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번째 줄: 13번째 줄:
 
=='''정의'''==
 
=='''정의'''==
 
정약용이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br/>
 
정약용이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br/>
[[신유박해]]로 인해 전남 강진에 유배된 [[정약용]]은 [[다산초당]]에서 1808년에서 1818년간 머물며 머물며 제자들과 함께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권의 저서를 저술하였다.
 
  
 
=='''설명'''==
 
=='''설명'''==
19번째 줄: 18번째 줄: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인덱스.jpg|right|450px]]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인덱스.jpg|right|450px]]
 
작품의 소재는 [[정약용]]으로,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 왼쪽에 서있는 '''⑤ [[정약용|다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br/>
 
작품의 소재는 [[정약용]]으로,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 왼쪽에 서있는 '''⑤ [[정약용|다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br/>
[[정약용|다산]]은 1808년에서 1818년까지 이곳에서 양반 18명, 중인 6명의 제자들을 가르치며 학문을 닦고 500권의 저술활동을 하였다.<br/>
+
[[신유박해]]로 인해 전남 강진에 유배된 [[정약용|다산]]은 1808년에서 1818년까지 [[다산초당]]에서 머물며, 양반 18명, 중인 6명의 제자들을 가르쳤다. 또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권의 저서를 저술하였다.
  
 
===작품 배경===
 
===작품 배경===

2017년 10월 14일 (토) 21:19 판


정약용과 저술
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학술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정약용이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인덱스.jpg

작품의 소재는 정약용으로,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 왼쪽에 서있는 다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신유박해로 인해 전남 강진에 유배된 다산은 1808년에서 1818년까지 다산초당에서 머물며, 양반 18명, 중인 6명의 제자들을 가르쳤다. 또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권의 저서를 저술하였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다산초당으로, 다산(茶山)은 초당이 있는 뒷산을 지칭하며 차나무가 많이 자생하였다고 한다.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은 기와집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다산이 거처했던 1808년~1818년에는 작은 초가집이었다고 한다.
1936년에 완전히 해체돼 폐허가 된 다산초당은, 1957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출범하면서 해남 윤씨와 강진 관내 유지들의 성금으로 지금의 기와집으로 새롭게 지어졌다.
다산초당이 있던 곳에 세워진 기와집은 5칸 도리단층으로 지어졌는데, 이는 작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초당뒤 석벽에는 다산이 직접 새긴 글씨인 정석(丁石)이 있고, 뒷담 밑에는 마르지 않는 샘물인 약천(藥泉)이 있으며, 다산초당 바로 앞에는 약천의 샘물로 앞 뜰에서 차를 달이던 바위인 다조(茶竈), 초당 동쪽 연못에 탐진강에서 가져온 돌로 가산을 쌓은 ⑧⑨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이 위치해 있는데, 이 네 곳을 일컬어 다산사경(茶山四景)이라 한다.[1]
해당 작품에서는 오른편에 그려진 연지석가산과, 다산초당 앞에 그려진 다조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다조정약용연지석가산다산초당정창섭 「정약용과 저술」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정약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다산초당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인천시립박물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정창섭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제작하였다.
1991년 4월 18일-1992년 4월 17일 인천시립박물관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대여하였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205792 126.6512053 인천시립박물관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대여하였다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을 소장하였다
34.579066 126.746974 다산초당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의 배경이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주희춘, "<광복70주년 기획시리즈> 우리 강진은 이렇게 살았다 15.50년대말 강진의 경제와 문화", 『강진일보』, 2015년 07월 09일.
  2.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3.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정민, 『삶을 바꾼 만남(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2011년.
  2. 웹 자원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