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비문=== | ===비문=== | ||
비문은 비신이 결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 | 비문은 비신이 결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 | ||
+ | |||
+ | {{비문정보 | ||
+ | |비문1="[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588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51번째 줄: | 55번째 줄: | ||
|- | |-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홍척]]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홍척]]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56번째 줄: | 62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0/silsang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30/silsang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2018년 1월 11일 (목) 14:48 기준 최신판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 |
|
대표명칭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Jeunggak at Silsangsa Temple, Namwon |
한자 |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 |
이칭 |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實相寺 證覺大師凝廖塔碑) |
주소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9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미상 |
서자 | 미상 |
각자 | 미상 |
승려 | 홍척(洪陟) |
건립연대 | 9세기 중엽 |
승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
정의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實相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증각대사 홍척(證覺大師 洪陟)의 탑비.
내용
개요
탑비는 비신(碑身)[1]이 없어지고,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 남아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응료탑비(凝寥塔碑)'라는 전액(篆額)이 새겨져 있다.[2]
증각대사(證覺大師)는 실상산문(實相山門)의 개산조(開山祖)[3]로, 정확한 생몰년을 확인할 수 없다. 탑비의 건립 연대는 9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귀부는 용의 머리를 형상화 하지 않고 거북의 머리를 그대로 충실히 따랐다.[4] 이수는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扶餘 唐 劉仁願 紀功碑)와 경주 태종무열왕릉비(慶州 太宗武烈王陵碑) 같은 조형적 특성을 보인다. 한국 석비의 고전적 형태를 잘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5]
1963년 보물 제39호로 지정되었다.[6]
비문
비문은 비신이 결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
비문 보러가기 |
•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홍척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김세호,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하나의 파를 처음 형성한 승려.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 "개산조", 시공 불교사전,
『네이버지식백과』online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세호,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디지털남원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