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포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건정보 |사건 =ㅇㄹㅇㄹ |시대 = |성격 = |날짜 = |관련장소 = |관련인물·단체 = |image = }} <이름 표기="대표">진포 대첩(鎭浦大捷)</이름...)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정보
 
{{사건정보
|사건 =ㅇㄹㅇㄹ
+
|대표명칭 = ㅇㅇㅇ
 +
|이칭별칭 =
 
|시대 =  
 
|시대 =  
 
|성격 =  
 
|성격 =  

2016년 11월 2일 (수) 10:28 판

ㅇㅇㅇ()
[[file:|270px|thumb|center|]]
대표명칭 ㅇㅇㅇ



<이름 표기="대표">진포 대첩(鎭浦大捷)</이름> <이름 표기="한글">진포 대첩</이름> <이름 표기="한자">鎭浦大捷</이름> </표제> <범주> <프로젝트>민족기록화</프로젝트> <클래스>사건</클래스> <기여 역할="작성">김지선</기여> </범주> <속성 틀="사건정보"> <시대>고려</시대> <날짜>우왕 8년 1380년 8월</날짜> <장소><지명 id="지명-진포">진포</지명></장소> <교전국>고려 對 일본 왜구</교전국> <지휘관> <인명 id="인물-최무선">최무선</인명> <인명 id="인물-심덕부">심덕부</인명> <인명 id="인물-나세">나세</인명> </지휘관> <병력>군함 약 100척 對 군함 약 500척</병력> <결과>고려 수군의 승리</결과> </속성> <개설> <문단><사건>진포 대첩</사건>은, 고려 말기인 <인명>우왕</인명> 6년(1380년)에 <인명 id="인물-나세">나세</인명>, <인명 id="인물-심덕부">심덕부</인명>, <인명 id="인물-최무선">최무선</인명> 등이 지휘하는 고려 수군이 한국의 <지명>충청남도</지명>와 <지명>전라북도</지명> 사이 <지명>금강</지명> 하구인 <지명 id="지명-진포">진포</지명>에 상륙한 왜구의 전함을 함포 공격으로 불사르고 왜구의 후방 퇴각로를 끊은 전투이다.</문단> </개설> <배경> <문단>1350년부터 왜구는 고려를 본격적으로 침입하기 시작하여 <인명>우왕</인명> 때에는 왜구의 침입이 절정을 이루었다. 왜구가 이같이 창궐한 것은 1333~1392년에 <지명>일본</지명>의 왕조가 남북으로 갈라져 전란이 지속됨에 따라 민간의 생활이 피폐해진데다가 중앙 권력이 지방을 통제할 수 없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왜구는 해안 지역은 물론이고 내륙 깊숙이 침입하여 고려의 백성들을 약탈하고 수도인 <지명>개성</지명>까지 침입하여 왕조의 근간을 흔들었다.</문단> <문단>고려 조정에서는 해상에서의 보딩(Boarding) 전술과 창칼을 잡고 휘두르는 단병접전에 뛰어난 왜구의 공격에 맞서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왜구에 맞서기 위해 고려 조정은 수군력을 복구하는데 힘을 기울였고, <인명>우왕</인명> 3년(1377년) <인명 id="인물-최무선">최무선</인명>의 건의로 <개념 id="개념-화통도감">화통도감(火㷁都監)</개념> 을 설치하고 화약과 각종 대포 및 이를 실을 수 있는 전함 개량에 나섰다. <인명 id="인물-최무선">최무선</인명>의 <개념 id="개념-화포">화포</개념> 개발은 고려가 왜구에 맞서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할 수 있게 해준 전환점이었다.</문단> </배경> <경과> <문단>1380년 8월 왜구들은 500여 척의 대선단을 이끌고 오늘날의 <지명>금강</지명> 어구에 해당하는 <지명 id="공간-진포">진포</지명>에 침입하였다. 왜구는 약탈한 곡식들을 함선에 적재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큰 밧줄로 배들을 서로 잡아매고, 인근 주, 군 고을로 흩어져 들어가 곳곳에 불을 지르고 약탈을 벌였다. <서명 id="기록물-고려사">《고려사》</서명> 및 <서명>《고려사절요》</서명>는 이때의 모습에 대해 "시체가 산과 들에 덮였고 배로 옮기다 땅에 떨어진 쌀만 한 자나 되었다." 라고 기록하고 있다.</문단> <문단>이에 조정에서는 <인명 id="인물-나세">나세</인명>를 상원수로, <인명 id="인물-심덕부">심덕부</인명>, <인명 id="인물-최무선">최무선</인명>을 부원수로 임명하여 <지명 id="지명-진포">진포</지명>로 파견하여 화약 무기를 적재한 신형 함선 100척을 거느리고 왜구를 진압하게 하였다.</문단> <문단>고려 함선들은 <지명 id="공간-진포">진포</지명>에 이르러 밧줄로 서로 묶여있는 적함을 향해 일제히 <개념 id="개념-화포">화포</개념>와 <개념 id="개념-화전">화전</개념>, <개념>화통</개념>을 사용해 집중 사격을 퍼부었다. 화공을 통해 고려 함대는 적선 500척을 모조리 파괴·소각시키고 왜구들에게 붙잡혀 있던 330명의 고려 백성을 구출하였다.</문단> </경과> <결과> <문단><사건>진포 대첩</사건>으로 인해 해안에 정박하여 있다가 <개념 id="개념-화포">화포</개념>로 모든 배를 잃은 왜구들은 사실상 퇴로를 차단당하였다. 그들은 <지명>상주</지명>, <지명>영동</지명>, <지명>옥주</지명> 등지로 달아나면서 약탈을 자행하였다.</문단> <문단>이에 고려 정부는 <인명>이성계</인명>를 <지명 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413">양광도</지명>·<지명>전라도</지명>·<지명>경상도</지명> 삼도 순찰사로 임명하고, 왜구 토벌 명령을 내려, <지명>남원</지명> <지명>운봉</지명>에서 왜구들을 소탕하였다. 이것이 <사건>황산 대첩</사건>이다. 이 전투에서 왜구는 단지 70여 명 만이 살아남아 <지명>지리산</지명>으로 도망하였으나 곧 토벌되었다. <지명 id="공간-진포">진포</지명>에 침입할 때 왜구의 수가 10,000명이 넘었는데, <사건 id="진포대첩">진포 대첩</사건>과 <사건>황산 대첩</사건>에 의해 전멸되었던 것이다.</문단> </결과> <의의평가> <문단><사건>진포 대첩</사건>은 세계 해전사에서 처음으로 <개념 id="개념-화포">화포</개념>를 사용한 전투로, 왜구의 침입을 막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사건>진포 대첩</사건>으로 <인명>이성계</인명>의 <사건 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178">황산 대첩</사건>이 가능하였고, 그는 고려를 구한 영웅으로 추앙받아 새 왕조를 개창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사건>진포 대첩</사건>이 조선 왕조 개창에 일조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문단> <문단><사건>진포 대첩</사건>의 전술은 조선 수군의 전술 모델이 되었다. 200년 이후에 일어난 <사건>임진왜란</사건>때 <인명>이순신</인명> 장군 역시 같은 전술을 사용할 정도로 선진적 전술이었던 것이다.</문단> <온라인참조 url="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D%8F%AC_%ED%95%B4%EC%A0%84">(출처: '진포 해전', 위키피디아)</온라인참조> <온라인참조 url="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출처: '진포 대첩',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온라인참조> </의의평가> <시각> <삽도 url="진포해전.jpg">북한 개성 고려박물관 "진포해전"</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