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헌종무신진찬의궤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4일 (금) 22:13 판 (정의)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찬의궤
(進饌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의궤(http://kyujanggak.snu.ac.kr/center/main/main.jsp)
대표명칭 진찬의궤
한자표기 進饌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의궤감인청(儀軌監印廳)
의례담당자 서희순(徐憙淳)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848년(헌종 14)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4책 236장 (제1책 41장, 제2책 63장, 제3책 70장, 제4책 62장)
크기 23.8×16.7
도설 58면(제1책)
반차도 7면(제1책)
총 길이: 약 ㎝



정의

1848년(헌종 14) 대왕대비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 1789~1857)의 육순(六旬)을 경축하는 의미로 창덕궁에서 열린 진찬 행사에 대해 기록한의궤이다.

내용

3월 17일 묘시(卯時)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대왕대비전에게 내진찬(內進饌)을 올렸으며 동일 2경 야진찬(夜進饌)을 올렸다. 진찬을 올린 국왕이 주빈(主賓)이 되어 여는 연향인 회작(會酌)과 야연(夜讌)은 2일 뒤인 3월 19일 묘시(卯時)와 2경에 통명전에서 각각 시행되었다. 1849년 의궤보인청(儀軌監印廳)에서 총 3권 4책의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판심에 ‘進饌儀軌+戊申+목차’로 구성된 판심제가 기록되어 있어, 활자본 의궤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반차도는 흑백으로 그려져 있지만, 무신진찬도병에 색상이 표현되어 있다.

목록

제1책: 택일(擇日), 좌목(座目), 도식(圖式)
제2책: 전교(傳敎), 연설(筵說), 악장(樂章), 치사(致詞), 전문(箋文), 의주(儀註), 사목(事目), 계사(啓辭), 계목(啓目), 이문(移文), 내관(來關)
제3책: 품목(稟目), 감결(甘結), 찬품(饌品), 기용(器用), 수리(修理), 배설(排設)
제4책: 의장(儀仗), 의위(儀衛), 내외빈(內外賓), 문안제신(問安諸臣), 공령(工伶), 악기풍물(樂器風物), 상전(賞典), 재용(財用)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4373), (奎 14516), (奎 14943), (奎 14371), (奎 25027), (가람古 642.4-J562m),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874)
일본 궁내청: (306-48)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헌종무신진찬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원행을묘정리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원행을묘정리의궤 일본 궁내청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원행을묘정리의궤 연향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48년 3월 17일 순원왕후의 회갑연이 치러졌다
1849년 『헌종무신진찬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623 126.994616 창경궁 통명전에서 진찬이 치러졌다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