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학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9일 (목) 14:1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설

  • 이황도산십이곡을 지으면서 뒷 부분에 있는 6곡을 일컬어 '언학(言學)'을 위한 것이라고 발문(跋文)에서 강조하였다. 이 때 '학(學)'은 글자가 가리키는 그대로 배움을 뜻하는 바, '언학'은 곧 배움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의미이다. 6곡이 각각 품고 있는 내용을 읽어봄으로써 당시 퇴계 이황이 견지하고 있던 배움에 대한 태도를 유추해볼 수 있다.

원문과 번역문

한글팀 도산십이곡 04 도산십이곡 어부사 후육곡(1).jpg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한글팀 도산십이곡 05 도산십이곡 어부사 후육곡(2).jpg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Pici.png

상기 번역문은 본 사이트 구축 프로젝트의 수행주체인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 개발" 연구팀에서 류인태을(를) 중심으로 하여 자체적으로 진행한 번역이며, 이용자의 제안에 따라 내용 검토 후 수정이 가능합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