대사해인사(海印寺)로 출가하여 사굴산문(闍崛山門) 범일(梵日)의 제자가 되었고, 이후 당(唐)에 건너가 석상경제(石霜慶諸)의 법을 잇고 돌아와 효공왕의 초빙을 받기도 하였다.[8]

음기(陰記)[9]에서는 낭공대사의 제자인 양경(讓景)윤정(允正)에 대해 길게 서술하고 비문의 찬자인 최인연(崔仁渷)에 대해서도 기술한 것이 특징적이다.[10]

비의 측면에는 1509년(조선 중종 4)에 영천군수 이항(李沆)이 이 탑비를 태자사지로부터 영천의 자민루(字民樓)로 옮겨온 사실이 박눌(朴訥)의 글씨로 새겨져 있다.[11]

비문 보러가기
임세권 저, 이우태 편저,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38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태자사낭공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행적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봉화 태자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경복궁 근정전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신라 경명왕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A dc:contributor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최인연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순백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김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이항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신품사현 김생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954년 행적의 탑비인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봉화 태자사에 건립됨.
1509년 이항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를 영천으로 옮김.
1918년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경복궁 근정전으로 옮겨짐.
2005년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짐.
2015년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가 보물로 지정됨.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2. 김응현,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임세권 저, 이우태 편저,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4. 박성원, "위대한 문화유산-태자사 낭공대사비",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문헌에서 필요한 글자를 찾아 모음.
  6. "태자사 낭공대사 비석",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8. "태자사낭공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9. 비갈(碑碣)의 등뒤에 새긴 글
  10. 임세권 저, 이우태 편저,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11. 김응현,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우리나라 서예 법 세운 '김생 특별전'", 『아주경제』, 2011년 12월 25일.
  13. 이동국, "서예로 찾은 우리 미학(17)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 (上)", 『경향신문』, 2014년 1월 24일.
  14. 이동국, "서예로 찾은 우리 미학(17)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 (下)", 『경향신문』, 2014년 2월 7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