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도

Encyves Wiki
Nur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일 (일) 18:08 판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청구도 |한자표기=靑邱圖 |영문명칭= |이칭= |유형=지도 |저자=김정호 |역자= |편자=김정호 |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구도(靑邱圖)
대표명칭 청구도
한자표기 靑邱圖
유형 지도
저자 김정호
편자 김정호
저술시기 1834년
시대 조선
수량 2책(197장),2책(182장),2책(197장)
표기문자 한자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지정번호 보물 제1594-1호(국립중앙도서관),제1594-2호(영남대학교 도서관),제1594-3호(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지정일 2008년 12월 22일



정의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조선시대의 전국 지도책.[1]

내용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고산자(古山子) 김정호가 1834년(순조 34)에 만든 조선시대의 한반도 지도로, 남북 100리, 동서 70리의 방안(方眼)을 사용하여 만든 대축척의 방안지도이다.[2]

특징

청구도는 현존하는 고지도 중 가장 크며, 책첩(冊帖)으로 만들어져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경위선 표식과 기하원본의 확대 축소법을 적용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앞서 제작된 어느 고지도보다 과학적이며[3], 기존 전국지도에 중요 역사지리 정보를 상세하게 수록하여 지리지 역할을 가미한 독특한 지도가 되었다. 이후 대동여지도를 만드는 데 기틀이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4]

세 가지 소장본

이 청구도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보물 제1594-1호), 영남대학교 소장본(보물 제1594-2호), 고려대학교 소장본(보물 제1594-3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2책 19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남대학교 소장본은 2책 18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표지 제목이 <여지도(輿地圖)>로 되어 있고 내용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청구도>와 같다. 고려대학교 소장본은 2009년 4월 22일에 보물로 지정되었고, 2책 197장으로 구성, 보존 상태가 가장 뛰어나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청구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청구도 최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한기 김정호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김정희 최한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최한기 지구전후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구전후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금당초고 김정호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금당초고 신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신헌 김정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정희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청구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청구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홍시환, "청구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청구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청구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문서
    • "청구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홍시환, "청구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3·1운동",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유용한 정보

  1. 정은영, "청구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청구도",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