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2번째 줄: 32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시대 문신.
+
조선시대 문신이다.
  
 
=='''내용'''==
 
=='''내용'''==
 
1774년([[조선 영조|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듬해 휘령전(徽寧殿, 창경궁 문정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그 뒤 사헌부·호조·형조의 벼슬을 거쳐 돈녕부주부를 지냈다. 음죽현감이 되었을 때 무고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과 동시에 가업을 계승하는 데 힘썼다.<ref>김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193 이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74년([[조선 영조|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듬해 휘령전(徽寧殿, 창경궁 문정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그 뒤 사헌부·호조·형조의 벼슬을 거쳐 돈녕부주부를 지냈다. 음죽현감이 되었을 때 무고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과 동시에 가업을 계승하는 데 힘썼다.<ref>김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193 이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90년(정조 14) 홍릉령(弘陵令)에 기용, 지례현감(知禮縣監)으로 나가 둑을 쌓아 농사에 도움을 주어 주민들이 그 둑을 ‘이공제(李公堤)’라 했다. 그 후 선산부사(善山府使), 상주(尙州) ·충주(忠州)의 목사를 지내고 1800년(순조 즉위) 세자익위사위솔(世子翊衛司衛率) ·사어(司禦)를 역임, 이어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황주목사(黃州牧使)를 거쳐 호조참판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다. 문집에 《화천집》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7472 이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790년(정조 14) 홍릉령(弘陵令)에 기용, 지례현감(知禮縣監)으로 나가 둑을 쌓아 농사에 도움을 주어 주민들이 그 둑을 ‘이공제(李公堤)’라 했다. 그 후 선산부사(善山府使), 상주(尙州) ·충주(忠州)의 목사를 지내고 1800년(순조 즉위) 세자익위사위솔(世子翊衛司衛率) ·사어(司禦)를 역임, 이어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황주목사(黃州牧使)를 거쳐 호조참판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다. 문집에 『화천집』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7472 이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7번째 줄: 47번째 줄:
 
</html>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채]] ||[[화천집]]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이제원]]||[[이채]]||A는 B의 아버지이다||A ekc:hasSon B
 
|-
 
|-
|[[이채초상]] ||[[이채]] || A는 B를 그렸다 ||
+
|[[이재]]||[[이제원]]||A는 B의 아버지이다||A ekc:hasSon B
 
|-
 
|-
 +
|[[도암집]]||[[이재]]||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
|[[도암집]]||[[이채]]||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
|[[이채 초상]]||[[이채]]||A는 B를 묘사하였다||A ekc:depicts B
 +
|-
 +
|[[화천집]]||[[이채]]||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2018년 1월 14일 (일) 00:32 기준 최신판


이채(李采)
Joseon mungwan old.png
대표명칭 이채
한자표기 李采
생몰년 1745년-1820년
본관 우봉(牛峯)
시호 문경(文敬)
화천(華泉)
계량(季良)
시대 조선시대
대표저서 『화천집』
대표직함 지례현감, 선산부사, 호조참판
이제원(李濟遠)



정의

조선시대 문신이다.

내용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이듬해 휘령전(徽寧殿, 창경궁 문정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그 뒤 사헌부·호조·형조의 벼슬을 거쳐 돈녕부주부를 지냈다. 음죽현감이 되었을 때 무고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여 학문에 전념함과 동시에 가업을 계승하는 데 힘썼다.[1]

1790년(정조 14) 홍릉령(弘陵令)에 기용, 지례현감(知禮縣監)으로 나가 둑을 쌓아 농사에 도움을 주어 주민들이 그 둑을 ‘이공제(李公堤)’라 했다. 그 후 선산부사(善山府使), 상주(尙州) ·충주(忠州)의 목사를 지내고 1800년(순조 즉위) 세자익위사위솔(世子翊衛司衛率) ·사어(司禦)를 역임, 이어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황주목사(黃州牧使)를 거쳐 호조참판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였다. 문집에 『화천집』이 있다.[2]

지식 관계망

  • 이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제원 이채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이재 이제원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도암집 이재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도암집 이채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이채 초상 이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화천집 이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45년 이채가 출생하였다
1774년 이채가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775년 이채가 휘령전 참봉에 제수되었다
1790년 이채가 홍릉령에 기용되었다
1800년 이채가 세자익위사위솔을 역임하였다

주석

  1. 김창수, "이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채",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