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국대장공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 관계망)
40번째 줄: 40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고려 공민왕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9/E01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4일 (금) 12:56 판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대표명칭 노국대장공주
한자표기 魯國大長公主
생몰년 ?-1365년
이칭 보탑실리(普塔失里),승의공주(承懿公主), 인덕태후(仁德太后)
시호 인덕공명자예선안휘의노국대장공주(仁德恭明慈睿宣安徽懿魯國大長公主)
시대 고려시대
국적 원나라
대표직함 왕비
배우자 고려 공민왕
원나라 위왕



정의

고려 제31대 공민왕의 정비(正妃).

내용

원나라 공주출신으로 위왕(魏王)의 딸이며 이름은 보탑실리(寶塔失里)라고 했다.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는 그 시호(諡號)이다. 공민왕이 대군으로서 원나라에 있을 때 결혼하여 승의공주(承懿公主)로 책봉되었다.[1]

1349년(충정왕 1) 원나라에서 공민왕과 결혼한 후,[2] 원나라의 강력한 후원으로 충정왕을 퇴위시켰고, 왕이 되자 노국대장공주와 함께 귀국했다. 공주는 홍건적(紅巾賊)의 난으로 복주(福州)에 피난하였다가, 1363년(공민왕 12)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에 흥왕사(興王寺)의 변이 일어나 화를 입을 뻔하였으나 침착하게 행동하여 공민왕이 위기를 모면하도록 하였다.[3]

노국대장공주는 1365년(공민왕 14)에 난산(難産)으로 죽었다. 공민왕은 그녀를 매우 사랑하여 그녀가 죽은 후로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았으며, 친히 왕비의 진영(眞影)을 그려 벽에 걸고 밤낮 바라보면서 울었다. 또 그녀의 영(靈)을 위로해 주기 위해 혼제(魂祭)를 지냈으며, 그 진영을 모시기 위해 장려한 영전(影殿)을 지었다.[4] 또한 능을 호화스럽게 꾸며 장사지내고 '정릉(正陵)'이라 명칭하고, 영암사(靈巖寺)를 공주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았다.[5]

지식 관계망

  • 고려 공민왕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려 공민왕 노국대장공주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Son B
노국대장공주 흥왕사의 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노국대장공주 노국대장공주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노국대장공주진 고려 공민왕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김성준, "노국대장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노국대장공주", 『두산백과』online.
  3. 김성준, "노국대장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노국대장공주", 『두산백과』online.
  5. 김성준, "노국대장공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