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이씨 식산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 문헌)
(시각자료)
59번째 줄: 59번째 줄:
 
</html><br/>
 
</html><br/>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gallery>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2 문화재안내판.JPG | 문화재안내판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3 책판안내판.JPG | 책판안내판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4 장서실.JPG | 장서실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5 전경.JPG | 전경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6 소장고문서 사진01.JPG | 소장고문서 사진01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7 문화재자료등록지정서.JPG | 문화재자료등록지정서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8 책판.JPG | 책판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09 소장고문헌.JPG | 소장고문헌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0 소장고문서사진02.JPG | 소장고문서 사진02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1 오성전자표창장.JPG | 오성전자표창장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2.JPG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3.JPG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4.JPG |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5 내부연못.JPG | 내부연못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6 안채.JPG | 안채
 
파일 : 한글팀 진양하씨 단지종택17 사랑채.JPG | 사랑채
 
</gallery>
 
  
 
==주석==
 
==주석==

2017년 9월 19일 (화) 00:07 판

연안이씨 식산종택
(延安李氏 息山宗宅)
파일:한글팀 연안이씨 식산종택.jpg
기록유산 디지털 스토리텔링 자원개발 연구팀
대표명칭 연안이씨 식산종택
한자표기 延安李氏 息山宗宅
유형 주택(한옥)
시대 조선
소장처 경상북도 문경시 점존동
관련인물 이만부
관련유물유적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정의

연안이씨 식산 이만부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집이다.

내용

식산 이만부와 연안이씨 가문

연안이씨 가문은 이관징의 아들 이옥과 이옥의 아들 이만부, 3대에 걸쳐 남인의 핵심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연안이씨 식산가문은 이만부 이후 이건기가 이천도획부사를 역인한 것을 제외하고는 직계로 실직을 지낸 관리를 배출하지는 못했다. 가세가 격하게 위축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식산가문은 벼슬보다는 학문과 문학으로 명가로서의 가성을 유지해 나갔다. 특히 문학적인 족적은 이만부의 손자 이승연 대에서 6세손 이병선 대에 이르기까지 줄기차게 이어져 엄청난 분량의 저술을 남겼다. [1]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고문서의 현황과 내용

연안이씨 식산종택 소장 전적은 시기적으로는 17세기 중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이르고 있으며 이관징, 이옥, 이만부 3대와 관련된 것들이며 그 외 인친들의 필첩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2] 문집류는 상주·안동 출신이 저자인 경우가 많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연안이씨 식산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연안이씨 식산종택 이만부 A는 B에서 이름을 땄다
이관징 이옥 A는 아들 B를 두었다
이옥 이만부 A는 아들 B를 두었다

공간 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596567 128.195134 연안이씨 식산종택이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주석

  1.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5-247쪽.
  2.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48쪽.
  3. 김학수, 「상주 연안이씨 식산가문의 가계와 소장 전적의 현황 - 필첩퓨와 문집류를 중심으로」, 『장서각』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25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