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현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5번째 줄: 5번째 줄:
 
|한자표기= 顯宗
 
|한자표기= 顯宗
 
|영문명칭=
 
|영문명칭=
|본관=  
+
|본관= 전주 이씨(全州 李氏)
 
|이칭=  
 
|이칭=  
 
|시호=  
 
|시호=  

2017년 9월 28일 (목) 13:01 판

현종(顯宗)
대표명칭 현종
한자표기 顯宗
생몰년 1641년 2월 4일-1674년 8월 18일(음)
재위 1659년 5월 9일-1674년 8월 18일(음)
본관 전주 이씨(全州 李氏)
연(棩)
경직(景直)
출생지 청나라 선양
사망지 창덕궁 재려
시대 조선
대표직함
배우자 명성왕후(明聖王后)
효종(孝宗)
인선왕후(仁宣王后)
자녀 1남 3녀, 명선공주(明善公主), 숙종(肅宗), 명혜공주(明惠公主), 명안공주(明安公主)
전임자 효종(孝宗)
후임자 숙종(肅宗)
능묘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숭릉(崇陵) 37.616043, 127.127244
성격 인물
유형



정의

조선의 제 18대 왕으로, 2차례의 예송논쟁(禮訟論爭)을 겪었다.

내용

생애

효종이 청에 볼모로 잡혀가 있을 때인 1641년 2월 4일 심양(瀋陽)에서 태어났다. 효종창덕궁 인정전에서 왕세손으로 책봉되었고,[1] 효종이 즉위할 때 왕세자로 책봉되었다.[2] 1659년(효종 10) 효종이 죽자 즉위하였다.[3] 현종의 재위기간에는 남명(南明)이 멸망하여 북벌논의가 중단되었다. 남명의 멸망으로 청(淸)이 중국 전토를 지배하여 더 이상 복수를 하는 것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4] 효종은 둘째 아들인 차자(次子)로 종통(宗統)의 문제가 대두되어 효종의 승하로 인한 장렬왕후(莊烈王后)의 복제문제는 왕사동례(王士同禮)를 주장한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의 서인과 왕자례부동사서(王者禮不同士庶)를 주장한 허목(許穆), 윤휴(尹鑴) 등의 남인의 대립이 이어졌다. 서인은 효종을 차자(次子)로 본 반면, 남인은 효종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니 왕실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장자(長子)의 예를 적용하려 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 1차 예송(禮訟)에서는 서인들의 설이 우세하여 허목을 지지하였던 윤선도(尹善道) 등이 삭탈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5] 예송논쟁은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사망한 뒤 장렬왕후의 복제문제를 놓고 다시 시작되었다. 이때에도 서인과 남인은 1차 예송 때와 같은 입장을 채택하여 서인은 ‘기년복(朞年服)’을 주장하였고 남인은 ‘대공복(大功服)’을 주장하였는데, 현종의 장인인 김우명(金佑明)과 척신들이 남인의 손을 들었다. 2차 예송에서는 현종이 남인의 입장을 지지하였다.[6]

사후

경기도 구리시에 현종명성왕후의 능인 '숭릉(崇陵)'이 있는데, 1970년 5월 26일 건원릉(健元陵), 현릉(顯陵), 목릉(穆陵), 휘릉(徽陵), 혜릉(惠陵), 원릉(元陵), 경릉(景陵), 수릉(綏陵)과 함께 사적 제 193호에 '동구릉(東九陵)'으로 지정되었다.[7]

거행 의례

현종왕세손책례도감의궤[8] 현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9]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현종 명성왕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현종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현종 왕세손 책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현종 왕세자 책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현종 즉위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49년 2월 18일 현종왕세손책례를 거행하였다
1649년 5월 13일 현종왕세자책례를 거행하였다
1649년 5월 13일 현종은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공간 내용
창덕궁 인정전 왕세손책봉례을 거행하였다
창덕궁 인정문 왕세자책봉례을 거행하였다
창덕궁 인정문 현종즉위식을 거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仁祖實錄』 27년(1649) 2월 丁未: 「上御仁政殿冊封元孫爲王世孫」
  2. 『孝宗實錄』 즉위년(1645) 5월 辛未: 「大臣禮官三司請嗣位王號泣不聽」
  3. 『顯宗實錄』 즉위년(1659) 5월 己巳: 「昧爽掖庭署先設褥位于殯殿東庭中央設幕次于敦禮門東夾內」
  4.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378-379쪽.
  5.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101~107쪽.
  6.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140~144쪽.
  7. "숭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8. "현종왕세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외규장각 의궤.
  9. "현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외규장각 의궤.
  10. "구리 숭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인조실록』
  • 『효종실록』
  • 『현종실록』
  • 이봉규, 「예송의 철학적 분석에 대한 재검토」, 『大東文化硏究』 31,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6.
  • 이정철,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역사비평사, 2010.
  • 이희환, 「현종대의 기해예송」, 『역사학연구』 29, 호남사학회, 2007.
  • 지두환, 『조선시대정치사』 2, 역사문화, 2013.
  • 최근덕, 「조선조 예송의 배경과 발단에 관한 연구」, 『東洋哲學硏究』 24, 동양철학연구회, 2001.
  • 허태용,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大東文化硏究』 6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아카넷, 2003.

더 읽을거리

  • "현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현종", 콘텐츠 검색,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