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득순-현대조선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1972년 착공하여 1974년 완공된 [[현대조선소]]선박을 조립하고 있는 과정을 그린 [[박득순]]의 민족기록화.
+
1972년 착공하여 1974년 완공된 [[현대울산조선소]]에서 선박을 조립하고 있는 과정을 그린 [[박득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현대울산조선소]]는 [[현대중공업그룹]]의 모체로 1973년 12월 현대조선중공업(주)으로 설립한 뒤 1978년 2월 상호를 [[현대중공업]]으로 변경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297 현대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현대울산조선소]]는 [[현대중공업]]의 모체로 1973년 12월 현대조선중공업(주)으로 설립한 뒤 1978년 2월 상호를 [[현대중공업]]으로 변경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297 현대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해당 작품은 [[현대울산조선소]]에서 1973년 9월 완공된 [[골리앗 크레인]] 1호기를 이용하여 선박을 조립하고 있는 과정이다. 가공 공장에서 마킹, 절단, 굽힘 작업을 거쳐 부재끼리 용접 조립된 블록들이 도크 왼쪽에 보이고, 완성된 블록을 다시 큰 블록들로 조립하여 탑재하는 선각공사(船殼工事) 중이다. [[골리앗 크레인]] 한 대의 가격은 16억(1973년 기준)으로 [[현대조선소]]에서 두 대가 가동 중이다. 300톤 무게의 물체를 지상 80m 높이로 들어 올려 예정된 장소까지 운반하는데 1cm 정도의 오차밖에 나지 않는 정확도를 자랑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21800209202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2-18&officeId=00020&pageNo=2&printNo=16117&publishType=00020 "조선입국에의 발돋움]", 『동아일보』, 1974년 02월 18일.</ref>
 
해당 작품은 [[현대울산조선소]]에서 1973년 9월 완공된 [[골리앗 크레인]] 1호기를 이용하여 선박을 조립하고 있는 과정이다. 가공 공장에서 마킹, 절단, 굽힘 작업을 거쳐 부재끼리 용접 조립된 블록들이 도크 왼쪽에 보이고, 완성된 블록을 다시 큰 블록들로 조립하여 탑재하는 선각공사(船殼工事) 중이다. [[골리앗 크레인]] 한 대의 가격은 16억(1973년 기준)으로 [[현대조선소]]에서 두 대가 가동 중이다. 300톤 무게의 물체를 지상 80m 높이로 들어 올려 예정된 장소까지 운반하는데 1cm 정도의 오차밖에 나지 않는 정확도를 자랑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21800209202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2-18&officeId=00020&pageNo=2&printNo=16117&publishType=00020 "조선입국에의 발돋움]", 『동아일보』, 1974년 02월 18일.</ref>
  
23번째 줄: 23번째 줄:
  
 
===그림 읽기===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79년 [[육군종합행정학교]], 1991년 11월 9일부터 1992년 11월 8일까지 [[청송문화원]]에 대여되었습니다.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30번째 줄: 31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7/C077.htm "현대조선소"(박득순) 지식관계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77/C077.htm "현대조선소"(박득순)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77/C07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77/C07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55번째 줄: 56번째 줄:
 
|[[현대중공업]] || [[현대미포조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현대중공업]] || [[현대미포조선]]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현대미포조선]] || [[정주영]]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현대조선중공업]] || [[정주영]]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현대조선중공업]] || [[현대중공업]]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현대자동차]] || [[현대중공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현대자동차]] || [[현대그룹]]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현대그룹]] || [[현대중공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93번째 줄: 83번째 줄: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135번째 줄: 125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단행본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웹자원
+
#웹 자원
 
#*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297 현대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297 현대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분류:민족/교열완료]]
 

2024년 3월 14일 (목) 14:48 기준 최신판


현대조선소
박득순-현대조선소-1973s.jpg
작가 박득순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경제/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972년 착공하여 1974년 완공된 현대울산조선소에서 선박을 조립하고 있는 과정을 그린 박득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현대울산조선소현대중공업의 모체로 1973년 12월 현대조선중공업(주)으로 설립한 뒤 1978년 2월 상호를 현대중공업으로 변경하였다.[1]
해당 작품은 현대울산조선소에서 1973년 9월 완공된 골리앗 크레인 1호기를 이용하여 선박을 조립하고 있는 과정이다. 가공 공장에서 마킹, 절단, 굽힘 작업을 거쳐 부재끼리 용접 조립된 블록들이 도크 왼쪽에 보이고, 완성된 블록을 다시 큰 블록들로 조립하여 탑재하는 선각공사(船殼工事) 중이다. 골리앗 크레인 한 대의 가격은 16억(1973년 기준)으로 현대조선소에서 두 대가 가동 중이다. 300톤 무게의 물체를 지상 80m 높이로 들어 올려 예정된 장소까지 운반하는데 1cm 정도의 오차밖에 나지 않는 정확도를 자랑한다.[2]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울산에 자리한 현대울산조선소이다.

그림 읽기

골리앗 크레인박득순-현대조선소-1973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득순-현대조선소 박득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득순-현대조선소 청송문화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박득순-현대조선소 조선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득순-현대조선소 골리앗 크레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득순-현대조선소 현대울산조선소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현대중공업 현대울산조선소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박득순박득순-현대조선소를 제작하였다
1979년 육군종합행정학교박득순-현대조선소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09일-1992년 11월 08일 청송문화원박득순-현대조선소를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163451 127.767747 육군종합행정학교박득순-현대조선소를 대여하였다
36.429579 129.055992 청송문화원박득순-현대조선소를 대여하였다
35.521928 129.436482 박득순-현대조선소현대중공업을 배경으로 한다.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유붕노, "현대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조선입국에의 발돋움", 『동아일보』, 1974년 02월 18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2. 웹 자원
    • 유붕노, "현대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