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대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생애)
35번째 줄: 35번째 줄:
 
대통(大通)은 816년 지금의 강원도 철원 지방인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에서 출생하였다.  
 
대통(大通)은 816년 지금의 강원도 철원 지방인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에서 출생하였다.  
  
어릴 때부터 학문을 닦아 제자백가(諸子百家)에 통달했으며, 후에 불전(佛典)을 읽고 깨달은 바 있어 승려가 되었다. 845년(문성왕 7) 성린(聖鱗)에게서 비구계(比丘戒)를 받고, 단엄사(丹嚴寺)에서 정진하던 중 사형(師兄)인 자인(慈忍)이 당나라에서 돌아온 일에 자극을 받아 분발하여 직산(樴山)에서 석달 동안 선정(禪定)을 닦았다. 856년(문성왕 18) 사신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징허(澄虛)에게 사사하고, 황매(黃梅)의 심인(心印)을 받아 866년(경문왕 6) 귀국, 충북 제천군의 월광사(月光寺) 주지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574&cid=40942&categoryId=33375 대통]", 『두산백과』. 2017년 2월 1일 확인.</ref>
+
어릴 때부터 학문을 닦아 제자백가(諸子百家)에 통달했으며, 후에 불전(佛典)을 읽고 깨달은 바 있어 승려가 되었다. 845년(문성왕 7) [[성린|성린(聖鱗)]]에게서 비구계(比丘戒)를 받고, 단엄사(丹嚴寺)에서 정진하던 중 사형(師兄)인 [[자인|자인(慈忍)]]이 당나라에서 돌아온 일에 자극을 받아 분발하여 [[직산|직산(樴山)]]에서 석달 동안 선정(禪定)을 닦았다. 856년(문성왕 18) 사신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혜적|징허(澄虛)]]에게 사사하고, 황매(黃梅)의 심인(心印)을 받아 866년(경문왕 6) 귀국, 충북 제천군의 월광사(月光寺) 주지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574&cid=40942&categoryId=33375 대통]", 『두산백과』. 2017년 2월 1일 확인.</ref>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강혜원/Cheji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강혜원/Cheji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2월 1일 (수) 20:26 판


대통(大通)()
BHST Monk1.png
대표명칭 대통(大通)
영문명칭 Daetong
생몰년 816(헌덕왕 8)-883(헌강왕 9)
시호 원랑선사(圓朗禪師)
대통(大通)
탑호 대보선광(大寶禪光)
태융(太融)
성씨 박씨(朴氏)
출신지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 (현재의 강원도 철원)
승탑비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대통(大通)은 816년 지금의 강원도 철원 지방인 통화부(通化府) 중정리(仲停里)에서 출생하였다.

어릴 때부터 학문을 닦아 제자백가(諸子百家)에 통달했으며, 후에 불전(佛典)을 읽고 깨달은 바 있어 승려가 되었다. 845년(문성왕 7) 성린(聖鱗)에게서 비구계(比丘戒)를 받고, 단엄사(丹嚴寺)에서 정진하던 중 사형(師兄)인 자인(慈忍)이 당나라에서 돌아온 일에 자극을 받아 분발하여 직산(樴山)에서 석달 동안 선정(禪定)을 닦았다. 856년(문성왕 18) 사신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징허(澄虛)에게 사사하고, 황매(黃梅)의 심인(心印)을 받아 866년(경문왕 6) 귀국, 충북 제천군의 월광사(月光寺) 주지가 되었다.[1]

관련항목

node relation node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는 -를 위한 비이다 대통(大通)
대통(大通) 는 -로부터 수학했다 무염(無染)
대통(大通) 는 -로부터 수학했다 징허대사(澄虛大師)
진윤(眞胤) 는 -로부터 수학했다 대통(大通)
자인(慈忍) 는 -의 사형(師兄)이다 대통(大通)
대통(大通) 는 -의 주지이다 월광사(月光寺)
대통(大通) 는 -에서 수학했다 단엄사(丹嚴寺)
대통(大通) 는 -에서 수학했다 직산(樴山)
대통(大通) 는 -와 관련있다 위앙종(潙仰宗)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는 -가 비문을 지었다 김영(金穎)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는 -가 비문을 썼다 순몽(淳蒙)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는 -가 비문을 새겼다 진윤(眞胤)

참고문헌

각주

  1. "대통", 『두산백과』. 2017년 2월 1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