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황후의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4일 (토) 14:08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책황후의
(冊皇后儀)
대표명칭 책황후의
한자표기 冊皇后儀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 등극례



정의

1897년(광무 원년) 10월, 고종황제가 경운궁 태극전(현 덕수궁)에서 거행한, 왕비황후로 책봉하는 의식이다.[1]

내용

황제는 이날 책봉된명성황후에게 금책(金冊)금보(金寶)를 내렸다.[2] 행사 하루 전, 어좌를 경운궁 태극전(현 덕수궁) 북벽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황후의 책안(冊案)과 보안(寶案)을 황제의 보안 남쪽에 설치한다. 행사 당일 종친백관의 자리를 설치하고, 초엄이 울리면 종친백관은 4품 이상은 백관의 조복을 입고,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입는다. 이엄이 울리면 황제면복 차림으로 내전에 나온다. 삼엄이 울리면 종친백관이 자리로 나아가고 황제여(輿)를 타고 나가 를 잡고 의례 장소로 들어간다. 집사자(執事者)가 책안(冊案)과 보안(寶案)을 들고 나아가면 승제관(承制官)이 명령을 선포한다. 절(節)과 보록(寶盝), 책함(冊函)을 요여(腰輿)채여(彩輿)에 봉안해 빈전(殯殿)으로 나아간다. 백관종친이 자리로 돌아가 국궁사배(鞠躬四拜) 하고, 황제를 내려놓으면 의식이 끝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책황후의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고종 책황후의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백관 책황후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등극례 책황후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책황후의 황제어태극전 수백관하표의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황제 황제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종친 백관의 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4품 이상 백관 백관의 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5품 이하 백관 흑단령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97년 10월 9일 고종이 책황후의를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65797 126.975133 덕수궁은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세종대로 99에 위치한다

주석

  1. 김문식,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조선시대사학보』 37, 조선시대사학회, 2006, 82쪽.
  2. 김문식,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조선시대사학보』 37, 조선시대사학회, 2006, 82쪽.
  3. 『高宗大禮儀軌』 「儀註帙」: ‘冊皇后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대한예전(大韓禮典)』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국립고궁박물원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0.
  • 김문식, 「高宗의 皇帝 登極儀에 나타난 상징적 함의」, 『조선시대사학보』 37, 조선시대사학회, 2006.
  • 김문식, 「장지연이 편찬한 『대한예전』」, 『문헌과 해석』 35, 문헌과 해석사, 2006.
  • 김용숙,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2000.
  •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이민원, 『한국의 황제』, 대원사, 2001.
  • 이욱, 「대한제국기 환구제(圜丘祭)에 관한 연구」, 『종교연구』 30, 한국종교학회, 2003.
  • 임민혁, 「대한제국기 大韓禮典의 편찬과 황제국 의례」, 『역사와 실학』 제34집, 역사실학회, 2007.
  • 전통예술원 음악사료강독회, 『(국역) 高宗大禮儀軌』, 민속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