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채 초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채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이채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한자명칭 李采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802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483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99.2×58.0㎝


정의

조선시대 문신인 이채(1745∼1820)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채 초상>은 가장 전형적인 사대부 초상화로 꼽히는 작품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유복을 입은 정면관의 반신상이다.
화면의 오른쪽과 왼쪽 상단에는 각종 서체로 다양하게 쓰인 제발문이 보인다. 화면 우상부에는 이한진전서로 쓴 이채의 자제문이 있는데 “망팔(望八)”에 쓴다고 하여 이한진의 나이 71세 때인 1802년에 썼음을 밝히고 있다. 좌하부에는 유한준이 72세인 1803년에 짓고 유한지예서로 쓴 찬문이, 좌상부에는 송원이 정묘년인 1807년에 행초로 쓴 원교노인의 찬이 있다. 특히 이한진이 쓴 이채의 자제문과 같은 내용인 「제진상(題眞像)」이라는 제목의 자제문이 이채의 『화천집(華泉集)』권9에 실려 있는데 여기에도 “임오(壬戌)”라고 주를 달아 1802년에 썼음을 알 수 있다.[1] 그러므로 이 초상화도 1802년에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1803년과 1807년의 찬문은 나중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이채 초상>은 이한진이나 유한지 같은 당대 최고의 명필들의 글씨가 한 화면에 모여있어 예술사적 의미를 가지며 회화사적으로는 정면상을 사실적으로 완벽히 구현해낸 작품으로 중요하다. 조선후기 19세기 초반의 가장 대표적인 유학자 초상으로서 눈빛이 형형한 얼굴의 정교한 묘사가 돋보이는 조선후기 초상화의 걸작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채 초상>은 동파관유복 차림을 한 전형적인 유학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층의 높은 정자관은 짙은 흑색 안료를 사용하여 올을 하나하나 묘사한 뒤 내부 전체를 중묵으로 우려서 정자관의 검고 반투명한 특징을 잘 표현했다. 검고 정교한 정자관은 화면 하부의 부드러운 흰색 심의와 강한 대조를 이룬다. 안면은 배채를 한 후, 짧고 묘사적인 붓질을 수없이 그려서 얼굴의 굴곡과 특징을 그려 냈다. 양 귀는 얼굴색보다 붉게 그려졌고 수염은 입술 바로 밑에 세세하게 묘사했다.[2]
이채의 얼굴은 길고 좁은 말상으로 귀가 높이 솟았고 눈이 크고 안광이 빛나 청초한 유학자의 면모가 얼굴에 나고 있으며 새하얀 수염이 가슴팍까지 늘어져 있다.

지식 관계망

  • 이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채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채 초상 이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채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채 초상 이한진의 이채 초상 자제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한진의 이채 초상 자제문 이한진 A는 B가 글씨를 썼다 A ekc:calligrapher B
이한진의 이채 초상 자제문 제진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천집 제진상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채 화천집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채 초상 유한지의 이채 초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유한준의 이채 초상 찬문 유한지 A는 B가 글씨를 썼다 A ekc:calligrapher B
유한준의 이채 초상 찬문 유한준 A는 B에 의해 지어졌다 A dcterms:creator B
유한지 유한준 A는 B와 같은 혈족이다 A ekc:isLineageKinOf B
이채 초상 원교노인의 이채 초상 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원교노인의 이채 초상 찬문 송원 A는 B가 글씨를 썼다 A ekc:calligrapher B
정면관 이채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복 이채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동파관 이채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정자관 이채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2년 이채 초상이 제작되었다.
2006년 12월 29일 이채 초상이 보물 제1499-1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이채 초상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35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236쪽.
  3. 국립중앙박물관, "이채 초상", 소장품 검색, 『e뮤지엄』online, 문화체육관광부.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강관식, "이채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6월 26일.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