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해설==
 
==해설==
*도산십이곡 가운데서 뒷 부분에 있는 6곡을 포함하여 '언학(言學)'이라고 한다. 이 때 '학(學)'은 글자가 가리키는 그대로 배움을 뜻하는 바, '언학'은 곧 배움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의미이다. 6곡이 각각 품고 있는 내용을 읽어봄으로써 당시 퇴계 이황이 견지하고 있던 배움에 대한 태도를 유추해볼 수 있다.
+
*[[이황]]은 [[도산십이곡]]을 지으면서 뒷 부분에 있는 6곡을 일컬어 '언학(言學)'을 위한 것이라고 [[도산십이곡발문|발문(跋文)]]에서 강조하였다. 이 때 '학(學)'은 글자가 가리키는 그대로 배움을 뜻하는 바, '언학'은 곧 배움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의미이다. 6곡이 각각 품고 있는 내용을 읽어봄으로써 당시 퇴계 이황이 견지하고 있던 배움에 대한 태도를 유추해볼 수 있다.
  
 
==원문과 번역문==
 
==원문과 번역문==

2017년 3월 8일 (수) 23:07 판

해설

  • 이황도산십이곡을 지으면서 뒷 부분에 있는 6곡을 일컬어 '언학(言學)'을 위한 것이라고 발문(跋文)에서 강조하였다. 이 때 '학(學)'은 글자가 가리키는 그대로 배움을 뜻하는 바, '언학'은 곧 배움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의미이다. 6곡이 각각 품고 있는 내용을 읽어봄으로써 당시 퇴계 이황이 견지하고 있던 배움에 대한 태도를 유추해볼 수 있다.

원문과 번역문

한글팀 도산십이곡 04 도산십이곡 어부사 후육곡(1).jpg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한글팀 도산십이곡 05 도산십이곡 어부사 후육곡(2).jpg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틀:레이아웃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