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1370년 1월에 [[ | + | 1370년 1월에 [[조선 태조]] 지휘하의 [[고려]]군이 [[고구려]]의 도읍지였던 [[동녕부]] [[오녀산성|우라산성(于羅山城)]]을 함락시키는 장면을 담은 [[김태]] 화백의 민족기록화.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탄 흰색 갑옷의 장군이 [[ | + |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탄 흰색 갑옷의 장군이 [[조선 태조]]이고, 오른편에 초록색 옷을 입은 사람이 동녕부 동지(東寧府同知) [[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로 추정된다.<br/> |
태조실록에 따르면, 해당 작품은 아래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다. | 태조실록에 따르면, 해당 작품은 아래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다. | ||
{{Blockquote| ...[[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태조가 온다는 말을 듣고서 [[오녀산성|우라산성(亐羅山城)]]으로 옮겨 보전하여 험준한 곳에 웅거해 막으려고 하였는데, 태조가 야돈촌(也頓村)에 이르자, [[이오로첩목아]]가 와서 도전(挑戰)하다가 잠시 후에 갑옷을 버리고 재배(再拜)하며 말하기를, "나의 선조(先祖)는 본래 고려 사람입니다. 신복(臣僕)이 되기를 원합니다." 하고는, 3백여 호(戶)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 | {{Blockquote| ...[[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태조가 온다는 말을 듣고서 [[오녀산성|우라산성(亐羅山城)]]으로 옮겨 보전하여 험준한 곳에 웅거해 막으려고 하였는데, 태조가 야돈촌(也頓村)에 이르자, [[이오로첩목아]]가 와서 도전(挑戰)하다가 잠시 후에 갑옷을 버리고 재배(再拜)하며 말하기를, "나의 선조(先祖)는 본래 고려 사람입니다. 신복(臣僕)이 되기를 원합니다." 하고는, 3백여 호(戶)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imagemap> | <imagemap> |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김태 「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975|800px|center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김태 「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975|800px|center | ||
− | rect 226 96 270 225 [[ | + | rect 226 96 270 225 [[조선 태조]] |
rect 517 142 564 292 [[이오로첩목아]] | rect 517 142 564 292 [[이오로첩목아]] | ||
poly 535 95 604 89 604 75 626 68 654 74 657 84 715 68 715 58 751 44 755 13 697 1 792 6 791 116 761 106 733 79 720 121 694 121 689 108 681 130 622 138 580 133 550 124 543 118 541 115 [[오녀산성]] | poly 535 95 604 89 604 75 626 68 654 74 657 84 715 68 715 58 751 44 755 13 697 1 792 6 791 116 761 106 733 79 720 121 694 121 689 108 681 130 622 138 580 133 550 124 543 118 541 115 [[오녀산성]]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김태]]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김태]]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 | |- | ||
− | |{{PAGENAME}} ||[[ | + | |{{PAGENAME}} ||[[조선 태조]]||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 | ||
|{{PAGENAME}} ||[[동녕부정벌]]||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PAGENAME}} ||[[동녕부정벌]]||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국회사무처]]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
|- | |- | ||
− | |[[ | + | |[[조선 태조]] || [[동녕부정벌]]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 | |- | ||
− | |[[ | + | |[[조선 태조]] || [[오녀산성]] || A는 B를 공격하였다 || 1370년 1월 |
|- | |- | ||
− | |[[ | + | |[[조선 태조]] || [[공민왕]] || A는 B의 신하이다 || |
|- | |- | ||
− | |[[ | + | |[[조선 태조]] || [[이오로첩목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1370년 1월 |
|- | |- | ||
|[[오녀산성]] || [[동녕부]] || A는 B에 있었다 || | |[[오녀산성]] || [[동녕부]] || A는 B에 있었다 || | ||
83번째 줄: | 83번째 줄: |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 |- | ||
− | |1370년 1월 || [[ | + | |1370년 1월 || [[조선 태조]]가 [[오녀산성]]을 공격하였다. |
|- | |- | ||
− | |1370년 1월 || [[ | + | |1370년 1월 || [[조선 태조]]와 [[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대립하였다. |
|} | |} | ||
2017년 7월 6일 (목) 17:34 판
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 |
작가 | 김태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1370년 1월에 조선 태조 지휘하의 고려군이 고구려의 도읍지였던 동녕부 우라산성(于羅山城)을 함락시키는 장면을 담은 김태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탄 흰색 갑옷의 장군이 조선 태조이고, 오른편에 초록색 옷을 입은 사람이 동녕부 동지(東寧府同知)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로 추정된다.
태조실록에 따르면, 해당 작품은 아래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다.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태조가 온다는 말을 듣고서 우라산성(亐羅山城)으로 옮겨 보전하여 험준한 곳에 웅거해 막으려고 하였는데, 태조가 야돈촌(也頓村)에 이르자, 이오로첩목아가 와서 도전(挑戰)하다가 잠시 후에 갑옷을 버리고 재배(再拜)하며 말하기를, "나의 선조(先祖)는 본래 고려 사람입니다. 신복(臣僕)이 되기를 원합니다." 하고는, 3백여 호(戶)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 | ||
출처: "태조실록 1권, 총서 47번째기사", |
해당 작품은 위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오녀산성은 오녀산의 북쪽과 동쪽에 연결되어 있는 높고 낮은 여러 산봉우리 가운데서 가장 높고 험한 800m의 산마루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축조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작품의 오른편에 그려진 오녀산성과 작품 뒤쪽에 배치된 높고 낮은 산봉우리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해당 작품은 승자와 패자의 극명한 대립, 즉 대각선으로 나뉘는 화면 상단과 하단이라는 위치선정, 아래를 내려다보고 위를 올려다보는 시선의 대립, 기세등등한 포즈와 무릎을 꿇은 굴욕적인 포즈의 대립, 완전한 정면상은 아닐지라도 정면을 보여주고 있는 아군과 등을 보이고 있는 적군이라는 전통적인, 또는 도식화된 이분법을 그대로 따름으로써 승리라는 메시지를 일차원적으로 전달할 따름이다.[1]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태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조선 태조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동녕부정벌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이오로첩목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오녀산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전쟁기념관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국회사무처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조선 태조 | 동녕부정벌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조선 태조 | 오녀산성 | A는 B를 공격하였다 | 1370년 1월 |
조선 태조 | 공민왕 | A는 B의 신하이다 | |
조선 태조 | 이오로첩목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1370년 1월 |
오녀산성 | 동녕부 | A는 B에 있었다 | |
동녕부 | 쌍성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동녕부 | 탐라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이오로첩목아 | 오녀산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태가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를 대여하였다. |
1370년 1월 | 조선 태조가 오녀산성을 공격하였다. |
1370년 1월 | 조선 태조와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대립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32103 | 126.914133 | 국회사무처가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을 대여하였다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