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발도

Encyves Wiki
Nur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12일 (일) 09:07 판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아기발도 |한자표기=阿其拔都 |영문명칭= |본관= |이칭=아기바투(兒只拔都),아지발도(阿只抜都) |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아기발도(阿其拔都)
대표명칭 아기발도
한자표기 阿其拔都
생몰년 -1380년
이칭 아기바투(兒只拔都),아지발도(阿只抜都)
사망지 전북 남원
시대 고려 말
국적 일본
유형 장수



정의

1380년 고려말 한반도로 쳐들어온 왜구의 소년 수장이다.[1]

내용

아지발도(阿只抜都)라는 이름은 고려군이 붙인 것으로 정식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아지발도의 명칭을 한국어의 '아기'와 몽골어 '바토르(용맹한 자)'의 한자 음차표기인 '발도'가 합쳐진 것이라고 보는 설이 유력하다.[2]

문헌기록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太祖實錄)등에 아기발도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Quote-left.png 나이 겨우 15, 16세 가량 되어 보이는 한 적장은, 얼굴이 단정하고 고우며 빠르고 날래기가 비할 데 없었다. 백마를 타고 창을 휘두르며 달려와서 충돌하니, 향하는 곳마다 쫓기고 쓰러져 감히 당할 자가 없었다. 우리 군사들이 아기발도(阿只拔都)라고 부르며 다투어 피하였다. 태조가 그 용맹하고 날쌤을 애석하게 여겨 두란에게 생포하라고 명령하였다. 두란이 여쭈어 말하기를, “만일 생포하려면 반드시 사람을 상할 것입니다." 하였다. 그 사람이 얼굴까지 갑옷을 입어서 쏠 만한 틈이 없었다. 태조가 말하기를, “내가 투구의 꼭지를 쏠 터이니, 투구가 떨어지거든 네가 곧 쏘아라." 하고, 드디어 말을 달려나가며 쏘니, 바로 투구 꼭지를 맞히었다. 투구 끈이 끊어져서 기울어지자, 그 자가 급히 바로 썼다. 태조가 곧 쏘아서 또 꼭지를 맞히니, 투구가 드디어 떨어졌다. 두란이 곧 쏘아 죽이니, 그제서야 적의 기운이 꺾였다. Quote-right.png
출처: "고려사절요 제31권 / 신우 2(辛禑二)", 고려사절요,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Quote-left.png 적의 장수 한 사람이 나이 겨우 15, 6세 되었는데, 골격과 용모가 단정하고 고우며 사납고 용맹스러움이 비할 데가 없었다. 흰 말을 타고 창을 마음대로 휘두르면서 달려 부딪치니, 그가 가는 곳마다 쓰러져 흔들려서 감히 대적하는 사람이 없었다. 우리 군사가 그를 아기발도(阿其拔都)라 일컬으면서 다투어 그를 피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태조가 대규모의 병력으로 침입한 왜적을 격퇴하니 한산군 이색 등이 시를 지어 치하하다", 조선왕조실록-태조실록,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이러한 문헌기록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아기발도는 1380년 경 진포대첩, 황산대첩 등의 전투에서 활약한 왜구 측 장수로, 당시 고려군을 지휘하였던 이성계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이후 전의를 잃은 왜구는 고려군에게 대부분이 죽임을 당하였고 지리산(智異山)까지 달아난 왜구는 70명 남짓에 지나지 않았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포대첩 황산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최무선 진포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조 황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아기발도 황산대첩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아기발도 조선 태조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아기발도 최무선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아기발도 고려사절요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아기발도 조선왕조실록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아기바투, 아기발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위키백과 기여자, "아지발도", 『위키백과』online, 작성일: 2017년 9월 22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