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제의 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복장정보
 
{{복장정보
 
|이미지= 고종-초상화.jpg
 
|이미지= 고종-초상화.jpg
 +
|사진출처= 『왕실문화도감』, 20쪽
 
|복식명칭= 통천관복
 
|복식명칭= 통천관복
 
|복식구분= 예복
 
|복식구분= 예복
15번째 줄: 16번째 줄:
 
* 황제가 쓰는 것은 양이 12줄로 통천관(通天冠)이라고 함.
 
* 황제가 쓰는 것은 양이 12줄로 통천관(通天冠)이라고 함.
  
==복식구성==
+
==내용==
 +
===복식구성===
 
[[통천관 | 통천관(通天冠)]], [[강사포 | 강사포(絳紗袍)]], [[상(왕실남성) | 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 | 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통천관 | 통천관(通天冠)]], [[강사포 | 강사포(絳紗袍)]], [[상(왕실남성) | 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 | 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gallery>
+
==지식 관계망==
파일:고종-초상화.jpg|고종 통천관복.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http://www.gogung.go.kr
+
===관계정보===
</gallery>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항목A!!항목B!!관계
56번째 줄: 54번째 줄:
 
|}
 
|}
  
==정의==
+
===시간정보===
*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예복.<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 머리에 쓰는 [[원유관 |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내는데 [[황태자]]는 [[왕]]과 같이 9량관.<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ref>
 
  
==복식구성==
+
===공간정보===
[[통천관 | 통천관(通天冠)]], [[강사포 | 강사포(絳紗袍)]], [[상(왕실남성) | 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 | 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관련항목==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갤러리===
!항목A!!항목B!!관계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파일:고종-초상화.jpg|고종 통천관복. http://www.gogung.go.kr
|[[황제]]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gallery>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통천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강사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상(裳)(왕실남성) | 상]]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중단(왕실남성)| 중단]]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폐슬(왕실남성) | 폐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후수(왕실남성) | 후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패옥(왕실남성) | 패옥]]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대대(왕실남성) | 대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적말]]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적석]]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규]]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참고문헌==
+
===영상===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
===더 읽을거리===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6월 10일 (토) 14:50 판



()
[[file:|360px|thumb|center|『왕실문화도감』, 20쪽]]
착용신분 황제
착용성별 남성



정의

  •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때의 일부 의례에 참석할 때 입었던 예복.[1]
  • 머리에 쓰는 원유관(遠遊冠)에 있는 양(梁)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냄.[2]
  • 황제가 쓰는 것은 양이 12줄로 통천관(通天冠)이라고 함.

내용

복식구성

통천관(通天冠), 강사포(絳紗袍), 상(裳),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황제 황제의 조복 A는 B를 착용한다.
대한예전 황제의 조복 A는 B를 기록한다.
통천관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강사포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중단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폐슬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후수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패옥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대대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적말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적석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제의 조복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한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64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더 읽을거리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