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은진송씨 동춘당가|은진송씨(恩津宋氏)]]가의 음식조리서로 [[송영로|송영로(宋永老, 1803~1881)]]의 부인 [[송영로 처 연안 이씨|연안 이씨(延安 李氏)]]가 처음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음식 조리법을 비롯하여 가정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술 만드는 법·약탕·찜·죽·면·전·김치·장류 등 다양한 조리법이 담겨 있다. 음식 재료를 다루거나 기본적인 조리 방식 등도 다양하게 수록했는데, 물고기 씻는 법, 생선 굽는 법, 게를 오래 보관하는 법, 상한 고기 삶는 법, 고기 삶는 법, 고기 굽는 법 등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이외에도 옷감에 물들이는 법, 산후번열증, 산모 수유법 등 여성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도 담겨 있다.
+
[[송영로|송영로(宋永老, 1803~1881)]]의 부인 [[송영로 처 연안 이씨|연안 이씨(延安 李氏)]]가 처음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음식 조리법을 비롯하여 가정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술 만드는 법·약탕·찜·죽·면·전·김치·장류 등 다양한 조리법이 담겨 있다. 음식 재료를 다루거나 기본적인 조리 방식 등도 다양하게 수록했는데, 물고기 씻는 법, 생선 굽는 법, 게를 오래 보관하는 법, 상한 고기 삶는 법, 고기 삶는 법, 고기 굽는 법 등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이외에도 옷감에 물들이는 법, 산후번열증, 산모 수유법 등 여성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도 담겨 있다.
 
이 책은 [[김창업|김창업(金昌業, 1658~1721)]]가에 전해오는 『[[주식방문]]』과 함께 회덕을 중심으로 한 [[대전]]지역의 전통 음식문화를 엿볼 수 있는 희귀한 자료이다. 찬품 내용에는 ‘[[승기아탕]]’ 등 궁중 음식문화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남아 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32쪽.</REF>
 
이 책은 [[김창업|김창업(金昌業, 1658~1721)]]가에 전해오는 『[[주식방문]]』과 함께 회덕을 중심으로 한 [[대전]]지역의 전통 음식문화를 엿볼 수 있는 희귀한 자료이다. 찬품 내용에는 ‘[[승기아탕]]’ 등 궁중 음식문화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남아 있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32쪽.</REF>
  

2017년 12월 9일 (토) 23:37 판

주식시의
한글팀 주식시의01 주식시의01.jpg
한자명칭 酒食是儀
영문명칭 A cookbook written by the Song family of Eunjin
작자 연안이씨(추정)
간행시기 19세기 후반
기탁처 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소장처 대전역사박물관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4.0×16.3㎝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정의

은진송씨가의 가전 조리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송영로(宋永老, 1803~1881)의 부인 연안 이씨(延安 李氏)가 처음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음식 조리법을 비롯하여 가정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술 만드는 법·약탕·찜·죽·면·전·김치·장류 등 다양한 조리법이 담겨 있다. 음식 재료를 다루거나 기본적인 조리 방식 등도 다양하게 수록했는데, 물고기 씻는 법, 생선 굽는 법, 게를 오래 보관하는 법, 상한 고기 삶는 법, 고기 삶는 법, 고기 굽는 법 등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이외에도 옷감에 물들이는 법, 산후번열증, 산모 수유법 등 여성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도 담겨 있다. 이 책은 김창업(金昌業, 1658~1721)가에 전해오는 『주식방문』과 함께 회덕을 중심으로 한 대전지역의 전통 음식문화를 엿볼 수 있는 희귀한 자료이다. 찬품 내용에는 ‘승기아탕’ 등 궁중 음식문화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남아 있다. [1]

은진송씨 가문과 주식시의

주식시의』는 대전을 기반으로 한 은진송씨 가문의 책으로 충청도지역의 음식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동춘당 송준길의 후손인 송영로의 처가 처음 기록하기 시작하여 여러대에 걸쳐 기록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현응의 딸인 송영로의 처가 시댁의 음식을 익혀가며 하나씩 기록한 후 후손들이 내용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책에 남겨진 필체와 서술방식으로 보아 적어도 세 사람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또 왕비를 배출한 사대부가와 궁중음식과의 교류를 살펴볼 수 있다. 조선 후기 왕비들이 대부분 송준길의 외손이라 할 정도로 은진송씨 가문은 왕실과 관련이 깊다. 숙종의 부인 인현왕후 민씨가 송준길의 외손녀이고, 고종의 부인 명성황후 민씨와 순종의 부인 순명효황후 민씨도 이 집의 후손이다.[2] 때문에 『주식시의』에 기록된 음식 중 궁중 의궤에 기록된 음식과 10여 가지가 중복된다. 약과나 만두 종류의 모양이 다양하게 소개되었는데 이 또한 궁중의 음식과 모양새가 비슷하다. 이를 볼 때 은진송씨 가문은 궁중과 음식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

주식시의의 내용과 특징

'주식시의(酒食是儀)'란 '먹고 마시는 것의 바른 의례'란 의미이다. 『주식시의』는 필사자, 필사시기, 필사동기 등이 적혀있지 않고 서문도 별도로 없다. 표지의 제목만 제시되어 있고, 곧바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4]주식시의』에는 다른 음식 조리서 등에 실려 있지 않는 것도 많지만 다른 문헌에 올라와 있는 항목도 많다. 특히 뒷부분이 『규합총서』의 내용과 그 순서가 매우 흡사하다. 『주식시의』에는 전체 99가지의 방법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 ‘감향쥬법’과 ‘삼합미음’, ‘열구ᄌᆞ탕’은 중복되어 올라 있으므로 실제 소개된 방문은 96가지에 해당된다. 그리고 이 중에는 조리법이라고 보기에 어려운 ‘타ᄉᆡᆨ 드리는 법, 아기 ᄇᆡ고 탈 잇시면 약 시난 법, 산모 졋ᄂᆡ난 법' 등과 같이 여성의 일상생활과 관련한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주식류(밥, 죽, 국수, 만두 등) 14가지, 부식류(탕, 찌개, 볶음, 젓갈 , 김치, 전 등) 40가지, 떡 및 과정류 13가지, 음청류(음료, 술) 11가지, 장류 4가지, 재료 다루는 법 14가지, 일상생활과 관련된 것 3가지가 소개되어 있다.[5]


연계 자원 보러 가기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지식 관계망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식시의 송영로 처 연안 이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송영로 처 연안 이씨 이현응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송영로 처 연안 이씨 송영로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송준길 송영로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송준길 인현왕후 민씨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송준길 명성황후 민씨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송준길 순명효황후 민씨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규합총서 주식시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식시의 승기아탕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주식시의 은진송씨 동춘당가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주식시의 대전역사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세기 송영로 처 연안 이씨주식시의를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364966 127.439241 은진송씨 동춘당가주식시의를 소장하였다
36.336445 127.335157 대전역사박물관주식시의를 기탁받았다

시각자료

사진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32쪽.
  2. 차경희, 「《주식시의》에 기록된 조선후기 음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7,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 553-555쪽.
  3. 차경희, 「《주식시의》에 기록된 조선후기 음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7,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587쪽.
  4. 배영환, 「19세기 대전 지역 음식 조리서의 국어학적 연구 - 《우음제방》과 《주식시의》를 중심으로」, 『언어학연구』25, 한국중원언어학회, 2012, 112쪽.
  5. 배영환, 「19세기 대전 지역 음식 조리서의 국어학적 연구 - 《우음제방》과 《주식시의》를 중심으로」, 『언어학연구』25, 한국중원언어학회, 2012, 112-115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한복진·이소영·한복려, 『음식 고전 : 옛 책에서 한국 음식의 뿌리를 찾다』, 현암사, 2016.
    • 대전역사박물관 편찬실, 『조선 사대부가의 상차림』, 대전역사박물관, 2012.
  • 논문
    • 권용석·김영·최정숙·이진영, 「종가(宗家)의 고조리서를 통해본 병과류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9,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 차경희, 「《주식시의(酒食是儀)》에 기록된 조선후기 음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7, 2012.
    • 정혜경, 「《주식시의(酒食是儀)》와 《우음제방(禹飮諸方)》 속 음식과 조리법」, 『조선 사대부가의 상차림』, 대전역사박물관, 2012.

유용한 정보

  • 김은슬, '주식시의', 「조선시대 민간음식 고문헌」, 『한식아카이브』online, 한식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