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항섭-한국기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5번째 줄: 15번째 줄:
  
 
대우중공업(大宇重工業,영어: Daewoo Heavy Industries)은 1937년 6월 4일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를 모태로 1976년 대우에 인수된 중공업체로 정부 주도의 중화학공업 중심 경제성장정책에 발맞춰 급속도로 성장, 1990년대 세계적인 규모의 종합 중공업체로 발돋움하였으며, 당시 중장비는 물론 자동차, 항공, 조선, 철도 차량 등에 이르는 각종 운송수단과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에 이르는 각종 승강기를 생산하였던 업체이다.
 
대우중공업(大宇重工業,영어: Daewoo Heavy Industries)은 1937년 6월 4일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를 모태로 1976년 대우에 인수된 중공업체로 정부 주도의 중화학공업 중심 경제성장정책에 발맞춰 급속도로 성장, 1990년대 세계적인 규모의 종합 중공업체로 발돋움하였으며, 당시 중장비는 물론 자동차, 항공, 조선, 철도 차량 등에 이르는 각종 운송수단과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에 이르는 각종 승강기를 생산하였던 업체이다.
 +
<ref>"[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9A%B0%EC%A4%91%EA%B3%B5%EC%97%8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ref>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
 +
1937년에 설립된, 내연기관·철도차량, 각종 중기 및 특장차 등을 비롯, 중공업제품이나 공장설비 등을 주로 제조, 판매하였던 기업체.
 +
[연원 및 변천]
 +
이 회사는 설립 당시 조선기계제작소로 출발하여 1963년 5월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국영기업체)로 되었다.
 +
1968년 9월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가 경영에 참여하고, 1973년 6월 부곡철도차량공장을 인수하였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주식회사가 경영에 참여하였고
 +
 +
 +
 +
 +
 +
한편 신진자동차공업(주)의 김창원 씨는 코로나를 조립
 +
하여 판매하면서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다. 1962년 부산 서
 +
면의 중견 버스조립업자(자본금 2,000만 원)로부터 1972년
 +
에 자본금 200억 원의 신진자동차공업(주)로 변신하였으니
 +
그 성장속도는 가히 눈부시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런 신진자
 +
동차에 대해 정부는 부실공기업인 한국기계(주)를 인수시
 +
켰다. 한국기계는 조선기계제작소를 5·16 이후 해군이 위
 +
탁관리하다가 개편하여 공기업으로 한 우리나라 유일의
 +
종합기계회사였다. 1968년 신진자동차공업(주)가 경영에
 +
참여하면서 민영화되었으나 경영을 합리화하기 위해 부실
 +
의 부곡차량을 인수했고, 인천공장에 양산제품인 상용차
 +
용 디젤엔진공장을 세웠으나(1975. 5. 20. 준공) 투자만 막
 +
대하였고 수입은 왜소하여 1974년 말 현재 부채비율이
 +
21,000%라는 최악의 부실기업으로 변하고 말았다. 1975년
 +
7월 정부는 산업은행의 전면관리를 실시하면서 재무구조
 +
를 개선하고 조속한 매각으로 한국기계의 정상화를 모색
 +
했다.
 +
정부 측에서는 한국 제일의 재벌인 삼성 측에 한국기계
 +
의 인수를 종용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드디어 대우가
 +
인수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김우중 회장의 결단이었다. 그
 +
러나 삼성의 인수를 바라고 있던 한국기계의 기술진들은
 +
기계공업에 일천한 대우기계가 한국기계의 새 경영자로
 +
등장한다고 하니 실망하여 대부분 퇴직하고 말았다. 1975
 +
년 말부터 시작된 인수작업은 1976년 2월 26일 정기주주총
 +
회를 거쳐 완전히 대우로 이관되었고 김우중 회장이 대표
 +
이사로 취임했다. 김우중 회장의 특기는 현장파악을 최우
 +
선 과제로 삼는 것이었다. 그는 공장 현장에서 침식을 하면
 +
서 한국기계를 살리는 일에 몰두하였고 한국기계의 장래
 +
는 디젤엔진 생산보다는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
  
 
=='''설명'''==
 
=='''설명'''==

2017년 4월 19일 (수) 17:54 판


한국기계
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작가 박항섭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개요

한국기계공업은 1973년 설립된 한국최대의 종합기계공업체로서 산업기계 그리고 중화학 공업의 모체가 되는 각종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있다.[1]

대우중공업(大宇重工業,영어: Daewoo Heavy Industries)은 1937년 6월 4일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를 모태로 1976년 대우에 인수된 중공업체로 정부 주도의 중화학공업 중심 경제성장정책에 발맞춰 급속도로 성장, 1990년대 세계적인 규모의 종합 중공업체로 발돋움하였으며, 당시 중장비는 물론 자동차, 항공, 조선, 철도 차량 등에 이르는 각종 운송수단과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에 이르는 각종 승강기를 생산하였던 업체이다. [2]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 1937년에 설립된, 내연기관·철도차량, 각종 중기 및 특장차 등을 비롯, 중공업제품이나 공장설비 등을 주로 제조, 판매하였던 기업체. [연원 및 변천] 이 회사는 설립 당시 조선기계제작소로 출발하여 1963년 5월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국영기업체)로 되었다. 1968년 9월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가 경영에 참여하고, 1973년 6월 부곡철도차량공장을 인수하였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주식회사가 경영에 참여하였고



한편 신진자동차공업(주)의 김창원 씨는 코로나를 조립 하여 판매하면서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다. 1962년 부산 서 면의 중견 버스조립업자(자본금 2,000만 원)로부터 1972년 에 자본금 200억 원의 신진자동차공업(주)로 변신하였으니 그 성장속도는 가히 눈부시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런 신진자 동차에 대해 정부는 부실공기업인 한국기계(주)를 인수시 켰다. 한국기계는 조선기계제작소를 5·16 이후 해군이 위 탁관리하다가 개편하여 공기업으로 한 우리나라 유일의 종합기계회사였다. 1968년 신진자동차공업(주)가 경영에 참여하면서 민영화되었으나 경영을 합리화하기 위해 부실 의 부곡차량을 인수했고, 인천공장에 양산제품인 상용차 용 디젤엔진공장을 세웠으나(1975. 5. 20. 준공) 투자만 막 대하였고 수입은 왜소하여 1974년 말 현재 부채비율이 21,000%라는 최악의 부실기업으로 변하고 말았다. 1975년 7월 정부는 산업은행의 전면관리를 실시하면서 재무구조 를 개선하고 조속한 매각으로 한국기계의 정상화를 모색 했다. 정부 측에서는 한국 제일의 재벌인 삼성 측에 한국기계 의 인수를 종용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드디어 대우가 인수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김우중 회장의 결단이었다. 그 러나 삼성의 인수를 바라고 있던 한국기계의 기술진들은 기계공업에 일천한 대우기계가 한국기계의 새 경영자로 등장한다고 하니 실망하여 대부분 퇴직하고 말았다. 1975 년 말부터 시작된 인수작업은 1976년 2월 26일 정기주주총 회를 거쳐 완전히 대우로 이관되었고 김우중 회장이 대표 이사로 취임했다. 김우중 회장의 특기는 현장파악을 최우 선 과제로 삼는 것이었다. 그는 공장 현장에서 침식을 하면 서 한국기계를 살리는 일에 몰두하였고 한국기계의 장래 는 디젤엔진 생산보다는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설명

작품 소재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소양강댐소양호박항섭 「한국기계」 1973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항섭 박항섭-한국기계 A는 B를 그렸다 1973년
박항섭-한국기계 소양강댐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박항섭-한국기계 소양호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박항섭-한국기계 소양강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어린이회관 박항섭-한국기계 A는 B를 대여하였다 1979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박항섭이 박항섭-한국기계을 그렸다
1967년 4월 15일-1973년 10월 15일 현대건설소양강댐을 건설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975795 127.819478 박항섭-한국기계은 소양강댐을 소재로 한다 @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11쪽.
  2. "대우중공업", 『위키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
  3. "'특등급' 소양강댐 내진설계기준 청평댐보다 낮아", 『연합뉴스』, 작성일: 2011년 03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