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대대(백관)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5일 (금) 16:4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대
(大帶)
밀창군 이직(李樴, 1677~1746)묘 출토 대대,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대표명칭 대대
한자표기 大帶
구분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대사(大社), 경사일(慶事日), 원단(元旦), 동지(冬至) 및 조칙(詔勅)을 반포하거나 진표(進表)할 때 백관의 조복을 입을 때와 국가 제례백관의 제복을 입을 때 착용한다.

내용

의복을 묶는 역할을 하던 것으로 혁대를 겉에서 감싸 묶기도 하였고, 또 상의의 옷깃을 여며 의복을 온전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허리띠이다.[1] 긴 띠 형태로, 전체 형태는 허리에 두르는 부분인 ‘요(繞)’와 아래로 늘어뜨린 부분인 ‘신(紳)’으로 이루어졌다.[2] 제도상으로는 대대(백관)후수(백관)가 따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밀창군 이직대대(백관)를 제외한 조선후기의 유물들이 대대(백관)후수(백관)가 연결되어 있어 착용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3] 조선말기에는 대대(백관)후수(백관)가 장식적이고 화려하게 변화되어 색상도 다양해졌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대대(백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조복 대대(백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제복 대대(백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대대(백관) 조복 상의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대대(백관) 제복 상의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대대(백관) 조복 하상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대대(백관) 제복 하상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정혜경, 『深衣』,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203쪽.
  2.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57쪽~61쪽.
  3.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8쪽.
  4.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8쪽.
  5.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복식․자수편』, 문화재청, 2006, 120쪽. .
  6.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
  7.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
  8.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6, 2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高光林, 「金冠 朝服에 關한 硏究」,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12, 1978.
  • 古光林, 『韓國의 冠服』, 和成社, 1990.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李相恩, 『朝鮮王朝服飾史論』, 東方圖書, 1992.
  • 李善熙, 「祭服의 起源과 變遷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朴京子, 「祭禮의 思想과 祭服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石宙善, 『衣』, 고려서적주식회사, 1985.
  • 임상임ㆍ유관순ㆍ추미경, 「조선후기 죽산(竹山) 박씨 집안의 조복(朝服)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赤綃衣·赤綃裳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권 5호, 한국의류학회, 2002.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