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건릉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6일 (토) 19:01 판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한글팀 융건릉01 건릉능침.jpg |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성 융릉과 건릉
(華城 隆陵과 健陵)
"문화재청", 『문화채정』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화성 융릉과 건릉
한자표기 華城 隆陵과 健陵
이칭 현륭원, 영우원
시대 조선
지정번호 사적 제206호
관련인물 조선 정조, 사도세자, 혜경궁 홍씨, 효의왕후 김씨
관련장소 화성행궁


정의

경기도 화성에 있는 능으로 융릉은 사도세자와 그의 부인 혜경궁 홍씨의 무덤이다. 건릉은 조선 정조와 그의 부인 효의왕후 김씨의 무덤이다.

융릉의 구성

융릉은 사도세자혜경궁 홍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태이다. 융릉은 1789년(정조 13)에 배봉산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으로 이름을 바꾸고 원을 다시 조성하였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수라간,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비각 안에는 두 기의 표석이 있는데 1기는 조선시대에 세운 조선국 표석(조선국 사도장헌세자현륭원)이고, 1기는 대한제국시대에 세운 황제국 표석(대한 장조의황제 융릉 헌경의황후 부좌)이다. 능침은 난간석을 생략하고 병풍석만 둘렀으며, 병풍석의 면석은 조선 인조장릉(長陵)의 형태를 따랐고, 인석은 연꽃형태로 조각한 것이 독특하다. 그 밖에 문무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를 배치하였다. 특히 문석인은 복두를 쓴 일반적인 왕릉형식이 아닌 금관조복을 입고 있다. 공간 구성 상의 특이점 중 또 하나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정자각과 능침이 이루는 축이다. 대개의 왕릉에서 정자각과 능침이 일직선상에 축을 이루는 반면 융릉은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있다. 홍살문의 오른쪽에는 원형의 연못인 곤신지(坤申池)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풍수적 논리에 의해 조성되었다고 한다.[1]

융릉의 역사

1762년(영조 38)에 장조(사도세자)가 아버지 조선 영조의 명으로 뒤주 속에 갇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 아래에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묘의 이름은 수은묘(垂恩墓)라 하였으며, 1776년에 [[조선

정조]]가 왕위에 오르자 장헌세자라는 존호를 올리고 묘를 원으로 격상하여 이름을 영우원(永祐園)이라 하였다. 1789년(정조 13)에 원을 현재의 화산으로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이라 하였다. 1815년(순조 15)에 헌경의황후(혜경궁) 홍씨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816년에 현륭원에 합장으로 원을 조성하였다. 그 후 대한제국 선포 후 1899년(광무 3)년에 사도세자가 추존되자 능으로 격상되어 융릉이라 하였다.[2]

건릉의 구성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효의왕후 김씨의 능이다. 건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수라간,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능침은 융릉과 비슷하지만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그 밖에 문무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 등을 배치하였다.

건릉의 역사

1800년(정조 24)에 조선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아버지 장조의 현륭원(융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조선 순조가 왕위에 오른 후 건릉 불길론이 있었고, 1821년(순조 21)에 효의왕후 김씨가 세상을 떠나자 건릉 천장이 결정되었다. 이후 현륭원 서쪽 언덕으로 능자리가 결정되면서 합장릉의 형태로 능을 조성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융건릉 융릉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융건릉 건릉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융건릉 현륭원 A는 B의 이칭이다 A owl:sameAs B
영우원 현륭원 A는 B의 이칭이다 A owl:sameAs B
사도세자 융릉 A는 B에 묻혀있다 A edm:isRelatedTo B
혜경궁 홍씨 융릉 A는 B에 묻혀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정조 건릉 A는 B에 묻혀있다 A edm:isRelatedTo B
효의왕후 김씨 건릉 A는 B에 묻혀있다 A edm:isRelatedTo B
융건릉 화성 용주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 자료

갤러리

주석

  1. "융릉·건릉 이야기" 『문화재청 조선왕릉』online, 문화재청.
  2. "융릉·건릉 이야기" 『문화재청 조선왕릉』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최승관, "용주사", 감성포토, 『문화유산채널』online,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2011년 09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