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목민심서(牧民心書)
김성곤,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목민심서
한자표기 牧民心書
영문명칭 Mokminsimseo
저자 정약용
역자 민족문화추진회 외
저술시기 1818년
간행시기 광문사(1901), 민족문화추진회(1969), 대양서적(1977), 다산연구회(1981)
간행처 광문사, 민족문화추진회, 대양서적, 다산연구회
시대 조선
수량 48권 16책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이며 실학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道理)를 논술한 책이다.[1]

내용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 정약용(丁若鏞)이 집필한 책으로, 48권 16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이 책은 고금(古今)의 여러 책에서 지방관의 사적을 가려 뽑은 내용을 담았으며, 부임(赴任)·율기(律己 : 자기 자신을 다스림)·봉공(奉公)·애민(愛民)·이전(吏典)·호전(戶典)·예전(禮典)·병전(兵典)·형전(刑典)·공전(工典)·진황(賑荒)·해관(解官 : 관원을 면직함) 등 모두 12편으로 구성되었다.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제되었다.
『목민심서』를 비롯해 조선 초기의 『목민심감(牧民心鑑)』, 후기의 『거관요람(居官要覽)』·『거관대요(居官大要)』·『임관정요(臨官政要)』(안정복) 등 여러 목민서가 지향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목민관의 정기(正己 :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함)와 청백 사상이 전편에 걸쳐 강하게 흐르고 있는 점이다. 또한, 청렴은 수령의 본무이며 모든 선(善)의 원천이자 덕의 근본이니,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 노릇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1901년 광문사에서 인간(印刊)하였고 1969년 민족문화추진회와 1977년 대양서적(大洋書籍), 1981년 다산연구회(茶山硏究會)에서 각각 국역으로 간행되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목민심서 정약용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목민심서 경세유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목민심서 흠흠신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18년 정약용목민심서를 저술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목민심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김성곤,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김성곤,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민심서",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