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김정희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4일 (목) 16:15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정희(金正喜)
Joseon mungwan mid.png
대표명칭 김정희
한자표기 金正喜
영문명칭 Kim Jeong-hui
생몰년 1786년-1856년
본관 경주(慶州)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농장인(農丈人),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원춘(元春)
시대 신라
국적 인도
대표저서 예당금석과안록(禮堂金石過眼錄), 진흥이비고(眞興二碑攷),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 시선제가총론(詩選諸家總論), 완당척독(阮堂尺牘), 담연재시고(覃揅齋詩藁), 완당선생집
유형 학자



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이다.

내용

학자의 면모

김정희는 어려서부터 학문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어 일찍이 박제가(朴齊家)의 제자가 되었다. 24세 무렵에는 아버지를 따라 청나라 연경에 체류하면서 옹방강(翁方綱)·완원(阮元) 같은 이름난 유학자와 접하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귀국 후에는 금석학 연구에 몰두하여 북한산순수비(北漢山巡狩碑)를 발견하고 『예당금석과안록(禮堂金石過眼錄)』·「진흥이비고(眞興二碑攷)」와 같은 역사적인 저술을 남기게 되었다. 그리고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후학을 지도하여 조선 금석학파를 성립시켰다. 그 대표적인 학자들로서는 신위(申緯)·조인영(趙寅永)·권돈인·신관호(申觀浩)·조면호(趙冕鎬) 등을 들 수 있다.
경학 쪽은 근본적으로 옹방강의 ‘한송불분론(漢宋不分論)’을 따르면서 경세치용(經世致用)을 주장한 완원의 학설과 방법론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그의 경학관을 요약하여 천명하였다고 할 수 있는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에는 이러한 다양한 배움의 깊이가 잘 드러난다.
다음으로 그의 학문에서 크게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불교학(佛敎學)이다. 용산의 저택 경내에 화엄사(華嚴寺)라는 가족의 원찰(願刹)을 두고 어려서부터 승려들과 교유하면서 불전(佛典)을 섭렵하였다. 그는 당대의 고승들과도 친교를 맺고 있었다. 특히 백파(白坡)와 초의(草衣), 두 대사와의 친분이 깊었다. 그리고 많은 불경을 섭렵하여 고증학적인 안목으로 날카로운 비판을 하기도 하였다. 당시 승려들과의 왕복 서간 및 영정(影幀)의 제사(題辭)와 발문(跋文) 등이 그의 문집에 실려 있다. 말년에 수년간은 과천 봉은사(奉恩寺)에 기거하면서 선지식(善知識: 바른 도리를 가르치는 사람)의 대접을 받았다. 이와 같이 그의 학문은 여러 방면에 걸쳐서 두루 통하였고, 청나라의 이름난 유학자들이 그를 가리켜 ‘해동제일통유(海東第一通儒)’라고 칭찬할 정도였다.

문학, 예술인의 면모

김정희는 예술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어릴 때부터 천재적인 예술성(특히 서도)을 인정받아 20세 전후에 이미 국내외에 이름을 떨쳤으나, 본격적으로 저변을 넓히기 시작한 것은 학문과 마찬가지로 연경에 체류하면서부터이다. 옹방강의 서체를 따라 배우면서 그 연원을 거슬러 올라 서도의 근본을 섭렵하면서 추사체(秋史體)를 만들어냈고 말년에 제주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마침내 완성시켰다. 화풍(畵風)은 대체로 소식으로부터 이어지는 철저한 시·서·화 일치의 문인 취미를 계승하는 것이었다. 그림에서도 서권기(書卷氣)와 문자향(文字香)을 주장하여 기법보다는 심의(心意)를 중시하는 문인화풍(文人畫風)을 매우 존중하였다.
또한 그는 평생 편지를 쓰며 내면 세계를 표출하였는데, 이는 단순히 편지가 아니라 수필, 평론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제주도 귀양살이 중에 부인과 며느리에게 쓴 친필 언간(諺簡, 한글로 된 편지)이 40여통 발견되었는데, 한글 서예 면에서 민족 예술의 뿌리가 되는 고무적인 자료일 뿐 아니라 한문 편지에 비해 국문학적 가치까지 월등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정약용과의 교유

정약용이 강진 유배 시절 머물던 다산초당에 걸린 현판에는 김정희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두 인물이 직접적인 교류를 나누었는지는 전해지지 않으나, 초의선사 의순, 혜장 등 불교계 인사들과의 교류, 차(茶)라는 공통된 관심사 등을 통해 간접적인 교유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약용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김정희는 정약용의 아들 정학연·정학유와 교류를 맺었으며, 정약용의 제자 황상의 시에 크게 감탄하여 직접 강진으로 찾아가기까지 했다고 전해진다.

지식 관계망

  • 김정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정희 초상(전신상) 김정희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김정희 초상(반신상) 김정희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김정희 초상(흑단령본) 김정희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박제가 김정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옹방강 김정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완원 김정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약용 김정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의순 김정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정학연 김정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정학유 김정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다산초당 현판 김정희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김정희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정희 최한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9년-? 김정희가 청나라 연경에 거주하였다
1840년-1848년 김정희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1851년-1853년 김정희가 함경도 북청에 유배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578880 126.746931 다산초당김정희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석기자닷컴, "허련 <완당선생 해천일립상>", 문화재이야기, 『다음 블로그 - 석기자닷컴』online, 작성일: 2015년 02월 09일.
  2. "김정희초상", 열린 자료, 『비바샘』online, 비상교육.
  3. "File:KimJeonghui.jpg", 『Wikimedia Commons』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문서
    • 김일근, "김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9월 6일.
    • "김정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정성희,장선환, "김정희", 네이버캐스트-인물한국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발행일: 2011년 1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