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安東 太子寺址 龜趺 및 螭首)
대표명칭 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한자표기 安東 太子寺址 龜趺 및 螭首
시대 신라시대
지정번호 경북문화재자료 제68호
지정일 1985년 08월 05일
소장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소정리길 26
수량 1기
관련인물 행적(行寂)
관련장소 봉화 태자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위치한 태자사지(太子寺址)에 있는 귀부(龜趺)이수(螭首).

내용

지금은 폐교가 된 태자분교 왼쪽의 밭가에 자리하고 있는 비의 일부분으로, 이곳에 자리잡았던 옛 태자사의 유물일 것으로 짐작된다.[1]

태자사지(太子寺址)에 있는 귀부(龜趺)이수(螭首)는 신라말의 왕사(王師)낭공대사 행적(朗空大師 行寂, 832-916)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奉化太子寺朗空大師塔碑)귀부이수라고 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낭공대사탑비의 비신과 규격이 달라 이와 상관없는 비석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2]

현재의 형태는 지대석 위에 귀부를 얹고 그 위에 이수를 올려놓았다. 용의 형상을 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귀부의 머리는 목 위 머리 앞부분이 깨져 없어졌다. 거북의 몸체는 지대석과 별석으로 되어 있으며, 거북의 네 발은 지대석 윗면에 새겨져 있다. 이수는 옆면 중앙부에 제액(題額)이 있고, 제액의 양쪽에는 두 마리의 용이 제액 위에 있는 큰 보주를 놓고 다투는 형상이 새겨져 있다. 제액 부분은 글자가 없이 빈 채로 있다.[3]

1985년 8월 5일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8호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현재 최양해가 소유, 관리하고 있다.[4]

지식 관계망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와 낭공대사 행적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봉화 태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봉화 태자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주석

  1.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정진영,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진영,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정진영,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