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찬유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30일 (수) 15:25 판 (활동)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찬유(璨幽)
BHST Monk1.png
대표명칭 찬유
한자 璨幽
생몰년 869년(경문왕 9)-958년(광종 9)
시호 원종(元宗)
탑호 혜진(慧眞)
도광(道光)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경상남도 하동
승탑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승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는 869년(경문왕 9) 계림(鷄林) 하남(河南: 현재의 경남 하동)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김씨(金氏)이다. 아버지의 휘는 용(容)인데, 장사현(長沙縣: 현재의 전북 고창)의 현령(縣令)을 지냈다고 한다.

Quote-left.png 대사(大師)의 존칭(尊稱)은 찬유(璨幽)요 자(字)는 도광(道光)이며 속성(俗姓)은 김씨(金氏)로서 계림 하남(河南) 사람이다. 자자손손 드러난 족속이요, 대대로 유명한 가문인데, 조상을 드높이는 깨끗한 규범과 종족을 공경하는 꽃다운 자취는 삭제하여 기록하지 않겠으니, 이는 불문(佛門)의 종지를 따르는 것이다.

아버지의 휘는 용(容)인데, 흰 무지개의 빼어난 기운과 단혈의 기이한 자태로 저녁 노을의 남은 빛을 머금고 새벽종의 청아한 소리를 진동시키는 듯하였다. 마침내 가문을 일으켜 창부낭중이 되었으며, 얼마 안 되어 나가 장사현령이 되었다. 백 리 고을에서는 봄에 순행하는 교화로 꽃 고을에서 더욱 향기로웠으며, 구중궁궐에서는 해를 향한 마음으로 해바라기 동산에서 두드러지게 아름다웠으니, 조야가 따라서 의지하고 백성들이 우러러 의지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0-4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탄생설화

어머니 이씨(李氏)는 꿈에서 신인(神人)을 만나고 대사를 잉태하였다.

Quote-left.png 어머니 이씨는 아내로서의 덕을 잘 닦고 어머니로서의 자세를 풍성히 지녔는데, 꿈에 한 신인이 있어 고하기를, "어머니의 아들이 되고 부처님의 자손이 되는 까닭에 묘한 인연에 의탁하여 삼가 자비로운 교화를 펴고자 원합니다."라고 하였다. 특별한 꿈을 꾸었다고 여겼는데, 인하여 잉태를 하였다. 행동거지를 삼가고 태교를 받들어 행하였다. 함통(咸通; 唐 懿宗의 연호) 12년(869, 경문왕 9) 세차 기축년 4월 4일에 태어났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출가수행

찬유는 13세에 상주(尙州) 삼랑사(三郞寺) 융제(融諦)에게 출가하고, 융제의 지시에 따라 여주 혜목산(慧目山) 고달사(高達寺)에 가서 심희(審希)를 스승으로 모셨다.[1] 890년(진성여왕 4) 22세에는 양주(楊州) 장의사(莊義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Quote-left.png 나이 겨우 13세 때 아버지께 말씀드리기를,

"비록 지혜의 가지는 모자라지만 깨달음의 나무가 되고자 합니다."

"내 비록 보는 눈은 없으나 일찍이 너의 선근(善根)을 보았다. 너는 의당 부지런히 배양하여 좋은 과보를 닦도록 하여라."

대사는 다행히 소원대로 아버지의 승낙을 얻어 곧 머리를 깎고 출가하였다. 상주 공산 삼랑사의 융체선사(融諦禪師)가 도를 강론함이 깊고 사람을 교화함이 밝다는 소식을 삼가 듣고 그의 제자가 될 생각으로 멀리 선사를 찾아갔다 선사가 말하였다.

"이리 오너라 오늘 너의 오는 모습을 보니 장차 훌륭한 사람을 만난 것을 알겠다. 우리 종의 선화상(禪和尙)은 법호가 심희(審希)인데 진짜 한 부처가 세상에 출현하여 동국을 교화한 주인이시다. 지금 혜목산(慧目山)에 계시니 너는 마땅히 찾아가서 그 분을 스승으로 섬겨라"

대사는 '나의 스승임에 틀림없으니 나의 소원을 이루었다. 지체 말고 가는 것이 좋겠다.'라 생각하고, 곧 혜목산을 찾아가 정성껏 섬기면서 도를 배우는 마음을 더 닦고 선을 익히는 뜻을 한층 가다듬었다. 얼마 되지 않아 묘리를 정밀히 탐구하고 현기(玄機)를 높이 깨달았으며, 깨달음의 길을 걸어 관통하였으면서도 계율을 준수하고 벗어나지 않았다.

22세 때 양주(楊州) 삼각산 장의사(莊義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1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구법유학

찬유의 스승인 심희는 888년부터 송계산(松溪山)에 머물면서 좌선에 몰두하였는데[2], 찬유는 스승을 따라 광주 송계선원(松溪禪院)으로 옮겨갔다. 그곳에서 찬유는 심희에게 구법 유학의 뜻을 밝혔고, 마침내 892년(진성여왕 6) 중국으로 들어가는 상선(商船)을 타고 입당(入唐)하였다.

Quote-left.png 때마침 대사의 스승이 광주(光州) 송계선원(松溪禪院)으로 옮겨가 있었는데, 대사는 멀리 행장을 꾸려 특별히 송계로 찾아가 예족(禮足)의 정성을 표하고 스승의 가르침의 은혜에 감사하였다. 스승이 말하였다.

"흰구름은 천 리 만 리 깔려 있어도 모두가 같은 구름이고, 밝은 달은 앞시내와 뒷시내에 비춰도 일찍이 다른 날이 아니다. 그래서 정신과 정신에 따르고 마음과 마음에 있을 뿐이다."

대사는 '무릇 도에 뜻을 둔 사람에게 어찌 일정한 스승이 있겠는가'하는 생각에, 멀리 유학하여 두루 관람하겠다는 뜻을 아뢰었다. 스승이 이르기를 타인의 마음은 멈출 수 없고 빠른 발은 머무르기 어렵다고들 하는데, 너에게서 그것을 징험한다."라 하고. 웃으면서 떠나는 것을 허락하였다. 대사는 길이 멀다고들 하지만 걸어가면 곧 닿는다는 생각에, 마침내 산을 나와 바닷가로 가서 서쪽으로 바다를 건너갈 기회를 살렸다.

드디어 경복(景福; 唐 昭宗의 연호) 원년(892, 진성왕 6) 봄에 때마침 중국으로 들어가는 상선을 만나 그 배를 타고 서쪽으로 갔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1-42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서주(舒州) 동성현(桐城懸)의 적주산(寂住山)으로 간 찬유는 석두희천(石頭希遷)의 문하인 투자대동(投子大同, 819-914)의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3] 고승과 명승을 찾아 유람한 뒤 921년(경명왕 5)에 강주(康州) 덕안포(德安浦)로 귀국하였다.

Quote-left.png 경복(景福; 唐 昭宗의 연호) 원년(892, 진성왕 6) 봄에 때마침 중국으로 들어가는 상선을 만나 그 배를 타고 서쪽으로 갔다. 그리하여 정처 없이 운수를 바라보고 마음을 맡기며 저녁 노을을 향하여 발길을 내디뎠는데, 참 스님은 반드시 찾아보고 옛 자취는 반드시 답사하였다. 드디어 서주(舒州) 동성현(桐城懸; 지금의 安徽省 桐城) 적주산(寂住山)으로 가서 투자선화상(投子禪和尙)을 예방하였다. 화상은 법호가 대동(大同)으로 석두산(石頭山)의 법손인 취미무학대사(翠微無學大師)의 정통이었다. 대사의 특이한 눈 모습과 남다른 옥호의 상을 보고 말하기를, "불법이 동으로 흘러간다는 말과 서쪽의 학문을 구하려는 자가 있기는 하지만, 함께 도를 말할 만한 사람은 오직 그대뿐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대사는 이리하여 혀 밑에서 미묘한 말을 깨닫고 몸 가운데서 진짜 부처를 체득하였으니, 어찌 부처의 밀전(密傳)을 계승하고 유마(維摩)의 묵대(黙對)를 받드는 것에 그칠 뿐이겠는가 대사가 장차 투자화상을 하직하려 하니, 화상이 일렀다.

"멀리 가지도 말고 가까이 가지도 말라"

"비록 멀거나 가까이 가지 않는다 하더라도, 또한 머물러 있는 것도 아닙니다."

"이미 마음으로 전한 것을 알았는데 눈으로 말할 게 무엇이 있겠는가"

그 후 널리 뛰어난 벗을 찾고 두루 고명한 스승을 예방하여 혹은 천태(天台)에서 숨은 것을 찾고, 혹은 강좌(江左)에서 현묘한 것을 더듬음으로써, 진여(眞如)의 성해(性海)에 들고 들어가서 마니의 보주를 얻었다.

이에 붕새는 반드시 천지에서 변하고 학은 요해에 돌아가기 마련이라고 생각하여, 애초부터 끝까지 돌아갈 것을 잊지 않다가, 때마침 귀국하는 본국의 배를 만나 동쪽으로 노질하여, 정명(貞明;後梁 末帝의 연호) 7년(921, 경명왕 5) 가을 7월 강주 덕안포(德安浦)에 닿았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2-4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활동

찬유는 921년(경명왕 5) 귀국하여 봉림사심희를 찾아갔다. 심희는 찬유에게 삼랑사(三郞寺)에 머물 것을 명하였고, 찬유는 3년 동안 삼랑사에 주석하였다.[4]

Quote-left.png 정명(貞明;後梁 末帝의 연호) 7년(921, 경명왕 5) 가을 7월 강주 덕안포(德安浦)에 닿았다.

곧장 봉림(鳳林)으로 가서 진경대사(眞鏡大師)를 찾아뵈었다. 스승이 말하기를, "오늘에 와서 서로 만나다니 너무도 기쁘다."라고 하였다. 따로 선당(禪堂)을 꾸며 설법하는 자리에 오르게 하고, 서쪽에서 탐방한 진법(眞法)을 듣고 동국으로 돌아온 묘한 인연을 경하한 다음, 조용히 이르기를, "사람은 노소가 있으나 법에는 선후가 없다. 너는 여래의 밀인(密印)을 차고 가섭의 비종(秘宗)을 깨쳤으니, 마땅히 삼랑사(三郞寺)에 머물러 선백(禪伯)이 되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대사는 그 뜻을 받들어 그 곳에 머물렀다.

겨울을 세 번 보낸 뒤에 생각하기를, '이 절은 진실로 도를 즐길 만한 청아한 집이며 선에 안주할 만한 좋은 장소이나, 새도 나무를 가려서 깃드는데 나라고 어찌 무익하게 한 곳에 얽매어 있을 수 있겠는가'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찬유는 삼랑사에 주석하다가, 고려 건국 후 태조의 명에 따라 광주(廣州) 천왕사(天王寺)의 주지가 되었다.[5]

Quote-left.png 삼가 듣자하니, 우리 태조 신성대왕(神聖大王; 고려 태조 王建)이 꿈에 북두성을 품에 안아 천운에 부응하고 순임금처럼 포(褒)자를 손안에 쥐어 왕통을 열므로써, 하(夏)나라를 고쳐 하늘이 돌보는 명을 받고 주(周)나라를 이어 해가 뜨는 나라를 일으켰다고들 하였다. 그래서 마침내 조각달이 허공에 떠가듯 외로운 구름이 산봉우리에 나오듯 마음이 움직였다. 저 창룡(蒼龍)이 물결을 헤쳐 나갈 때는 본디 뗏목에 의지할 마음이 없으나, 단봉(丹鳳)이 허공을 날 때는 오히려 오동나무에도 깃들 뜻이 있는 법이므로, 멀리 명아주 지팡이를 들고 곧장 개성으로 가서 마침내 태조대왕을 배알하였다.

대왕은 대사가 현도(玄道)를 원만히 행하고 법신을 충분히 갖추었다고 하여, 광주(廣州) 천왕사(天王寺)에 머물기를 청하므로 그 곳에 머물렀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이후 찬유는 혜목산(慧目山)으로 이주하였으며, 그 곳에서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여 대선림(大禪林)을 이룩하였다.[6] 이때 태조를 비롯하여 혜종정종은 찬유에게 가사(袈裟)와 법의(法衣)를 하사하는 등 예로써 대우하였다.

Quote-left.png 혜목산은 노을진 뫼가 강연하는 자리에 너무도 적절하고 구름 낀 계곡이 선승의 거처로서는 매우 흡족하기 때문에, 그 곳으로 옮겨 머물렀다. 그러자 먼 사방에서 나루를 묻는 자들이 천 리 길을 반걸음으로 보았으며 구름처럼 몰려오는 자들을 바다처럼 받아들이니, 선의 길로 그리워하며 몰려들고 그윽한 문으로 왕성히 출입하지 않음이 없었다. 태조는 마침 그 무렵 인연을 표시하고자 하납의(霞衲衣)와 좌구(座具)를 보냈다. 얼마 안되어 태조가 기(杞)나라의 하늘이 무너지듯 우천(虞泉)으로 해가 지듯이 붕어하자, 애초의 아름다운 인연을 좋게 생각하여 마지막을 장식하는 저승길을 인도하였다.

혜종대왕(惠宗大王)이 왕위에 올라 공손한 마음으로 조상을 받들고 효성을 펴며, 어진 정사를 일으켜 풍속을 교화하고 부처를 높이고 승려를 존대하여, 대사에게 향기 고운 차와 비단 법의로 선물하였다. 대사는 불심으로 마음을 열어 주고 신통력을 베풀었다. 3년이 지나(945년 9월) 혜종이 승하하고 정종대왕(定宗大王)이 왕통을 이어받아 진풍(眞風)을 존경하여, 운납가사(雲衲袈裟)와 마납법의(磨衲法衣)를 보냈다. 대사는 정종이 불사를 일으킨 것을 매우 기뻐하였는데, 어찌 정종이 갑자기 대궐을 떠나가시고 문득 인간세상을 하직할 줄이야 알았겠는가.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3-4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광종은 찬유를 왕사(王師)로 책봉하고 '증진대사(證眞大師)'라는 호를 내렸다. 또한 광종은 찬유를 개경 사나원(舍那院)에 머무르게 한 뒤 3일 만에 중광전(重光殿)에서 설법하게 하고 국사(國師)로 삼았으며, 은병·은향로·수정염주·법의 등을 내렸다.[7]

Quote-left.png 임금께서는 믿어 향하는 마음이 깊고 공경하여 받드는 뜻이 지극하여, 마침내 대사를 받들어 증진대사(證眞大師)라 호를 내렸다. 이어 도인과 속인의 두 사자를 보내어 조서를 내리고 궁궐로 불렀다. 대사는 '도가 행하여지려고 하는데 이 때를 놓칠 수 없다. 석가모니의 부촉을 생각하여 나는 가야겠다.'하고 마침내 호계를 나와 대궐로 나아갔다. 이리하여 눈썹이 하얀 장로의 깨끗한 무리와 조정 신하의 뭇 영웅들이 법안(法眼)을 바라보느라 함께 모이고 자안(慈顔)을 대하여 에워싸고 우러르면서, 왕성(王城) 사나원(舍那院)으로 보내 주었다. 다음날 임금은 사나원에 거동하여 사례하기를, "제자가 동쪽 숲을 바라보며 목을 늘이고 남쪽 시내를 향하여 마음을 기울였는데, 스님께서는 근기(根機)를 따르기를 골짜기를 스치는 폭풍 소리와 같고 느낌에 부응하기는 못에 비친 달 그림자와 같습니다. 귀의하는 마음 다시 간절하고 배우고 싶은 소원은 더욱 깊습니다."라고 하였다. 3일 후 중광전(重光殿)에서 법연을 열었는데 금란자락을 끌고 자전(紫殿)에 오르니, 임금은 대사의 도톰한 입술을 보고 선에 들어 기뻐하고 둥글고 맑은 눈을 받들기를 정성껏 하였다. 온 세계를 위하여 자리를 피하는 예우를 바치고 온 나라를 위하여 말씀을 띠에다 쓰는 뜻을 베풂으로써, 삼귀(三歸)를 더욱 힘쓰고 십선(十善)을 더욱 닦았다. 그리하여 겨자씨로 채운 성 안이 비워지고 옷자락으로 간 돌이 닳아 없어질 때까지 계속한다면, 반드시 성인을 알현할 좋은 인연이 쉬지 않고 스승을 위하는 아름다운 도가 끝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 자리에서 면복을 내려 국사로 받들어 모시면서 삼가 향화(香火)의 인연을 맺고 정성껏 사자(師資)의 예를 맺었으며, 이어 답납가사(踏衲袈裟)·마납오·좌구(座具)·은병·은향로·금테두리를 한 바리때·수정염주 등을 바쳤다. Quote-right.png
출처: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44-4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찬유는 노쇠함을 이유로 하직하여 운산(雲山)에 머물렀다. 광종은 이를 매우 아쉬워하였으며, 사자를 통해 자주 편지나 송덕시(頌德詩)를 지어 보냈다.

Quote-left.png . 대사가 말씀하시기를, “노승(老僧)은 이제 나이 상유(桑楡)에 임박하고 몸은 포류(蒲柳)처럼 노쇠하였으므로 다만 송문(松門)에 가서 휴족(休足)하면서 궁중인 금궐(金闕)을 향하여 폐하(陛下)에게 귀심(歸心)하기를 원할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임금이 비록 스님의 자안(慈顔)을 연모하나 다만 현지(玄旨)를 준수할 뿐이다. 떠나는 스님이 탄 상헌(象軒)을 바라보면서 전송하였고 안찰(鴈刹)을 우러러 항상 마음을 그곳으로 기울였다. 그 후 자주 성기(星騎)를 보내어 뜻을 전하며 선한(仙翰)을 날려 보내어 정성을 피력하되, 다음과 같은 송덕시(頌德詩)를 지어 보냈다.

혜등(慧燈)을 높이 들어 해향(海鄕)을 비추시었고, 진신(眞身)은 적적(寂寂)하나 화광(和光)을 나타냈도다. 패엽경(貝葉經) 연설하여 중생(衆生)을 제도하시고, 발우속 연꽃 피어 고요히 입정(入定)하셨네. 사자후(師子吼) 일음(一音)으로 무명(無明)을 흩어주시니, 이문(二門)이 상(相)을 떠나 진로(塵勞)에서 벗어났도다. 현관(玄關)은 깊고 깊어 산천(山川) 밖 저넘어 있어, 그곳을 선망하나 친견할 길 전혀 없네. 이 송덕시와 아울러 오정( 烏礻呈 )·방천(芳荈)·단요(丹徼)·명향(名香) 등의 선물을 보내어 신심(信心)을 표하고 간절히 법력(法力)을 빌었다. 대사는 천궐(天闕)에 하직하고 곧 운산(雲山)에 이르렀다. 구름과 칡넝쿨이 얽힌 산림(山林)은 서지(栖遲)하기에 적합하며, 수도하면서 바윗돌로 베개하고 흐르는 물로 양치질하기에 편의(便宜)하여 마음으로 열반할 곳으로 삼으려 하였다. 이로부터 누더기를 입은 납자(衲子)가 바람처럼 찾아오고, 대중공양을 올리기 위하여 오는 이가 구름과 같이 모여들었다. 대사는 색(色)과 공(空)을 모두 초월하여 선정(禪定)과 지혜가 함께 원만하였으며, 지도(至道)를 산중에서 행하고 현공(玄功)을 우내(宇內)에 두루 베풀었으니, 신비하면서 중생을 교화하시니 어찌 불(佛)이나 각자(覺者)와 다르겠는가?

Quote-right.png
출처:


입적

찬유는 958년(광종 9) 혜목산에서 나이 90세, 법랍 69세로 입적하였다.

Quote-left.png 현덕(顯德) 5년 세집(歲集) 돈장(敦牂) 8월 월결(月缺) 5일 대사께서 곧 열반에 들고자 하여 목욕한 다음 방 앞에 대중을 모으라고 명하였다. 대중이 모두 뜰 앞에 모였다. 대사가 유훈(遺訓)하여 가로이르기를, “만법(萬法)은 모두 공(空)한 것, 나는 곧 떠나려 하니 일심(一心)으로 근본을 삼아 너희들은 힘써 정진(精進)하라. 마음이 일어나면 곧 법(法)이 생겨나고 마음이 사라지면 법(法)도 따라서 멸하나니, 인심(仁心)이 곧 부처님이거늘 어찌 별다른 종류가 있겠는가? 여래(如來)의 정계(正戒)를 힘써 보호하라! 유훈(遺訓)의 말씀을 마치고 방으로 들어가서 엄연(儼然)히 가부좌를 맺고 앉아 입적하였으니, 고달원(高達院) 선당(禪堂)이었다. 어희(於戱)라! 동신(東身)에 응(應)한지는 90세이고, 서계(西戒)를 받은지는 69하(夏)이다. 호계(虎溪)는 소리내어 오열하고 학수(鶴樹)의 빛은 우울함이 가득하였다. 문생(門生)들은 앞으로 누구를 의지할 것인가 하여 슬픔에 잠겼으며, 산중의 노스님들은 모두 자신의 노쇠함과 고위(枯萎)함을 탄식하였다. 스님과 청신사(淸信士), 청신녀(淸信女)들이 함께 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면서 통곡하는 소리가 암곡(巖谷)을 진동하였다.

다음날 신좌(神座)를 혜목산(慧目山)으로 옮겨 감실(龕室)을 열고 보니 안색(顔色)이 생전(生前)과 같았다. 터를 고르고 석호(石戶)를 시설하여 유골(遺骨)을 봉폐(封閉)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광종은 시호를 '원종대사(元宗大師)'라 추증하고, 탑호를 '혜진(慧眞)'이라 하였으며, 대사의 진영 1위를 조성하도록 하였다. 사리탑은 혜목산(慧目山) 서북쪽 산기슭에 조성되었다. 흔홍(昕弘) 등 찬유의 제자들이 탑비의 건립을 청하자, 광종김정언에게 명하여 비문을 짓게 하였고, 975년(광종 26) 탑비가 건립되었다.

Quote-left.png 임금께서 부음(訃音)을 들으시고 선월(禪月)이 너무 일찍 빠짐을 개탄하며, 각화(覺花)가 먼저 떨어짐을 슬프다 하시고, 성사(星使)를 보내 곡서(鵠書)로써 조의를 표하고 시호를 원종대사(元宗大師), 탑호를 혜진(慧眞)이라 추증하였다. 그리고 진영1정(眞影 一#)을 조성하고, 국공(國工)으로 하여금 돌을 다듬어 층총(層冢)을 만들어 문인들이 호곡하면서 색신(色身)을 받들어 혜목산(慧目山) 서북쪽 산기슭에 탑을 세웠으니 이는 상법(象法)을 준수한 것이다. 대사는 심등(心燈)이 강렬하며 정수(定水)는 파랑(波浪)이 없고, 지혜는 바다와 같이 원융하며 자비의 구름은 온 세계를 덮었다. 불법을 배우고 선(禪)을 깨달은 덕행과 마군을 항복받고 세속을 진압한 위릉(威稜)과 입송서학(入宋西學)한 혁혁하고 현현(顯顯)한 공적과 귀국동화(歸國東化)한 미묘(微妙)하고 외외(巍巍)한 법력(法力)은 반도(盤桃)로 하여금 윤색(潤色)케 하였으니, 마치 맑은 물이 광명을 발하는 것과 같았다. 그 성스러운 공덕(功德)은 가히 지해(知解)로써 알지 못하며, 그 신비한 덕화(德化)는 가히 지식으로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법신(法身)은 무상(無像)한 것이지만 반드시 상(像)으로 말미암아 공(功)을 나타내며, 도체(道體)는 말이 없는 세계이나 반드시 말을 인(因)하여야 교리(敎理)를 보여줄 수 있으니 어찌 묘유(妙有)를 말미암지 아니하고 진공(眞空)을 체험할 수 있겠는가. 여기 스님의 큰 제자(弟子)인 양가승통(兩街僧統) 삼중대사(三重大師) 흔홍(昕弘) 등이 있으니, 그들은 법원(法苑)에서의 경종(鯨鐘)이며 선문(禪門)의 귀경(龜鏡)이다. 자비의 집에서 널리 중생을 구제하였던 옛 대덕(大德)스님들의 자취를 밟았으며, 법광(法光)의 횃불을 들어 중생의 혼구(昏衢)를 비추어 군생(群生)을 교화하였던 옛 고승들의 남긴 빛을 이어받았다. 한숨을 크게 내쉬면서 탄식하기를, “비록 은밀히 명심경구(銘心警句)를 설하였더라도 만약 위대한 기적(奇跡)을 돌에 새겨두지 않으면 어찌 일진(一眞)의 법(法)을 표하여 그대로 완전하게 남아 있게 할 수 있겠는가!”하였다. 그리하여 대사의 행장을 모아 임금께 주달(奏達)하여 유부(幼婦)의 문사(文辭)를 지어 우리 스님의 덕업(德業)을 비석에 기록할 수 있도록 간청하였다. 임금께서 “가(可)하다.” 하시고, 한림학사(翰林學士)인 신(臣) 김정언(金廷彦)에게 명하기를, “고(故) 국사(國師) 혜목대사(慧目大師)는 덕행은 높아 구름 위에 있고 복덕(福德)은 넓어 모든 인간을 윤택하게 하였으니, 그대는 마땅히 훌륭한 문장(文章)으로 국사의 공훈(功勳)을 적어 비석에 그 무성한 업적을 기록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찬유 A는 B를 위한 비이다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찬유 A는 B 위한 승탑이다
찬유 상주 삼랑사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융제 찬유 A는 B의 스승이다
심희 찬유 A는 B의 스승이다
찬유 여주 고달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찬유 양주 장의사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찬유 광주 송계선원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대동 찬유 A는 B의 스승이다
찬유 창원 봉림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찬유 상주 삼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찬유 광주 천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찬유 고려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찬유 고려 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찬유 고려 정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찬유 고려 광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찬유 왕사 A는 B의 유형이다
찬유 국사 A는 B의 유형이다
찬유 개성 사나원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찬유 흔홍 A는 B의 스승이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69년 찬유 출생.
881년 찬유는 상주 삼랑사(三郞寺) 융제(融諦)에게 출가하였다.
890년 찬유는 삼각산 장의사(莊義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892년 찬유는 당나라로 구법 유학을 떠났다.
921년 찬유는 당나라에서 강주(康州) 덕안포(德安浦)로 귀국하였다.
958년 찬유는 혜목산에서 입적하였다.
975년 찬유의 탑비가 건립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찬유",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김위석, "심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찬유",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김위석, "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찬유",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김위석, "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김위석, "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지관, "여주 고달원 원종대사 혜진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2,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5, 18-55쪽.
  •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 임세권, 이우태,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비",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한국국학진흥원, 2014, 33-5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0: 고려4 비문4",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찬유",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위석, "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찬유", 종교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위석, "심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