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탑비의 파손과 복원) |
잔글 (→탑비의 파손과 복원)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 | }} | ||
===탑비의 파손과 복원=== | ===탑비의 파손과 복원=== | ||
− | [[지공|지공(指空)]]이 원(元)에서 입적한 것은 1363년 11월이었으며, 1370년에는 그의 유골이 고려에 도착하였다.<ref>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86쪽.</ref> 이를 계기로, [[지공]]의 제자인 [[혜근|나옹(懶翁)]]은 [[양주 회암사|회암사(檜巖寺)]] 중창에 착수하였으며,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지공의 승탑]]을 세우는 등 중창불사에 힘을 쏟았다.<ref>이재형,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133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ref> 원래의 비는 [[이색|이색(李穡)]]이 비문(碑文)을 지어 1378년([[고려 우왕]] 4) [[양주 회암사|회암사]]에 세워졌으나, 1821년([[조선 순조|순조]] 21) 광주의 유생 [[이응준|이응준(李膺俊)]]에 의해 파괴되어 1828년 다시 건립되었다.<ref>"[http://museum.yangju.go.kr/site/hasj/sub.do?Key=4036 지공,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 회암사지 주변 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회암사지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ref> 이러한 과정은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의 음기(陰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 + | [[지공|지공(指空)]]이 원(元)에서 입적한 것은 1363년 11월이었으며, 1370년에는 그의 유골이 고려에 도착하였다.<ref>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86쪽.</ref> 이를 계기로, [[지공]]의 제자인 [[혜근|나옹(懶翁)]]은 [[양주 회암사|회암사(檜巖寺)]] 중창에 착수하였으며,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지공의 승탑]]을 세우는 등 중창불사에 힘을 쏟았다.<ref>이재형,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133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ref> 원래의 비는 [[이색|이색(李穡)]]이 비문(碑文)을 지어 1378년([[고려 우왕|우왕]] 4) [[양주 회암사|회암사]]에 세워졌으나, 1821년([[조선 순조|순조]] 21) 광주의 유생 [[이응준|이응준(李膺俊)]]에 의해 파괴되어 1828년 다시 건립되었다.<ref>"[http://museum.yangju.go.kr/site/hasj/sub.do?Key=4036 지공,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 회암사지 주변 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회암사지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ref> 이러한 과정은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의 음기(陰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
{{Blockquote|우리나라의 세 분의 조사(祖師)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의 사리를 안치한 탑과 사적비(事蹟碑)가 양주(楊州)의 천보산(天寶山) 북쪽 벼랑에 있으니, 지공과 나옹의 두 비는, 목은(牧隱) 이문정공(李文靖公)이 글을 짓고, 한수(韓修)와 권중화(權仲和)가 써서 고려 말에 세운 것이다.<br/> | {{Blockquote|우리나라의 세 분의 조사(祖師)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의 사리를 안치한 탑과 사적비(事蹟碑)가 양주(楊州)의 천보산(天寶山) 북쪽 벼랑에 있으니, 지공과 나옹의 두 비는, 목은(牧隱) 이문정공(李文靖公)이 글을 짓고, 한수(韓修)와 권중화(權仲和)가 써서 고려 말에 세운 것이다.<br/> |
2017년 7월 31일 (월) 14:13 판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楊洲 檜巖寺 指空禪師浮屠碑) |
|
대표명칭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Master Zhikong at Hoeamsa Temple, Yangju |
한자 | 楊洲 檜巖寺 指空禪師浮屠碑 |
주소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 8-1 |
문화재 지정번호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5호 |
문화재 지정일 | 2004년 11월 29일 |
찬자 | 이색(李穡) |
서자 | 이희현(李羲玄)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지공(指空) |
건립연대 | 1828년 |
승탑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
|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檜巖寺)에 있는 인도의 승려 지공(指空, ?-1363)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碑身)의 높이 237cm, 너비 96cm, 두께 28cm로[1] 네모꼴 받침돌 위에 홈을 파서 비신을 세우고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屋蓋石)을 얹은 형식이다.[2] 탑비 옆에는 귀부(龜趺)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이 원래 지공선사부도비의 귀부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3]
비문
비문에는 지공(指空)이 인도의 108대 조사(祖師)로 황제 등의 우대를 받았으며, 반야(般若)를 공부했다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4]
비문 보러가기 |
•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
탑비의 파손과 복원
지공(指空)이 원(元)에서 입적한 것은 1363년 11월이었으며, 1370년에는 그의 유골이 고려에 도착하였다.[5] 이를 계기로, 지공의 제자인 나옹(懶翁)은 회암사(檜巖寺) 중창에 착수하였으며, 지공의 승탑을 세우는 등 중창불사에 힘을 쏟았다.[6] 원래의 비는 이색(李穡)이 비문(碑文)을 지어 1378년(우왕 4) 회암사에 세워졌으나, 1821년(순조 21) 광주의 유생 이응준(李膺俊)에 의해 파괴되어 1828년 다시 건립되었다.[7] 이러한 과정은 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의 음기(陰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세 분의 조사(祖師)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의 사리를 안치한 탑과 사적비(事蹟碑)가 양주(楊州)의 천보산(天寶山) 북쪽 벼랑에 있으니, 지공과 나옹의 두 비는, 목은(牧隱) 이문정공(李文靖公)이 글을 짓고, 한수(韓修)와 권중화(權仲和)가 써서 고려 말에 세운 것이다. 무학(無學)의 비는 태종께서 즉위하신지 10년(태종 10, 1410년)되던 해인 경인년에, 왕명을 받들어 문신 변계량(卞季良)이 글을 짓고, 공부(孔俯)가 써서 두 분 왕사(王師)의 탑 아래에 세웠다. 그러나 지금은 절은 폐허가 되었고 비만 덩그러니 남아있다. 금상 21년(순조 21, 1821년) 신사년에 이응준(李膺埈)이란 자가 술사(術士) 조대진(趙大鎭)과 함께 사리탑을 헐은 뒤 자기 아버지를 묻고, 지공, 무학의 두 비를 두들겨 부쉈다. |
||
출처: "무학대사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지공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1828년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 지공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1378년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이희현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1378년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 양주 회암사 | A는 B에 있다 | |
지공 | 양주 회암사 | A는 B를 창건하였다 | |
지공 | 혜근 | A는 B의 스승이다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 A는 B에 기록되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지공선사부도비와 지공선사부도
주석
- ↑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지공선사 부도비", 문화재,
『회암사』online .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안내판 해설문.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86쪽.
- ↑ 이재형,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
- ↑ "지공,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 회암사지 주변 문화재,
『회암사지박물관』online .
참고문헌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재형,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
- 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72-2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