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이씨 식산종택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8일 (월) 23:5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안이씨 식산종택
(延安李氏 息山宗宅)
파일:한글팀 연안이씨 식산종택.jpg
기록유산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개발 연구팀
대표명칭 연안이씨 식산종택
한자표기 延安李氏 息山宗宅
유형 주택(한옥)
시대 조선
소장처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리 746
관련인물 이만부
관련유물유적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정의

연안이씨 식산 이만부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집이다.

내용

식산 이만부와 연안이씨 가문

연안이씨 가문은 이관징의 아들 이옥과 이옥의 아들 이만부, 3대에 걸쳐 남인의 핵심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연안이씨 식산가문은 이만부 이후 이건기가 이천도획부사를 역인한 것을 제외하고는 직계로 실직을 지낸 관리를 배출하지는 못했다. 가세가 격하게 위축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식산가문은 벼슬보다는 학문과 문학으로 명가로서의 가성을 유지해 나갔다. 특히 문학적인 족적은 이만부의 손자 이승연 대에서 6세손 이병선 대에 이르기까지 줄기차게 이어져 엄청난 분량의 저술을 남겼다. [1]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고문서의 현황과 내용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전적은 시기적으로는 17세기 중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이르고 있으며 이관징, 이옥, 이만부 3대와 관련된 것들이며 그 외 인친들의 필첩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2] 문집류는 상주·안동 출신이 저자인 경우가 많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호산춘주 제조법 연안이씨 식산종택 A는 B에 보관되었다
연안이씨 식산종택 하협 A는 B에서 이름을 땄다
연안이씨 식산종택 진양하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연안이씨 식산종택 하기룡 A는 B와 관련이 있다 15세기 중엽
하기룡 진양하씨 A는 B에 소속된다
하기룡 하숙 A는 B의 후손이다
하숙 하위보 A는 B의 어버이다
하숙 하진보 A는 B의 어버이다
하숙 하국보 A는 B의 어버이다
하위보 조식 A는 B의 제자이다
하진보 조식 A는 B의 제자이다
하국보 조식 A는 B의 제자이다
하위보 하협 A는 B의 어버이다
하계룡 하협 A는 B의 후손이다
하계룡 하우식 A는 B의 어버이다
하계룡 연안이씨 식산종택 안채 A는 B를 건립하였다 1864년
하계룡 연안이씨 식산종택 사랑채 A는 B를 건립하였다 1871년
하계룡 연안이씨 식산종택 별채 A는 B를 건립하였다 1916년

시간 정보

시간정보 내용
15세기 중엽 하기룡이 단목리로 이거하였다.
1864년 하계룡이 연안이씨 식산종택 안채를 건립하였다
1871년 하계룡이 연안이씨 식산종택 사랑채를 건립하였다
1916년 하계룡이 연안이씨 식산종택 별채를 건립하였다

공간 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257146 128.136781 연안이씨 식산종택은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단목마을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5-247쪽.
  2.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8쪽.
  3.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54쪽.

참고 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명가의 고문서1 선비가의 묵향 : 진양하씨 창주후손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집성(47)-진주 단목 진양하씨 창주후손가(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집성(48)-진주 단목 진양하씨 창주후손가(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 논문
    1. 김학수, 「고문서를 통해 본 진양하씨 창주가의 토족적 위상 - 사회경제적 기반을 중심으로」, 『남명학연구』25,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08.
    2. 장서각, 「晉州 晉陽河氏 滄洲後孫家所藏 典籍[文集類]의 현황과 내용」, 『장서각』3, 한국학중앙연구원, 2000.
    3. 조계영, 「문중의 고문헌 관리와 보존 - 진주 진양하씨 단지종택 사례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27, 한국고문서학회, 2005.
  • 웹자원
    1. 김규형, "진주 담산 고택",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