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보령 성주사지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12일 (수) 12:00 판 (새 문서: {{승탑비문 Top icon}} {{사찰사지정보 |사진= |대표명칭=보령 성주사지 |영문=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한자=保寧 聖住寺址 |이칭= |지정번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보령 성주사지
(保寧 聖住寺址)
대표명칭 보령 성주사지
한자 保寧 聖住寺址
주소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07호
문화재 지정일 1984년 8월 13일
관리자 보령시
건립시기 백제시대
창건자 낭혜
경내문화재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보령 성주사지 5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석등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절터.[1]


개요

역사

지리

갤러리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28년 홍척이 실상사를 창건했다.
1127~1130년 실상사가 대대적으로 중창되었다.
정유재란기 실상사가 폐허가 되어 이후 약 200년 동안 승려들이 백장암에 기거하였다.
1690년 300여명의 수도승들이 조정에 상소하여 실상사를 다시 중창하였다.
1882년 실상사에 방화가 일어나 사찰 건물들이 불에 타버렸다.
1912년 실상사가 합천 해인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해방이후 실상사가 김제 금산사의 말사가 되었다.
1996~2005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실상사 창건 당시 가람의 규모와 역사적 변천을 확인하기 위해 발굴조사를 시행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남원 실상사 석등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수철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수철 A는 B를 위한 비이다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홍척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홍척 A는 B를 위한 비이다
홍척 남원 실상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수철 남원 실상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남원 실상사 실상산문 A는 B에 포함된다
실상산문 선종 A는 B에 포함된다
홍척 도의 A는 B와 관련있다


참고문헌

주석

  1. "보령성주사지", 조유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2012년 12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