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작품 구도)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조선 중기의 명장 [[임경업]]이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전 [[민병대 | + | [[조선 인조|인조]] 11년(1633), 조선 중기의 명장 [[임경업]]이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전 [[민병대]]를 훈련시키는 장면<ref>"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8&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그린 [[신영상]]의 민족기록화.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right|450px]]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right|450px]] | ||
− | + | [[조선 인조|인조]] 11년(1633) 2월, [[임경업|임경업(林慶業, 1594~1646)]] 장군은 기복(起復)<ref>상중에 벼슬에 나감</ref>하여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 겸 안변부사가 되었는데, 이때 [[청|청나라]] 군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백마산성|백마산성(白馬山城)]]에 웅거하면서 성을 수축하고 방비를 튼튼히 하였다. | |
{{Blockquote| 의주 부윤(義州府尹) [[임경업|임경업(林慶業)]]이 치계하기를, | {{Blockquote| 의주 부윤(義州府尹) [[임경업|임경업(林慶業)]]이 치계하기를, | ||
− | "겨울 방비가 이미 임박하여 산성의 수비가 매우 긴급합니다. [[백마산성|백마 산성(白馬山城)]]은 8백 47첩(堞)이니, 1첩당 다섯 명으로 계산하면 4천 2백 35명이 되는데, 4영(營)의 유군(游軍) 각 1백 명과 중영(中營)의 유군 2백 명을 합치면 총 4천 8백 35명이 됩니다. 본 고을에 거주하는 백성은 신구(新舊)의 수를 합쳐 겨우 2백 호에 남녀노소 모두 6백 명 뿐이니, 본성을 지키기에도 부족한 형편인데, | + | "겨울 방비가 이미 임박하여 산성의 수비가 매우 긴급합니다. [[백마산성|백마 산성(白馬山城)]]은 8백 47첩(堞)이니, 1첩당 다섯 명으로 계산하면 4천 2백 35명이 되는데, 4영(營)의 유군(游軍) 각 1백 명과 중영(中營)의 유군 2백 명을 합치면 총 4천 8백 35명이 됩니다. 본 고을에 거주하는 백성은 신구(新舊)의 수를 합쳐 겨우 2백 호에 남녀노소 모두 6백 명 뿐이니, 본성을 지키기에도 부족한 형편인데, 청북(淸北:청천강 북쪽)의 열읍(列邑)에 증원할 군사를 어떻게 마련하겠습니까. 묘당(廟堂)으로 하여금 미리 지휘하여 사태가 발생했을 때 일이 어렵게 되는 걱정이 없게 하소서." |
− | 하였는데, | + | 하였는데, 비국(備局)이 회계(會計)하기를, |
"조정에 군사를 증원하여 견고하게 수비할 계책이 없지 않으나 군량이 바닥나고 게다가 끌어다 쓸 만한 군사가 없습니다. 각 성의 증원군은 우선 일이 돌아가는 형편을 보아서 처치하고, [[백마산성|백마성]]에 나누어 보낸 군사 1천 3백 명은 둔전의 곡식을 다 거두기는 하였지만 그대로 체류시켜 방비하게 하는 것이 온당할 듯합니다." | "조정에 군사를 증원하여 견고하게 수비할 계책이 없지 않으나 군량이 바닥나고 게다가 끌어다 쓸 만한 군사가 없습니다. 각 성의 증원군은 우선 일이 돌아가는 형편을 보아서 처치하고, [[백마산성|백마성]]에 나누어 보낸 군사 1천 3백 명은 둔전의 곡식을 다 거두기는 하였지만 그대로 체류시켜 방비하게 하는 것이 온당할 듯합니다." | ||
− | 하니, | + | 하니, [[조선 인조|상]]이 따랐다. |
|출처="[http://sillok.history.go.kr/id/kpa_11209025_001 의주 부윤 임경업이 산성 수비의 긴급함을 아뢰다]", 『인조실록』 30권, 인조 12년 9월 25일 무인 1번째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http://sillok.history.go.kr/id/kpa_11209025_001 의주 부윤 임경업이 산성 수비의 긴급함을 아뢰다]", 『인조실록』 30권, 인조 12년 9월 25일 무인 1번째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출처="[http://sillok.history.go.kr/id/kpa_11209025_001 의주 부윤 임경업이 산성 수비의 긴급함을 아뢰다]", 『인조실록』 30권, 인조 12년 9월 25일 무인 1번째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http://sillok.history.go.kr/id/kpa_11209025_001 의주 부윤 임경업이 산성 수비의 긴급함을 아뢰다]", 『인조실록』 30권, 인조 12년 9월 25일 무인 1번째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
}} | }} | ||
− | 작품 오른쪽 상단에는 훈련을 지휘하는 '''③ [[임경업]]'''과 '''②③ 장군들'''이 위치해 있고, 작품 하단에는 관군과 백성들로 이루어진 '''⑦⑧⑨ [[민병대]]'''가 그려져 있는데, | + | 작품 오른쪽 상단에는 훈련을 지휘하는 '''③ [[임경업]]'''과 '''②③ 장군들'''이 위치해 있고, 작품 하단에는 관군과 백성들로 이루어진 '''⑦⑧⑨ [[민병대]]'''가 그려져 있는데, 갓을 쓴 양반들과 승려들을 확인할 수 있다.<br/> |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임경업]]은 산성을 굳게 지켜 적의 진로를 둔화시키는 데 진력하였고, [[백마산성]]을 포기한 청군은 직접 서울로 진격했으며, [[조선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다.<br/> |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임경업]]은 산성을 굳게 지켜 적의 진로를 둔화시키는 데 진력하였고, [[백마산성]]을 포기한 청군은 직접 서울로 진격했으며, [[조선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다.<br/>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인 [[백마산성]]은 평안북도 의주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성<ref>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109 백마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으로, [[고구려]] 때 쌓인 [[우마성]]을 기초로 하여, [[고려 현종]]때 [[강감찬]]이 | + | 작품의 배경인 [[백마산성]]은 평안북도 의주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성(石城)<ref>차용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109 백마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으로, [[고구려]] 때 쌓인 [[우마성]]을 기초로 하여, [[고려 현종]]때 [[강감찬]]이 보수하고, 1633년에 [[임경업]]이 수축하였다. 현재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다. 해당 작품에서는 왼쪽 뒤편에 흐리게 그려진 '''① [[백마산성]]의 성벽과 성문'''을 확인할 수 있다. |
===작품 구도=== | ===작품 구도=== | ||
− | 작가는 지배와 | + | 작가는 지배와 복종이라는 대조적 시선과 화려한 의상을 통해 지휘자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로써 상징적으로 그린 풍경에도 역시 지휘자의 힘이 느껴지도록 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5쪽.</ref> |
===그림 읽기=== | ===그림 읽기=== | ||
158번째 줄: | 158번째 줄: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
− | [[분류:민족/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0월 1일 (일) 21:24 판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
작가 | 신영상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군사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인조 11년(1633), 조선 중기의 명장 임경업이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전 민병대를 훈련시키는 장면[1]을 그린 신영상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인조 11년(1633) 2월, 임경업(林慶業, 1594~1646) 장군은 기복(起復)[2]하여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 겸 안변부사가 되었는데, 이때 청나라 군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백마산성(白馬山城)에 웅거하면서 성을 수축하고 방비를 튼튼히 하였다.
의주 부윤(義州府尹) 임경업(林慶業)이 치계하기를,
"겨울 방비가 이미 임박하여 산성의 수비가 매우 긴급합니다. 백마 산성(白馬山城)은 8백 47첩(堞)이니, 1첩당 다섯 명으로 계산하면 4천 2백 35명이 되는데, 4영(營)의 유군(游軍) 각 1백 명과 중영(中營)의 유군 2백 명을 합치면 총 4천 8백 35명이 됩니다. 본 고을에 거주하는 백성은 신구(新舊)의 수를 합쳐 겨우 2백 호에 남녀노소 모두 6백 명 뿐이니, 본성을 지키기에도 부족한 형편인데, 청북(淸北:청천강 북쪽)의 열읍(列邑)에 증원할 군사를 어떻게 마련하겠습니까. 묘당(廟堂)으로 하여금 미리 지휘하여 사태가 발생했을 때 일이 어렵게 되는 걱정이 없게 하소서." 하였는데, 비국(備局)이 회계(會計)하기를, "조정에 군사를 증원하여 견고하게 수비할 계책이 없지 않으나 군량이 바닥나고 게다가 끌어다 쓸 만한 군사가 없습니다. 각 성의 증원군은 우선 일이 돌아가는 형편을 보아서 처치하고, 백마성에 나누어 보낸 군사 1천 3백 명은 둔전의 곡식을 다 거두기는 하였지만 그대로 체류시켜 방비하게 하는 것이 온당할 듯합니다." 하니, 상이 따랐다. |
||
출처: "의주 부윤 임경업이 산성 수비의 긴급함을 아뢰다", 『인조실록』 30권, 인조 12년 9월 25일 무인 1번째기사, |
작품 오른쪽 상단에는 훈련을 지휘하는 ③ 임경업과 ②③ 장군들이 위치해 있고, 작품 하단에는 관군과 백성들로 이루어진 ⑦⑧⑨ 민병대가 그려져 있는데, 갓을 쓴 양반들과 승려들을 확인할 수 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임경업은 산성을 굳게 지켜 적의 진로를 둔화시키는 데 진력하였고, 백마산성을 포기한 청군은 직접 서울로 진격했으며, 조선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백마산성은 평안북도 의주군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성(石城)[4]으로, 고구려 때 쌓인 우마성을 기초로 하여, 고려 현종때 강감찬이 보수하고, 1633년에 임경업이 수축하였다. 현재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다. 해당 작품에서는 왼쪽 뒤편에 흐리게 그려진 ① 백마산성의 성벽과 성문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작가는 지배와 복종이라는 대조적 시선과 화려한 의상을 통해 지휘자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로써 상징적으로 그린 풍경에도 역시 지휘자의 힘이 느껴지도록 하고 있다.[5]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신영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임경업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백마산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중앙공무원 교육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백마산성 | 임경업 | A는 B가 수축하였다 | A ekc:reconstructor B |
백마산성 | 강감찬 | A는 B가 수축하였다 | A ekc:reconstructor B |
임경업 | 이괄의 난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임경업 | 정묘호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임경업 | 병자호란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임경업 | 김자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신영상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그렸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중앙공무원 교육원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소장하고 있다 |
1014년-1017년 | 강감찬이 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
1624년 | 임경업이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다 |
1627년 | 임경업이 정묘호란에 참가하였다 |
1633년 | 임경업이 백마산성을 수축하였다 |
1636년 | 임경업이 병자호란에 참가하였다 |
1646년 | 김자점의 밀명을 받은 형리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23111 | 126.973591 | 중앙공무원 교육원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대여하였다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신라시대 이종상-태종무열왕
조선시대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게시일: 2016년 3월 8일)
주석
- ↑ "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상중에 벼슬에 나감
- ↑ "의주 부윤 임경업이 산성 수비의 긴급함을 아뢰다", 『인조실록』 30권, 인조 12년 9월 25일 무인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차용걸, "백마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5쪽.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웹 자원
- 차용걸, "임경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차용걸, "임경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