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실도십곡병풍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6일 (목) 15:4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행실도십곡병풍
한글팀 행실도십곡병풍 01 민손단의.jpg
한자명칭 行實圖十曲屛風
영문명칭 "A ten-fold screen of the illustrated stories exemplifying the five Confucian virtues"
작자 미상
작성시기 19세기 이후
간행시기 조선후기/개항기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87.6×39㎝
판본 ?
수량 10폭 병풍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다섯 개의 효자도(孝子圖)와 다섯 개의 형제도(兄弟圖)가 그려진 10폭 병풍으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에 등장하는 효자와 우애의 고사를 그렸다.

텍스트

다섯 개의 효자도(孝子圖)와 다섯 개의 형제도(兄弟圖)가 그려진 10폭 병풍으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에 등장하는 효자와 우애의 고사를 그렸다. 발견 당시 표구가 된 상태가 아니었기 때문에 원래의 배열 순서를 알 수 없으나, 현재는 효자도와 형제도로 나누어 표구되어 있다. 화풍으로 보아 직업 화가가 아닌 민간 화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화면의 윗부분에는 그림의 한문 제목을 기입했고, 한문과 한글로 고사의 내용을 기록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문란해진 사회 풍조를 쇄신하기 위해 삼강오륜三綱五倫의 내용을 일반에 보급하려는 목적에 따라 중국과 한국의 인물고사와 장면들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이 병풍은 고사의 내용을 한글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한층 더 높은 가치를 지닌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행실도십곡병풍 개념 효자
행실도십곡병풍 개념 형제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행실도십곡병풍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37.524114 126.980481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행실도십곡병풍 간행년 19세기 이후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54-5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