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8일 (일) 18:5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유(慶猷)
BHST Monk1.png
대표명칭 경유
영문명칭 Gyeongyu
한자 慶猷
생몰년 871(경문왕 11)-921(태조 4)
시호 법경(法鏡)
탑호 보조혜광(普照慧光)
성씨 장씨(張氏)
본관 남양(南陽)
승탑비 개성 오룡사 법경대사비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의 승려.

내용

15세에 출가하여 훈종(訓宗)의 제자가 되었고, 통도사(通度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1]

888년(진성여왕 2) 당(唐)에 가서 동산 양개(洞山良价)의 제자인 운거 도응(雲居道膺, ?-902)의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08년(효공왕 11)에 귀국하였다.[2]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864-917),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862-930),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 870-936) 등과 함께 해동사무외(海東四無畏)라는 호칭을 받았으며,[3] 918년 태조의 고려 개국과 함께 왕사(王師)로 책봉되었다. 이는 사료에 보이는 최초의 사례이다.[4]

921년 나이 50세, 법랍 36세로 일월사(日月寺)에서 입적(入寂)하였다.[5] 시호는 법경(法鏡), 탑호는 보조혜광(普照慧光)이며, 944년(혜종 1)경기도 개풍군 오룡사(五龍寺)에 비가 세워졌다.[6]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위석, "경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경유",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경유",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김상현, "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경유",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김위석, "경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경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경유",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